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내과계 중환자실의 약물 상호작용 발생과 관련 인자 연구

Title
내과계 중환자실의 약물 상호작용 발생과 관련 인자 연구
Other Titles
The assessment of drug interactions and related factors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uthors
최재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연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as basic research for examining the status of drug interaction and for planning the tasks of specialized intensive care unit pharmacists Methods: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for 116 patients who were more than 19 years old and were treated with more than one prescribed drug, among the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f th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October 1 and December 31 in 2014. Through the Lexi-Comp® Online database, combinations with potential drug interaction were examined among the prescribed drugs of the patients. Among the searched potential drug interaction combinations, drug interaction combinations with a risk rating of more than ‘C’ (For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corresponding drugs, patient monitoring is needed) were selected, and their concomitant administration was examined. When drug interaction combinations with a risk rating of more than ‘D’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two drugs needs to be recommended) had been concomitantly administered among the examined drug interaction combinations, the actual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ere examined, and the presence of adverse reaction occurrence was surveyed.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 potential drug interaction combination was 92(79.3%),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out a potential drug interaction combination was 24(20.7%). The average ages of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a potential drug interaction combination were 63.8 and 57.3, respectively(p=0.046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verage lengths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for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a potential drug interaction combination were 6.96 and 2.50 days, respectively(p=0.0002)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verage numbers of prescription drugs for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a potential drug interaction combination were 21.03, and 8.38, respective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01). Among 1,123 potential drug interaction combinations, risk rating of more than‘C'. Opioids (14.38%), antibiotics (7.21%), and diuretics (7.21%) were most frequently drug interaction classes. The most drug interaction occurred individual medications were furosemide (6.37%), tramadol (4.85%), and remifentanil (4.54%). As for the number of cases depending on the risk rating, there were 950 cases with a risk rating of‘C’ (84.6%), 142 cases with a risk rating of‘D’ (12.64%), and 31 cases with a risk rating of‘X’ (2.76%).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sence of drug interaction combination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prescription drugs (p<0.0001) and ICU length of stay (p=0.0002). Conclusio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have a high possibility of adverse reaction occurrence due to drug interaction. Therefore, to effectively prevent adverse reaction and to improve therapeutic results, active participation of a pharmacist in the drug treatment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is needed.;서론: 인구의 노령화가 계속 되면서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노인 의료비의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약사의 업무도 조제와 복약지도가 중심이 되었던 과거와 달리 통합적 약료서비스로의 변화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의료기관의 경우 약사의 참여율이 낮았던 ‘팀 의료’ 에서의 약사의 참여를 요구하는 경향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한 ‘중환자실 적정성 평가’의 실시가 결정되면서 중환자실 다 학제 간 회진에 약사의 참여는 필수적 요건이 되었다. 중환자실 환자의 경우 질환의 정도가 심각하고 동시에 다수의 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양한 약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중환자는 장기부전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약물 유해 반응 발현에 더욱 취약하여 약물 투여에 있어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실제, 미국과 유럽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약물 상호 작용 현황과 중환자실 전담약사의 약물 상호 작용 관리 업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국내의 경우 중환자실 환자의 약물 상호작용 현황과 관련한 기초적인 연구와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 목적: 원내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약물처방과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처방 내 약물 상호작용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심각한 약물 상호작용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중환자실 약료서비스 활동에서 전담약사의 역할과 업무를 정의하고, 추후 서비스 활동의 보완과 확장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14년 10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 까지 건국대학교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연령이 19세 이상이면서 처방약제가 1가지 이상인 1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Lexi-Comp® Online database를 통해 환자의 처방약제 중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가능성이 있는 조합을 조사하였다. 검색된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 중 위험도 ‘C’ (해당 약물 병용 시 모니터링 필요)이상의 약물 상호작용 조합만을 선택하여 병용 투여 여부를 조사하였고, 검색된 결과를 엑셀에 약물 성분 별로 기록하였다. 조사한 약물 상호작용 조합 중 위험도 ‘D’ (해당 약물 병용 시 치료 변경 필요)이상의 약물 상호작용 조합이 병용 투여된 경우 실제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 존재 군과 비 존재 군 간의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의 유무, 중환자실 재원일수, 사망여부를 비교하고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관련 인자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이 발견된 환자는 92명(79.3%), 발견되지 않은 환자는 24명(20.7%)이었다. 대상환자의 성별은 남성 73명(62.9%), 여성 43명(37.1%)이었고, 평균연령은 62.5세, 중환자실 평균 재원일수는 6일, 처방 받은 약제 수는 18.4개였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 중 사망환자는 총 23명으로 관찰되었다.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 존재 군의 평균 나이는 63.8세, 비 존재 군의 경우 57.3세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p=0.0465), 중환자실 재원일수는 존재 군은 평균 6.96일, 비 존재 군은 평균 2.50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p=0.0002). 처방약제수는 존재 군은 평균 21.03개, 비 존재 군은 평균 8.38개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01). 위험도 ‘C’ 이상의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은 총 1,123건이었다. 약효군별 점유율은 마약류(14.38%), 항균제(7.21%), 이뇨제(7.21%)순으로 나타났고, 약물 성분 별 점유율은 furosemide(6.37%), tramadol(4.85%), remifentanil(4.54%) 순으로 나타났다. 위험도 별 건수는 위험도 ‘C’ 950건(84.60%), 위험도 ‘D’ 142건(12.64%), 위험도 ‘X’ 31건(2.76%)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실제 의무기록 검토에서 환자에게 관찰 가능한 이상반응이 나타난 약물 상호작용 조합은 10건으로 나타났다. 약물 상호작용 조합 존재와 관련된 요인을 관찰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처방약제가 증가할수록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이 일어날 가능성은 1.385배 상승하였다[OR=1.385, 95% CI: 1.190-1.612]. 중환자실 재원일수가 증가할수록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이 일어날 가능성은 1.646배 상승하였다[OR=1.646, 95% CI: 1.143-2.370]. 약물 상호작용과 관련 인자가 중환자실 재원일수와 사망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처방 약제 수(p<0.0001)와 약물 상호작용 조합 수(p=0.0044)가 중환자실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었으며, 처방 약제 수(p=0.0375)가 사망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환자실 환자의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은 환자의 중환자실 재원일수, 처방 약제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처방 약제 수와 잠재적 약물 상호작용 조합 수는 중환자실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었으며, 처방 약제 수는 사망여부에 영향을 주었다. 중환자는 약물 상호작용으로 인한 이상 반응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약사의 중환자 약료 참여와 약물 상호작용 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