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0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5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048-
dc.description.abstract줄풍류는 조선후기 풍류방의 음악문화에서 유래한 음악으로 거문고 중심의 악기편성으로 연주되었으므로, 줄풍류를 거문고회상 또는 현악영산회상이라고도 부른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대전의 한밭정악회 전승 ‘대전향제줄풍류’와 서울의 국립국악원 전승 ‘경제줄풍류’와의 장단표기법 및 연주법, 장단과 대강 분할, 악장 구분 및 선율의 비교를 통하여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여 보고, 대전향제줄풍류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 데에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두고 있다.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와의 악곡 명과 장단표기·연주법, 장단과 대강의 분할, 악장 구분과 선율의 비교로 나타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향제줄풍류는 특징적으로 ‘풍류치음’이라 불리는 단악장 형식의 곡이 상령산 전에 편성된다. 또한 대전향제줄풍류는 경제줄풍류의‘가락덜이’를 ‘가락제지’라 부르고,‘상현도드리’와‘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를‘상현’, ‘하현’, ‘염불’이라 부른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둘째,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는 장단표기명과 연주법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대전향제줄풍류는 경제줄풍류의‘덕’을‘채편딱채’라고 부르고,‘쿵’은‘궁편’으로,‘더러러러’는‘뜰채’라고 부르며, 연주법은 동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대전향제줄풍류는 경제줄풍류의‘덩’을‘합장단’이라고 부르는데, 연주법에 있어서 대전향제줄풍류의‘합장단’은 한 정간 내에서 궁편이 먼저 연주되고, 그 뒤에 채편이 연주되며, 경제줄풍류의‘덩’은 양손으로 궁편과 채편을 동시에 연주하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셋째,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는 장단과 대강 분할의 차이가 나타난다. 대전향제줄풍류는 대강의 분할이 악보 상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경제줄풍류는 대강의 분할이 악보에 표시되어 있다. 장구 연주 시점에 따라 대전향제줄풍류는 상령산을 6-4-6-4로, 경제줄풍류는 6-4-4-6으로 분할하고, 대전향제줄풍류는 세령산을 3-2-3-2로, 경제줄풍류에서 3-2-2-3로 분할하며, 이하의 곡은 두 풍류의 대강이 동일하게 나타난다. 넷째,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는 중령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악곡에서 악장의 장 수와 장단 수의 차이가 나타난다. 두 풍류의 전체 장단 수는 같으나 선율의 붙임새에 따라 악장 간의 붙임이 다름으로 장 수와 장단 수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다섯째, 대전향제줄풍류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는 악곡부호의 역할을 하는‘서완입(徐緩入)’이 나타난다.‘徐緩入’의 ‘徐’는 ‘천천히 하다’, ‘緩’은 ‘느리다’, ‘入’은 ‘들어가다’라는 뜻으로, 박의 변화 시 악곡 사이에서 연결구의 역할을 한다. 서완입은 중령산과 가락제지에 나타난다. 여섯째, 대전향제줄풍류는 황종에서 임종으로 진행 시 선율 중간에 장식음으로‘무역’을 연주하고, 경제줄풍류는‘임종’을 빠르게 전성하여 연주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일곱 번째, 대전향제줄풍류는 경제줄풍류의 오른손주법인 ‘슬기둥’, ‘싸랭’과 왼손주법인 ‘퇴성’, ‘추성’, ‘전성’의 출현이 경제줄풍류에 비해 적으며, 이 부분을 대전향제줄풍류는 본음(本音)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개방현 사용에 있어서 대전향제줄풍류는 괘하청과 문현을 사용하고, 경제줄풍류는 괘상청과 괘하청을 사용한다. 여덟 번째,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의 선율 비교에서 대전향제줄풍류의 거문고 선율은 대전향제줄풍류 피리 선율과 동일한 부분이 많이 나타나며, 피리 선율이 나타나는 악곡은 상령산, 상현, 타령, 군악이다. 이러한 점에서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의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나타나며, 본 연구를 통해 지방 풍류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향상되기를 바란다.;Julpungryu is a type of music derived in the sub-culture of music in play room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It had been mostly performed with instruments such as Gyemungo. Therefore, Julpungryu was called as the recollection of Geomungo or the string music youngsan recolle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sider the difference in ‘Daejeon Julpungryu' handed down from Hanbatjung music in Daejeon and ‘NCKTPA’s Julpungryu' passed down from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cts that have been insufficiently researched before in comparison of beat indication, performance technique, rhythm and division, movement, and melody and also to enhance an understanding and concern on Daejeon Julpungryu. The difference of Daejeon Julpungryu and NCKTPA’s Julpungryu in terms of movement name, beat indication, performance technique, rhythm and division, movement, and melo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Daejeon Julpungryu has the movement form named ‘pungryuchieum' before the Sangryngsan. In addition, it has the ‘garakduli' of NCKTPA’s Julpungryu as ‘garakjeji.' Furthermore, ‘sangyundori,' ‘hahyundori,' and ‘yumbuldori' are called as ‘sanghyun,' ‘hahyun,' and ‘yumbul.' Second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aejeon Julpungryu and NCKTPA’s Julpungryu in terms of beat indication name and performance technique. Daejeon Julpungryu calls the 'duk' in NCKTPA’s Julpungryu as ‘chaepyunddaechae,' and ‘kung' as ‘gungpyun' and ‘durururu' as ‘ddeulchae.' However, performance technique is samely applied on them. In addition, Daejeon Julpungryu calls ‘dung' as ‘hapjangdan.' However, ‘hapjangdan' of Daejeon Julpungryu is played with gungpyun earlier in one section in terms of performance technique followed by chaepyun. ‘Dung' in the NCKTPA’s Julpungryu is performed with gungpyun and chaepyun with both hands at the same time. Thir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aejeon Julpungryu and NCKTPA’s Julpungryu in terms of movement and division. Daejeon Julpungryu has the division not indicated on the score, while NCKTPA’s Julpungryu has it indicated on the scor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time for double-headed drum, Daejeon Julpungryu divides the Sangryungsan as 6-4-6-4, while NCKTPA’s Julpungryu divides it as 6-4-4-6. Daejeon Julpungryu and NCKTPA’s Julpungryu divide Seryungsan as 3-2-3-2 and 3-2-2-3, respectively. Following two songs are performed with the same division. Fourt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aejeon Julpungryu and NCKTPA’s Julpungryu in terms of the number of rhythms and movement in most of the scores except for Jungryungsan. The entire number of movement is the same on both Pungryu, but the attachment between movement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lody.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on the number of movement and chapters. Fifth,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ejeon Julpungryu is the ‘Seowanib' serving as a symbol of movement. ‘徐’ of the ‘徐緩入’ means to ‘do slowly,' and ‘緩’ means ‘being slow.' ‘入’ means ‘to enter.' Therefore, if there is a change in bak, it serves as a role of connecting the movements. Seowanib is shown in the Jungryungsan and garakjeji. Sixth, Daejeon Julpungryu plays the ‘muyuk' as a grace note in the middle of melody when proceeding from Gwangjong to Imjong. NCKTPA’s Julpungryu proceeded ‘imjong' fast playing the section. Seventh, Daejeon Julpungryu has less of ‘seulgidoong' and ‘ssaeraeng’ as right-handed performance technique and 'toisung,' 'choosung,' and ‘junseung’ of left-handed performance technique compared to the ones of NCKTPA’s Julpungryu, and this part is most likely performed by original notes of Daejeon Julpungryu. In addition, Daejeon Julpungryu uses Gwaehacheong and Munhyun for the gaebwanghyun, while NCKTPA’s Julpungryu uses Gwaesangcheong and Gwaehacheong. Eighth, in comparison of Daejeon Julpungryu and NCKTPA’s Julpungryu, the geomungo melody of Daejeon Julpungryu has many of the parts with same pipe melody, and Sangryungsan, sanghyun, taryung, and gunak are the melodies performed with pipe melody. Seeing as how there are many of the differences between Daejeon Julpungryu and NCKTPA’s Julpungryu, this paper focuses on how necessary it is to proceed a research in this issue.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for this study to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concern on local taste for the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Ⅱ.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의 장단 비교와 대강분할의 비교 8 A. 장단표기법 비교 8 B. 장단과 대강분할의 비교 9 Ⅲ. 대전향제줄풍류와 경제줄풍류의 악장 구분과 선율 비교 14 A. 악장 구분 14 B. 선율 비교 19 1. 상령산 19 2. 중령산 30 3. 세령산 40 4. 가락제지(가락덜이) 49 5. 상현(상현도드리) 56 6. 하현(하현도드리) 64 7. 염불(염불도드리) 71 8. 타령 84 9. 군악 101 Ⅳ. 결론 123 참고문헌 및 참고논문 128 부록1. 풍류치음 악보 및 선율비교 악보 130 ABSTRACT 1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364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대전향제줄풍류의 거문고 선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제줄풍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Geomungo Melody in Daejeon Julpungryu Comparison with NCKTPA’s Julpungryu-
dc.creator.othernameKim, Ji Eun-
dc.format.pagex, 179 p.-
dc.contributor.examiner곽은아-
dc.contributor.examiner류정연-
dc.contributor.examiner원영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