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7 Download: 0

임준희 작곡 아쟁 독주를 위한 <여백Ⅱ-번짐> 분석연구

Title
임준희 작곡 아쟁 독주를 위한 <여백Ⅱ-번짐> 분석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June Hee Lim's for Ajaeng Solo
Authors
심성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최근 몇몇 작곡가들은 아쟁을 단순히 정악 합주와 국악관현악에서 저음역대를 담당하는 반주악기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아쟁의 독주악기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며 그것의 역량을 극대화시키고자 독주곡을 작곡하며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경향에 주목하여 2005년 작곡 된 임준희 작품인 “아쟁 독주를 위한 <여백Ⅱ-번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작품의 구조와 선율의 흐름 및 연주기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필자는 본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음악적 요소를 밝히고, 아쟁에 대한 작곡가의 견해가 작품에 어떻게 발현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작곡가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 경향, 아쟁에 대한 견해와 작곡 동기를 파악할 것이다. 그리고 작곡가가 악보에 제시한 리허설 마크(Rehearsal mark)를 참조하여 작품의 단락과 악구를 세부적으로 구조화하여 선율의 흐름과 리듬의 변화를 중심으로 악곡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연주기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고찰할 수 있었다. 첫째, A부분부터 F부분까지 총 여섯 부분으로 구성된 <여백Ⅱ-번짐>은 템포와 선율의 흐름에 따라 ‘Intro - A - B - A′- C - Coda’의 구조로 나타났다. 이 구조는 느린 템포의 Intro로 시작하여 전체적으로 느림-빠름-느림-빠름-느림의 템포로 반복적인 형태로 구성되었다. 작곡가는 선율을 다양한 형태로 긴장과 이완의 변화에 집중하여 작품을 진행시키고 있다. 둘째, 본 작품은 조성이 없는 무조성 음악의 구조이지만, 선율의 흐름과 리듬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선율과 리듬이 복합적으로 어울려져 있다. A부분인 Intro단락에서는 E♭을 중심음으로 진행되는 E♭본청 레음계(평조길)의 음계에 F, G♭, B♭♭, 등의 음정을 삽입하여 조성에 국한되지 않고 조 중심음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작곡되었다. 다음으로, B부분인 A단락은 E♭본청 계면길 - B♭본청 계면길 - E♭본청 계면길로 길바꿈(조바꿈)을 하여 단조로움을 피하고 남도 계면조의 선율적 특징을 살리고자 하였다. C부분인 B단락은 가야금 산조에서 영향을 받은 부분으로, 2/4박자에서 +리듬으로 진행되었고, 조성은 E♭본청 계면길이었다. 그 후, (+)+(+)리듬으로 변형 모방되고 B♭본청 계면길로 길바꿈이 되었다. 그리고 3/8박자로 박자표의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의 리듬이 ++의 형태로 분할되었고, +의 형태로 변형되어 E♭과 BB♭이 중심음으로 교차되면서 도약하는 선율의 흐름이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클라이맥스로 향하였다. D부분인 A′단락에서는 B부분인 A단락과 동일한 템포로, C부분인 B단락에서 고조되었던 긴장감을 풀어주며 선율이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었다. A부분인 Intro와 B부분인 A단락의 선율과 리듬이 변형·발전되어 재현되고 B♭본청 계면길의 조성이 나타나, 남도 계면조의 슬픈 성음과 아쟁의 애절한 소리가 잘 어우러졌다. 한편, E부분인 C단락은 본 작품의 클라이맥스 부분으로 최고음인 e♭에서 EE♭까지 반음씩 순차적으로 하행하는 선율이 돋보이는 단락이었다. 마지막으로, F부분인 Coda는 종결구로, Intro에서의 주제선율이 축소 변형되어 최저음인 EE♭에서 최고음인 한 옥타브 위의 e♭까지 상행한 후, 다시 한 옥타브 급격히 하행하여, EE♭과 EE♭의 장2도 위의 음을 FF를 동시에 강하게 연주하여 작품의 균형감을 살려주어 종지하였다. 셋째, 연주 기법의 특징은 일반적인 연주 기법인 pizz.주법과 arco주법이 교차되면서 사용되고, 전통적인 연주 기법으로는 농현 및 퇴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중음주법(Double stopping) ․ 콜 레뇨(Col legno)·아르페지오(arpeggio)·글리산도(gilssando)주법 등의 다양한 특수주법이 사용되었다. 이는 아쟁의 독주악기로서의 표현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작곡가의 견해를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임준희는 <여백Ⅱ-번짐>에서 다양한 선율 및 리듬표현과 연주 기법을 통해 정악 합주와 국악관현악에서 반주 기능만을 하는 아쟁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연주자들의 음악적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필자는 아쟁만의 특성을 살려 악기의 독창성을 드러내는 독주곡들이 많이 창작되고 연주되어, 아쟁의 가능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Escaping from a perspective seeing the Ajaeng as the accompaniment instrument for the bass in the Jeongak(court music) ensemble and Korean orchestral music, recently several composers are pursuing its developmental potential as the solo instrument, making a new attempt while composing solos to maximize its capabilities. Paying attention to such a tendency, this paper selected for Ajaeng solo by June Hee Lim composed in 2005 for the research, aiming at analyzing its structure, a flow of the melody and execution. Besides, it intends to examine salient musical elements of the piece and identify how composer's view on Ajaeng is expressed in the work. So, firstly, it identifies composer's musical background and tendency, perspective on Ajaeng and motivation for composition. Also, with reference to a rehearsal mark presented by the composer in a score, it analyzes the piece through in-depth structuralization of paragraphs and phrases centered on a flow of the melody and a change of the rhythm.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xecution of the work, it shows such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composed of 6 parts from A to F, has a structure of Intro - A - B - A′- C - Coda’ according to a flow of the tempo and melody. Such a structure begins with Intro of a slow tempo and has a repetitive tempo of the slow-fast-slow-fast-slow. The composer proceeds the piece while concentrating on a change of tension and relaxation with various forms of the melody. Secondly, despite the musical structure of aton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a flow of the melody and rhythm, it shows that a variety of melodies and rhythms come together. In the Intro, Part A, composition was done for free transfer of the central tone of the key without limited to tonality through inserting intervals including F, G♭, B♭♭ to E♭ Boncheong Re scale(Pyeongjogil) centered on E♭. Next, in the A paragraph, Part B, it shows a characteristic of Namdo Gyemyeonjo through modulation of E♭Boncheong Gyemyeongil - B♭Boncheong Gyemyeongil - E♭Boncheong Gyemyeongil. In the B paragraph, Part C influenced by Gayageum Sanjo, it proceeds from 2/4 time to the rhythm + with the tonality of E♭Boncheong Gyemyeongil. And then, transformative imitation is done to the rhythm (+)+(+) and modulation to B♭ Boncheong Gyemyeongil. In addition, with a change of the time signature to 3/8, rhythm is partitioned to ++ and transformed to +, and E♭ and BB♭cross each other as a central tone, increasing a tension through a flow of the leaping melody and going toward a climax. In the A′paragraph, Part D, it has a melody characteristic to relax a tension that was increased in the B paragraph, Part C with the same tempo as that of the A paragraph, Part B. The melody and rhythm of the Intro, Part A and the A paragraph, Part B are represented through the transformative development with the tonality of B♭ Boncheong Gyemyeongil, so sad vocal sound of Namdo Gyemyeonjo and a pathetic sound of Ajaeng come together in harmony. On the other hand, the C paragraph, Part B forming a climax of the work is the one with the brilliant melody that descends in order by semi-tone from the highest tone e♭ to EE♭. Finally, in the Coda, Part F, thematic melody of the Intro is reduced and transformed, ascending from the lowest tone EE♭to e♭ an octave higher and again descending rapidly to an octave. It has a cadence with the balance through playing FF, tone above M2 of EE♭and EE♭ powerfully and simultaneously. Thirdly, as for characteristics of the execution, general pizz. and arco renditions are used while crossing each other. As for the traditional execution, it shows salient Nonghyeon and Toeseong. Furthermore, it uses various kinds of special executions including Double stopping, Col legno, arpeggio and gilssando. It reflects an idea of the composer aiming to maximize a representational possibility of the Ajaeng as a solo instrument. As such, in , June Hee Lim gives aid to overcoming a limitation of the Ajaeng as the accompaniment in the Jeongak ensemble and Korean orchestral music through a variety of melodies, rhythmical expressions, executions and improving players' musical expressive abil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data to expand a possibility of the Ajaeng through a lot of solo creations and performances that makes the most use of characteristics of the Ajaeng's own and displays its origin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