View : 1293 Download: 0

돌봄의 세대 전가와 노동 시장의 돌봄 분리

Title
돌봄의 세대 전가와 노동 시장의 돌봄 분리
Other Titles
Grandparents' Caregiving and Its Impact on Exclusion of Care from Labor Market : focusing on the grandparents' childcare of dual-income families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조순경
Abstract
The research analyses the social implications of childcare supports from the grandparents for the dual income coupl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Childcare supports by grandparents, instead of child rearing by employed parents, have two aspects at my inquiry; one is its impact to the employed parents; another is its societal impact in terms of care work system in Korean society. Full time working couples are able to compete successfully in labor market for a long time without the burden of childcare work thanks to the grandparents’ supports for child rearing. However, as a result, the young parents do not have enough time to learn the value of care because the value of care can be embodied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With their parents’ (children’s grandparents) supports for child rearing, the young working parents take a dominant model of male employee who does not take care of any members of family and community, which is an underlying premise of labor market system. Young parent’s long-term continuation of working in labor market while minimizing care work for children demonstrates that the market only validates the values of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not the value of care. In this context, I comprehensively analyze how the grandparents' caregiving for dual income working parents has been contributing the exclusion of care from the labor market both in the realms of family and market.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I seek the possibilities of incorporating care in a male dominated labor market where the value of care work is ignored and disregarded. Firstly, the reason why grandparents mainly take care of their grandchildren is both long working hours of young parents and familism. Long working hours of young parents hinder them from accessing the public childcare service as well as public education. This requires flexible time management for caring children. The strong Familism of Korea also provokes distrust childcare by non-family members. The familism results in preference of grandparents’ childcare than commercialized childcare service. Grandparents support their daughter(daughter-in-law)’s childcare mostly when her daughter has competitiveness or higher market value. Working young parents, in turn, gives financial supports to their older parents who could not prepare their old age. Thus grandparents’ childcare is regarded as having better quality and being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ommercialized childcare service. As a result of grandparents’ caregiving, dual income couples are able to minimize their childcare and daily care for them at home. It shows us that childcare responsibility has been shifted from young parents to grandparents in that the issue of absence of care cannot be explained only through the frame of class hierarchy in Korean society. The daily time management of full time working parents centers market value; they invest their free time for building career and networking for the job rather than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These kinds of labor market oriented daily lives are possible thanks to grandparents’ childcare work. Secondly, to reveal the problems of shifting childcare to grandparents and the value of care embodied through personal experiences, I compare the two groups; one is the group of full time working fathers who do not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nd another group is full time working fathers, wh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themselves, not by grandparents. Consequently, fathers who do not take care of their children cannot learn the value of care because of lack of direct childcare experiences. On the contrary, the group of fathers wh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on their own starts valuing care work through their direct experiences of caregiving. This realization and embodied learning have a potential to deconstruct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the private sector. Childcare at home requires practicing care work everyday. By practicing childcare, they build positive father-child bonding and the bonding motivates continuous care work, thus motivation for care work and practicing it create virtuous circle. Practicing childcare on a daily basis produce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are work at home. In addition, fathers wh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realize that in the labor market, the value of care has been ignored. This realization leads critical awareness towards labor market.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orporate care work into market, workers in labor market should practice childcare everyday. Thirdly, in this section, I analyze how the minimizing of childcare by full time employed couple leads to perpetuate the current labor market where the caregiving has been disregarded in the mutual relations of family and market. Even though the young parents share the burden of childcare, which implies gender equality in childcare, this sharing of childcare is only practiced when grandparents take a full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Not only working fathers, but also working mothers contribute to childcare as little time as possible. In other words, grandparents mostly take caregiving, especially childcare, and this shows us that the female solidarity is an essential relationship for taking care of household, rather than the equal sharing of care work between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female bonding for care work, grandmothers become the primary care taker and full time working mothers come to be a second caretaker, meanwhile working young father takes the smallest part of caregiving. This kind of shifting care work to grandparents has brought about perpetual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the labor market. In other words, grandparents’ primary caregiving contributes to the dominant breadwinner model, which is not only a male worker but also a female worker provides the family with income, not engages in care work at home or does care work to a minimum. The labor market that excludes caregiving operates as both cause and effect of shifting care work to grandparents. Women workers who have children often participate labor market temporarily because the labor market doesn’t incorporate care work. Considering the fact that not all of the full-time employed women can be helped by her parents, (the grandparents of child), the grandparents’ caregiving supports let only a part of employed women survive in labor market. This shows us that grandparents’ care supports have significant social effects on labor market; it hinders double income couples from challenging the current labor market system. Instead, the couples pursue the ways of survival in a competitive labor market in a very individual and familial way. Working mothers oftentimes confront the deadlock, which requires only one choice: either caregiving at home or dedication in labor market when their children need additional support for education. Consequently, the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requires employed women to work in the labor market temporarily, which is a structural problem of male dominated labor market system. Young parent’s minimizing of care work by grandparents’ support does not challenge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paid work as well as in unpaid work, thus it produces workers and employees who do not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nd do not practice household work at private area. In conclusion, the full time working couple’s shifting care work to elders in family perpetuates not only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but also the hegemonic system of male oriented market that values only productivity, not values caregiving. The seed of change for market that separates care work is the practices of caregiving (by full time working young couples) To incorporate the value of care in market sector, the employed workers’ everyday care practices are needed because everyday care practices strengthen the value of care. The female and male workers wh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as well as who take care of housework and childcare at home become the active members who strive to incorporate the value of care into the market sector by experiencing contestability between labor in market and caregiving at home. Thus, for integrating market and care, the working parents should secure their time for everyday caregiving as an alternative. For that purpose, first, the time for care should be secured by shortening labor hours in market and by implementing legal labor hours. Second, by strengthening individual responsibility of care, individual workers, both female and male, need to embody the value of care and should become the active advocates for incorporating care into labor market. Third, in S. Korean society, mostly individuals and each family take responsibility of care, rather than sharing those responsibilities with social sectors. This individualization and family centered caregiving becomes hegemonic. To solve this individualization and grandparents’ primary care taking, it is necessary to build care networks, which cross the private and the public to make care as a public responsibil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Firstly, the class theory for explaining care has its limit to shed light on grandparents’ care support in Korean Society. This unique phenomenon can be conceptualized as ‘care burden for grandparents(shifting caregiving to older generation)’. The generational shifting of caregiving shows us that how the double income families take care of their lives and children while valuing market’s priority. Secondly, even though working mothers can receive her parents’ caregiving support, oftentimes, they only can survive in labor market temporarily. The temporary employment in labor market reveals that the market excludes and ignores the caregiving. In order to incorporate care to market, workers in labor market should practice care work everyday and this should be the goal of work-family balance policy. Thirdly, through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care work, the research defines the care work and points out that the value of care is generated by direct experiences of caregiving. This takes more concrete shape of the discussions about care work, which has been in an abstract way. Fourth, I analyze grandparents’ care support in relation to labor market, not limiting analysis within the family. Lastly,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I construct and develop research questions through case approach method, in order that the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the actual lives of grandparents’ caregiving practices.;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조(부)모 양육 지원 통한 전일제 취업부부의 시장노동 지속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서 시작한다. 조(부)모가 취업 부부 대신 손자녀를 양육한다는 것이 취업 부부의 돌봄과 더 나아가 한국 사회의 돌봄에 미칠 영향이 무엇인가? 취업 부부는 조(부)모의 돌봄 지원을 받으면서 시장 영역에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지만 돌봄을 거의 하지 않음에 따라 돌봄이 무엇인지 알기 어렵다. 돌봄 가치는 돌봄 경험을 통해서 체득된다고 할 때 취업 부부의 돌봄 최소화는 이들이 돌봄 가치를 알기 어려운 조건이 된다. 자녀라는 돌볼 대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 부부는 조(부)모의 지원에 의존하면서 시장영역의 기본 전제인 아무도 돌보지 않는 남성 노동자 모델처럼 시장노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봄을 최소화한 취업 부부의 시장 노동 지속은 시장 영역이 효율성과 생산성이라는 시장 가치만이 유효한 곳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취업 부부의 조(부)모 지원을 통한 돌봄 최소화가 노동시장의 돌봄 분리를 지속시키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가족과 시장영역에 걸친 통합적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돌봄이 부재한 남성 중심적인 노동 시장의 변화의 단초를 돌봄에서 찾고 돌봄이 시장에 통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부)모 돌봄 지원의 발생 배경은 취업 부부의 장시간 시장노동과 강한 가족주의에 따른 것이다. 취업 부부의 장시간 시장노동은 공보육·공교육 체계에 대한 접근성을 낮추고 유연한 돌봄 시간에 대한 필요를 낳고 있다. 게다가 한국의 강한 가족주의는 비친족 돌봄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어 돌봄 상품화가 아닌 조(부)모 돌봄 지원이 취업 부부의 돌봄 대안으로 선호되고 있다. 현실에서 조(부)모의 양육 지원은 유자녀 여성의 시장적 가치가 높은 경우에 주로 이뤄지고 있었고, 취업 부부는 조(부)모 양육 지원을 받으며 저렴하고 질 좋은 돌봄을 추구하면서 동시에 노후 준비가 안 된 조(부)모 세대를 지원하고 있었다. 그리고 조(부)모 돌봄 지원 결과 취업 부부는 가사육아(돌봄)를 조(부)모에게 전가함으로써 돌봄을 최소화하고 있었다. 이는 돌봄의 세대전가로 한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돌봄 공백의 문제는 돌봄의 계급화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취업 부부는 돌봄의 세대 전가를 통해 시장 중심적인 일상을 구성하며, 돌봄보다 시장노동에 더 가치를 두면서 시장노동 시간 외 시간을 경력과 네트워크를 축적하는 시간으로 전환하면서 살고 있었다. 둘째, 돌봄을 세대 전가한 취업부부의 돌봄 최소화가 왜 문제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조(부)모 지원받는 남성과 직접 돌봄하는 남성의 돌봄 경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조(부)모 지원받는 남성은 돌봄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돌봄 경험이 별로 없다보니 돌봄 가치를 알기 어려웠다. 그에 반해 자녀를 직접 돌보는 남성은 돌봄 경험을 통해 돌봄의 중요성을 아는 돌봄 가치와 성별 분업을 해체해낼 수 있는 돌봄 가치를 체득하고 있었다. 돌봄을 한다는 것은 일상적인 돌봄 실천을 전제한다. 돌봄하는 이들은 돌봄 실천을 통해 아이와 유대 관계를 형성하며 이 유대 관계는 다시 돌봄의 동기가 되어 돌봄 실천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실천과 동기가 순환하고 있다. 이러한 일상적 돌봄 실천을 통해 돌봄 책임이 생기고, 돌봄 책임이 생김에 따라 일상적인 돌봄이 가능한 것이다. 나아가 직접 돌봄에 결합하는 이들은 돌봄이 삭제된 노동 시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노동 시장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는 다양한 돌봄 가치를 체득하고 있다. 이는 돌봄이 시장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시장 영역의 구성원들이 일상적인 돌봄을 해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물음인 취업부부가 돌봄을 최소화해 시장노동을 지속하는 것이 돌봄이 분리된 노동 시장을 지속시키는데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가족과 시장의 상호 연관 속에서 살펴보았다. 취업 부부는 돌봄을 분담하는 성평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조(부)모에게 돌봄을 전가함으로써 ‘최소화된’ 돌봄 속에서 이루어진다. 취업 남성 뿐 아니라 취업 여성의 돌봄 또한 최소화되어 있다. 조(부)모 돌봄 지원을 통해 돌봄 문제는 부부간 평등한 역할분담이라기 보다는 세대 간 여성 연대를 통해 해결되고 있다. 돌봄을 둘러싼 세대 간 여성 연대는 조(부)모를 주요 양육자로 하고, 성인 자녀 여성이 1차 지원자가 되고, 성인 자녀 남성이 가장 소극적인 역할을 하는 형태를 띤다. 이와 같은 돌봄의 세대 전가를 통한 취업 부부의 돌봄의 최소화는 단지 한 가족 내의 돌봄을 둘러싼 성별 분업 고착화만이 아니라 취업 부부로 구성된 시장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돌봄 세대 전가를 통해 남성은 생계 부양자로 지지되며 돌봄을 안하거나 최소화해 시장노동을 지속하고, 여성 또한 돌봄을 최소화함으로써 돌봄이 분리된 시장 영역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한다. 돌봄이 분리된 노동 시장은 돌봄 세대 전가의 원인이면서 동시에 그 결과로 작동하고 있다. 시장이 돌봄이 분리된 장소라는 사실은 유자녀 여성의 시장 영역에서의 한시적 생존을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이들은 돌봄 세대 전가를 통해 시장에서 생존함으로써 돌봄이 분리된 노동 시장을 균열 내는 방식이 아니라 그 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개별적으로 좀 더 오래 생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유자녀 여성들은 시장 헌신과 생애주기에 따른 추가적인 돌봄(교육적 책임)이 요구되는 조건 속에서 다시 돌봄이냐 시장 헌신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결국, 이들은 돌봄 책임으로 인해 한시적인 생존에 그침으로써 다시 돌봄이 분리된 노동 시장이라는 구조에 얽매이게 된다. 이처럼 취업 부부의 조(부)모 지원을 통한 돌봄 최소화 전략은 돌봄을 둘러싼 성별 분업을 문제시하지 않고, 그 결과 돌봄을 하지 않는 시장 구성원들만을 양산해내며 현 노동 시장 구조에 균열을 내는 데에는 실패한다. 본 연구 결과는 유자녀 취업 부부가 돌봄을 최소화해 시장노동을 지속하는 것이 시장 영역에 돌봄 가치가 통합되기 어렵게 하는 것으로 시장은 생산 중심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특성만이 유효한 곳이 되고 여남간의 성별분업 또한 온존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돌봄이 분리된 시장에 변화의 단초는 돌봄 실천에서 찾을 수 있다. 돌봄 경험을 토대로 한 돌봄 가치 형성은 시장 영역에 돌봄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시장 영역의 구성원들의 일상적 돌봄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돌봄노동과 시장노동을 함께 하는 이들은 일상적인 시장노동과 돌봄노동 간의 경합을 통해 시장 영역의 생산 중심적인 가치에 매몰되지 않고 돌봄 가치가 시장에 통합될 수 있는 창구가 된다. 따라서 시장과 돌봄의 통합을 위해서는 여남 모두가 돌봄의 일상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첫째, 일상적 돌봄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돌봄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장노동 시간을 단축하고 법정 노동 시간을 현실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개인의 돌봄 책임 강화를 통해 시장 영역 구성원들이 돌봄 가치를 체득함으로써 노동 시장에 돌봄이 통합되는 창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한국 사회에서 돌봄은 사회와 단절된 채 개인과 개별 가족에게 전적으로 맡겨지는 형태로 구조화되어왔다. 해법은 돌봄을 개별 책임이 아닌 공동의 문제로 삼는 것으로, 개별 가족으로의 책임 전가가 아니라 공사를 넘나들며 함께 해결해나갈 돌봄 네트워크 구축에서 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돌봄의 계급화 논의로는 한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조(부)모 돌봄 지원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돌봄의 세대 전가’로 명명했다. 이를 통해 취업 부부가 돌봄을 세대 전가하는 방식으로 돌봄을 최소화하며 시장 중심적인 삶을 살고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현재 한국 사회 전일제 취업 부부의 돌봄 지형을 보여줬다. 둘째, 조(부)모 지원을 받아온 여성들이 노동 시장에서 한시적·주변적인 생존에 머무는 것을 통해 시장은 돌봄이 분리된 장소임을 드러냈다. 이러한 시장에 돌봄이 통합되기 위해서는 시장 영역 구성원들의 일상적인 돌봄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을 도출해냄으로써 일·가족 균형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셋째, 돌봄 경험 분석을 통해 돌봄을 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정의하고 돌봄 경험을 통해 돌봄 가치가 생성됨으로 보여주었다. 돌봄 분석을 통해 한국에서 돌봄과 관련해 추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돌봄 논의를 구체화하였다. 넷째, 조(부)모 돌봄 지원의 문제를 가족에 한정하지 않고 노동 시장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가족과 시장 영역에 걸친 통합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부)모 돌봄 지원과 관련해 사례 접근 방식으로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물음을 구성하고 여기에서 파생된 문제를 중심으로 물음을 발전시킴으로써 현실에 기반 한 문제를 구성할 수 있었다는 방법론적인 함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