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동선-
dc.contributor.author이미희-
dc.creator이미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3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312-
dc.description.abstractIt is important that the encoded of the thoughts and interpretation progress with others. In this time the process of adop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auditory stimulus is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is process, the children with hearing loss are subjected to a lot of trouble due to the absence of the auditory sense from early life. Developed Cochlear Implants(CI) for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ies provides them with auditory sensory and remarkable progress in language development is lead by the auditory training. However, the showed defect of the language in various part in the absence of the initial auditory sensory. Language rehabilitation is the focus on semantic and syntactic part, this is due to pragmatic issues continue to appear.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pragmatics skills and strategies used there are difficulties in conversation and discourse situations. Not only that, but this needs requests for clarification and correction capabilities, and it is difficult to referential communications and assumptions. And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text has a series of steps to remember the information and inference accepts the following inform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hearing impaired children is that there a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est as well as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pragmatic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any correlation between the two language tasks which are based on inference ability between Cochlear Implants(CI) group and peer normal hearing group. Two language tasks was used as a referential communication task and reading comprehension tasks as task of on the basis of inference ability.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one to five normal hearing children and children receiving cochlear implant(CI) children in 2 for 4 grades elementary school at each grade level were enrolled in a total of 15people. Experimental tasks are two challenges were used in a previous study the reliability and balidity equipped. The result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CI group showed low performance of the referential communication tasks when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normal hearing group. (2) The difference of the performance of reading comprehension tasks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3) Referential communic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nd secondary factors were sure that indicate a significant correlation. (3-1) Normal hearing group i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VT-R, reading comprehension and referential communication. Among REVT-R appered as a reading comprehension and referential communication more powerfully unpredictable elements. (3-2) CI group has received in addition to the normal hearing group of the elements that a Age Of Implantation(AOI) and Duration Of Implantation(DOI) were including the factors. Duration Of Implantation(DOI) showed the correlation with a reding comprehension, referential communication and REVT-R. AS a result, the use of Cochlear Implant and predicted would have a high REVT-R, reading comprehension, referential communication high achievement and deep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the longer the period of exposure to the language. It contact with early exposure to langauge receives a cochlear implant showed that will help promote referential communic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타인과 의사소통을 주고받는 과정은 생각을 부호화하고 이를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청각적 자극에 대해 수용 및 해석하는 과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고려할 때 청각장애가 있는 아동은 생애 초기부터 청각감각의 부재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들을 위해 개발된 인공와우이식술(Cochlear Implants)은 이들에게 청감각을 제공하였고 이 후 청능훈련을 통해 언어발달의 놀라운 진보를 이끌었다. 그러나 이들은 초기 감각의 부재로 인해 다양한 부분에서의 언어결함이 나타났고 특히 화용적인 부분에서 어려움은 지속적인 재활에도 불구하고 어려움이 남아있으며 다양한 환경 속에서 재현되고는 한다. 특히 자발적인 화용기술과 전략의 사용에 있어 제한적인 부분이 있었는데 이로 인해 대화 및 담화 상황에 어려움이 있으며 주제운용과 같은 대화특성, 명료화 요구 수정능력, 그리고 참조적 기능과 전제기능에도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글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도 기존 정보를 기억하고 다음 내용을 습득하여 추론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각장애 아동은 구어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글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추론 능력을 기초로 하는 두 가지 언어과제 즉, 구어로서의 환경 하에서의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과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이전 정보에 대해 이해하고 다음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반복하는 읽기 이해가 인공와우이식술을 받은 아동과 일반아동간에 어떠한 특성 및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4학년의 인공와우이식술을 받은 아동과 일반아동을 각 학년별로 5명씩 총 1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전 연구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가 확보된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의 참조적 의사소통과 읽기 이해를 측정하였다. 참조적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김영실(2008)의 연구자료를 활용하였고, 읽기 이해를 측정하기 위해 황진애(2007)의 연구 자료를 활용하였다. 두 가지 과제를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에 참조적의사소통과제의 수행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인공와우이식 아동집단에 비해 건청 아동집단의 참조적 의사소통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두 집단 간에 읽기이해 과제의 수행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각 집단에서 참조적 의사소통과 읽기이해 그리고 부차적인 요소들이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건청 아동집단에서는 참조적 의사소통능력, 읽기 이해, 수용어휘의 세 가지 변인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참조적 의사소통능력과 수용어휘력, 참조적 의사소통능력과 읽기이해, 읽기이해와 수용어휘 간에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즉, 세 가지 영역이 모두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용어휘의 능력이 읽기이해 및 참조적 의사소통을 좀 더 강력하게 예측할 수 있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집단은 건청아동집단과 다르게 수용어휘와 참조적 의사소통간에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이 외에 수용어휘와 참조적 의사소통 간에, 읽기이해와 참조적 의사소통간에 상관을 나타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집단은 인공와우이식수술을 받은 나이(AOI)와 인공와우사용기간(DOI) 변인도 포함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인공와우사용기간(DOI)은 수용어휘와, 읽기이해, 참조적 의사소통과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모든 요소가 중요하겠지만 조기에 인공와우를 사용하여 언어에 노출된 기간이 길수록 수용어휘, 읽기이해, 참조적 의사소통능력의 높은 성취도와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신생아 선별검사를 통해 이른 시기에 진단과 처치를 통해 이후 전반적 언어발달의 향상 및 의사소통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을 시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7 B. 용어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2 A. 인공와우 아동의 참조적 의사소통능력 발달 12 B. 인공와우 아동의 읽기이해 발달 18 C. 참조적 의사소통과 읽기 이해 24 D. 인공와우 아동의 언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26 Ⅲ. 연구방법 27 A. 연구 대상 27 B. 실험 과제 30 C. 연구 절차 33 D. 자료 분석 34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35 F. 신뢰도 36 Ⅳ. 연구 결과 37 A. 집단 간 참조적 의사소통능력 비교 37 B. 집단 간 읽기이해능력 비교 41 C. 참조적 의사소통과 읽기이해의 변인 간에 상관관계 46 Ⅴ. 결론 및 논의 48 A. 결론 및 논의 48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3 참 고 문 헌 55 부 록 63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77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인공와우이식아동과 건청아동의 참조적 의사소통과 읽기이해능력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추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Cochlear Implant and Normal children from second through fourth grades : Focused on the inferrence-
dc.creator.othernameLee, Mi-Hee-
dc.format.pagevi, 85 p.-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