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정구순-
dc.creator정구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5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8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to compare the ratio and type of disfluency produced by adults who stutter(AWS) and do not stutter(AWNS)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 and face-to-face speaking situation, (2)to compare the ratio and type of disfluency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 (3)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isfluency ratio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 and various factors such as stuttering severity of P-FA, communication attitude score, telephone use questionnaire score. 13 AWS(10 men and 3 women, mean age of 31 years) and 13 AWNS(10 men and 3 women, mean ag of 32 years) gender-match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made 3 scripted telephone calls(to a travel agency, supermarket, pension) to researchers, and then the researcher received the phone calls as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s randomly: hurried, asking again, and kind. The conversations were scripted and constructed to contain the same number of 250 syllables. They were instructed to follow the scripts without substituting, avoiding, or using circumlocutions. The statistics methods of Two-way Mixed ANOVA was adopt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peaking situations and the respondent’s reaction,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adop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disfluency ratio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s and various factors. The main questions are: (a)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fluency ratio between AWS and AWNS according to the speaking situations?,(b)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fluency ratio between AWS and AWN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s?,(c)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disfluency ratio in telephone situations and various factors such as stuttering severity of p-fa, communication attitude score, telephone use questionnaire sc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The AW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io of ND(Normal Disfluency), AD(Abnormal Disfluency) and ND+AD in both telephone speaking situation and face-to-face speaking situations than AWNS. Also the AWS showed significant greate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s than in face-to-face speaking situations, indicating that the AWS group showed worse performance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s than face-to-face speaking situations, (b)ND ratio of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AD ratio and ND + AD rati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ind reaction and hurried reaction. (c)The more severe the stuttering severity, the higher the disfluency ratio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s, especially in AD rather than ND. Bu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ttitude score and the disfluency ratio, and between the telephone use questionnaire score and the disfluency ratio.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speaking situation and respondent's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s influence stutterer's disfluency. So, effec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must deal with the stutterer's variability associated with various speaking situations.;유창성 장애를 평가하고 치료할 때 대상자의 말더듬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모습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말더듬는 사람들의 유창성 수준은 일관적이지 않고 상황이나 대화상대자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유창성장애를 평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대화 상황이나 의사소통압력(communicative pressure)에 따라 비유창성이 가변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더듬 정도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말더듬 평가는 다양한 상황에서 실시해야 유창성장애의 다양한 측면들이 제대로 파악될 수 있으며, 임상가는 대상자의 말더듬 빈도가 증가하는 특정 상황을 잘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말더듬으로 인해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 개인별로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전화하기 상황은 대부분의 말더듬 대상자가 많이 어려워하는 의사소통 상황이라고 보고되었다.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전화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무능력이 사회적으로 심각한 의사소통 핸디캡으로 작용할 수 있고, 특히 성인의 경우 경제활동을 해야 하는 시기에 직업과 관련된 불이익을 받는 문제가 생긴다.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영상통화나 실시간 문자 전송으로 말더듬을 회피하는 경향이 높다고 할지라도 상대의 얼굴을 마주하지 않은 채 전화 음성으로만 누군가와 통화해야 하는 상황은 현대 사회를 살면서 불가피한 일이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적인 의사소통 도구인 전화사용은 말을 더듬는 사람들에게 전화하기의 어려움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해야 하는 중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1)전화하기 상황(telephone speaking situation)과 대면하기 상황(face-to-face speaking situation)에서의 비유창성 비율 및 유형을 비교하고, (2)전화 대화 상대자의 반응을 긍정적 반응과 부정적 반응으로 구조화하여 그 반응에 따라 비유창성 비율 및 유형이 어떻게 변하는지, (3)말더듬 공식검사도구(P-FA검사)에서 나타난 말더듬 정도, 의사소통태도점수, 전화사용설문지점수는 전화하기 상황에서 나타난 비유창성 비율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말더듬 성인과 일반 성인 총 26명으로, 말더듬 성인 13명(남성 10명, 여성 3명), 말더듬 성인과 성별을 일치시킨 일반 성인 13명(남성 10명, 여성 3명)이다. 말더듬 성인의 평균연령은 31세, 일반 성인의 평균연령은 32세였다. 말더듬 성인은 (1)본인이 말더듬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2)연구자가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P-FA)를 실시한 결과 비정상적 비유창성이 나타났으며, (3)말더듬 이외에 다른 장애가 없는 자로 선별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하기 상황과 전화하기 상황에서 나타난 비유창성 비율 및 유형을 비교한 결과, 말더듬 집단이 일반 집단에 비해 대면하기 및 전화하기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정상적 비유창성, 비정상적 비유창성, 총비유창성 비율을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대면하기보다 전화하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그리고 상황조건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대면하기 상황보다 전화하기 상황에서 두 집단 간 비유창성 비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둘째, 전화대화 상대자의 반응에 따른 비유창성 비율 및 유형을 비교한 결과, 말더듬 집단이 일반 집단에 비해 전화 상대방 반응에 따라 유의하게 더 높은 정상적 비유창성, 비정상적 비유창성, 총비유창성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상대의 반응에 따른 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과 총비유창성 비율은 친절한 반응과 재촉하는 반응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말더듬 집단의 P-FA 검사에서 나타난 말더듬 정도, 의사소통태도점수, 전화사용설문지점수는 전화하기 상황에서 나타난 비유창성 비율과의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는가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전화 상황에서 나타난 비정상적 비유창성과 총비유창성 비율은 모두 말더듬 정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반면에 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은 반문하는 전화상황에서만 말더듬 정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즉, 상관관계에 정상적 비유창성보다 비정상적 비유창성이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말더듬 정도가 심할수록 전화상황에서의 비유창성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의사소통태도점수와 전화사용설문지점수는 각 전화상황에서 나타난 비유창성 비율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즉, 의사소통태도가 부정적일수록 비유창성이 증가한다거나 전화통화에 대한 감정과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비유창성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화 상황과 그 대화 상대자의 반응(긍정/부정)이 말더듬 집단의 비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상황에 따른 말더듬 가변성을 공식검사를 비롯한 여러 변인들과의 상관을 살펴봄으로써 말더듬 평가와 치료에 대한 근거를 획득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A. 전화하기 상황과 관련된 말더듬 연구 8 B. 대화상대자와 관련된 말더듬 연구 12 C. 의사소통태도와 말더듬에 관한 연구 15 Ⅲ.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실험과제 18 C. 실험장소 및 도구 20 D. 연구절차 20 E. 자료분석 23 F. 신뢰도 25 Ⅳ. 연구결과 27 A.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상황별 비유창성 비율 결과 27 B. 말더듬 집단과 일반 집단의 전화상대방 반응별 비유창성 비율 결과 32 C. 말더듬 집단에서 각 변인들(말더듬정도, 의사소통태도점수, 전화사용 설문지점수, 전화상황 비유창성 비율)의 상관관계 38 Ⅴ. 논의 및 결론 42 A. 논의 및 결론 42 B. 연구의 의의 47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57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63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전화하기 상황에서 대화상대자의 반응에 따른 말더듬 성인의 비유창성 비율 및 유형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Respondents' Reaction on the Disfluency of Adults Who Stutter in Telephone Speaking Situations-
dc.creator.othernameJeong, Koo Soon-
dc.format.pagevii, 74 p.-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성지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