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미-
dc.contributor.author김구슬-
dc.creator김구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3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364-
dc.description.abstract전통적으로 몰수는 범행에 사용된 도구 또는 범죄행위로 취득한 물건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었으나, 오늘날 범죄수익몰수제도에서는 범죄행위를 통하여 직접 취득한 재산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재산에서 유래한 일체의 재산까지도 몰수의 대상이 된다. 범죄수익몰수제도는 “범죄를 통하여 이익을 얻을 수 없다(A crime does not pay)”는 인식을 확산시킴으로써 범죄의 동기를 제거하고, 아울러 범죄수익이 범죄에 재투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범죄의 경제적 기반을 무너트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약물범죄, 조직범죄, 부패범죄 등 수익형 범죄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범죄수익몰수의 확대ㆍ강화 및 국제공조의 강조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추세에 부응하여 범죄수익몰수제도를 도입하고 수차례의 관련법 개정을 통해 부분적인 제도개선을 해왔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몰수ㆍ추징제도가 실효성있게 운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현행의 범죄수익 몰수ㆍ추징제도는 우선 몰수를 유죄판결에 부가하여서만 과할 수 있도록 하고 독립적 몰수절차를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몰수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몰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치명적 약점을 갖는다. 예컨대, 범인이 사망하거나 도주한 경우 및 공소시효가 완료된 경우 등에는 몰수가 불가능하고 범죄수익은 범죄자 및 제3자가 그대로 보유하게 되는 부당한 결과가 야기되는 것이다. 그리고 현행 몰수ㆍ추징제도는 신중하고 전문적인 법리적 검토를 거칠 여유 없이 사회적 요구에 따라 몰수특례법의 제ㆍ개정을 하면서 몰수관련규정들이 비체계적이고 내용도 중복되는 부분이 많아 법적용의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그때그때의 사회적 필요에 따라 몰수가 강화ㆍ확대되는 과정에서 경제적 정의를 구실로 국민의 재산권이 부당히 침해될 우려가 있는 특례규정들이 생겨나고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법치국가적 기본질서 내에서 범죄수익 몰수제도의 실효성과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몰수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현행 범죄수익몰수제도의 근본적 약점으로 지적되어 온 독립적 몰수절차 부재의 문제를 해결할 것을 제안하였다. UNODC 등의 국제기구에서는 범죄수익몰수의 실효성확보를 위해 형벌과 몰수를 분리하는 조치를 권고하고 있고, 이를 통틀어 NCB몰수, 즉 유죄판결을 기초로 하지 않는 몰수라고 부른다. NCB 몰수는 각국의 고유한 법체계에 따라 민사몰수, 대물몰수, 독립몰수 등의 제도로 구체화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민사몰수제도를 도입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범죄수익몰수를 실현하자는 의견이 주장되기도 하지만, 민사몰수제도는 공사법 이원론이 정착되지 않은 영미법상 독특한 제도로서, 민사사건과 형사사건이 엄격히 분리되어 있는 우리 법체계상 민사몰수제도 도입은 자칫 무죄추정원칙 위반, 이중처벌금지원칙 위반, 과잉금지원칙 위반 등 여러 헌법적 논란을 야기할 소지가 크다. 몰수나 추징을 독립된 절차에서 부과하게 하더라도 이 절차는 어디까지나 형사절차의 일종으로 다루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다만, 변론을 거쳐 판결에 이르는 소송절차를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독일의 독립몰수절차처럼 서면심리를 거쳐 결정에 이르는 절차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하여 새로 도입되는 독립적 몰수절차는 ① 위법하나 책임이 인정되지 않아 유죄의 재판을 할 수 없는 경우, ② 주형에 관하여 사면이 있은 경우, ③ 범인이 특정되지 아니하거나 소재가 불명인 경우, ④ 범인이 사망하거나 범인인 법인이 존속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⑤ 형의 면제사유가 있는 경우, ⑥ 공소시효가 완성된 경우, ⑦ 검사가 기소유예나 공소보류의 처분을 하는 경우, ⑧ 공소가 취소된 경우, ⑨ 형사소송법 제306조에 따른 공판절차의 정지가 있은 경우 등의 사례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범죄수익 몰수제도의 개선방안과 관련하여 몰수ㆍ추징 특례규정의 단일화를 제안하였다. 몰수대상범죄의 중복 및 몰수규정의 적용경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무원범죄특례법, 마약류특례법, 정치자금특례법, 부패재산특례법, 범죄수익규제법의 범죄를 통합할 필요가 있다. 새롭게 단일화될 몰수특례법에는 기존의 법률에서 각각 다르게 규정하고 있는 수익개념을 통합하여 재산에 대한 정의규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특례법과 별개로 먼저 몰수ㆍ추징 대상을 통합하고 확대할 필요가 있는데, 몰수의 일반규정인 형법총칙의 경우에는 몰수대상범위를 유체물에 한정하지 않고 수익이 포함될 수 있도록 명시적으로 개정해야 한다. 그리고 몰수ㆍ추징요건의 통합에 있어서는 전제범죄와 몰수대상과의 관련성입증책임을 완화하는 규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개정안에서는 현행 마약류특례법에 두고 있는 추정규정은 위헌의 여지가 있기 때문에 채택하지 않았고, 공무원범죄특례법이나 정치자금특례법의 증명규정을 검사의 입증책임 완화방안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범죄수익 몰수ㆍ추징절차도 실효성확보에 적합하게 통합되어야 한다. 즉, 각 특례법에 중복된 몰수ㆍ추징절차의 특례, 제3자 참가절차의 특례, 보전절차의 특례규정을 일원화하여 해석의 복잡함과 중복입법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또한 제3자 귀속재산을 몰수함에 있어서는 선의의 제3자 보호절차를 반드시 보장하여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범죄수익몰수특례법의 제정을 제안하였고, 범죄를 통하여 취득한 불법수익 등의 환수를 위해 통합된 몰수ㆍ추징의 특례법안은 “범죄수익 몰수의 절차 등에 관한 특례법(약칭 : 범죄수익 몰수특례법)”이라고 명명하였다.; Traditionally, confiscation has been applied to tools used in a crime, or goods acquired via criminal activities. In today’s confiscation of the proceeds of crime, all properties directly or indirectly resulting from criminal activities are also confiscated. The confiscation system seeks to discourage crimes by showing that "crime does not pay", and to destroy economic base of crimes by preventing investment of criminal proceeds in other criminal activities.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crimes for profits, including narcotic crime, organized crime, and corruption, can be summarized into strengthening of confisc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Korea has responded to the international trend by introducing confiscation of proceeds of crime in the form of several acts on special cases of confiscation starting from mid-1990s, including: “An Act on Special Cases of Illicit Traffic in Narcotic Drugs and Psychotropic Substances”, “An Act on Special Cases of Confiscation on Crimes of Government Officials”, “An Act on Regulations and Punishment against Concealment of Proceeds of Crime”, “An Act on Special Cases of Confiscation on Illegal Political Fund”, and “An Act on Special Cases of Confiscation and Recovery of Corruption Properties.” However Korean system of confiscation has been criticized as ineffective in reality. The cause of ineffectiveness of the confiscation system in Korea is frequently given as the judicial authority’s lack of the executive ability. While the practical faults concerning the execution of laws certainly cannot be ignored, the more fundamental cause lies in the legal system itself. The current system of confiscation is problematic in several aspect: 1) The current system does not recognize individual confiscation procedure. Confiscation is only possible when the accused is declared guilty. Thus, in some cases, confiscation cannot be carried out when it is necessary. For instance, when the offence has died or absconded, or when the statute of limitations has passed, prosecution and confiscation become impossible. Following this, the criminal and the related third party retains criminal proceeds. 2) Regulations in acts on special cases of confiscation are overlapping and disorganized, making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act complicated. As the result,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confiscation acts in reality. 3) Several provisions under the special confiscation acts carry the danger of going against the constitution, since they can excessively violate property rights. Detailed, fundamental improvements are necessary for the confiscation system to overcome its current problems, and to become effective and fair under constitutional order. To improve the confiscation system, the problem of the lack of individual confiscation procedure must be solved firs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ODC urge countries to consider permitting NCB(non-conviction based) asset forfeiture when the offender cannot be prosecuted. NCB forfeiture is a critical tool for recovering the proceeds and instrumentalities of crime. It is a legal mechanism that provides for the restraint, seizure, and forfeiture of proceeds of crime without the need for a criminal conviction; it can be essential to successful asset recovery when the violator is dead, has fled the jurisdiction, is immune from investigation or prosecution etc. This study examines instances of NCB forfeiture in various countries, and confirms their respective benefits and downside to see which model can be adapted in Korea. This study compares the Anglo-American civil forfeiture and German Selbständige Anordung intensively. Under the American civil forfeiture, assets can be confiscated if “probable cause” can be found, regardless of prosecution or conviction status. Since the forfeiture procedures begin immediately after seizure has been carried out and investigating authorities have less responsibilities regarding proof, forfeiture is fast and easy. Recently, some have suggested introducing civil asset forfeiture in Korea. Yet, being a unique system in Anglo-American legal system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law is unclear, it can cause legal conflicts in Korea, such as being against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double jeopardy, and proportionality. On the other hand, German Selbständige Anordung follows criminal procedures, only allowing in exceptional cases. The German system attempts to be effective, while minimizing the danger of infringing fundamental rights and keeping the distinction between civil and criminal law. In introducing NCB forfeiture in Korea, the process of confiscation should still based on criminal law. It is advisable to refer to the system of German Selbstänge Anordung ; individual forfeiture should also be within the boundaries of criminal procedure, but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written form instead of oral defense. The individual forfeiture can be used in the cases such as: 1) when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a trial because the accused cannot be held responsible, 2) when granted a pardon for the main punishment, 3) when the offender cannot be specified or found, 4) when the offender has died or the juristic person no longer exists, 5) when there are reasons for the remission of punishment, 6) when the statute of limitation has passed, 7) when the public prosecutor decides not to institute a prosecution, 8) when the prosecution has been withdrawn, and 9) when the trial procedure has been suspended according to Criminal Procedure Act §306. The second suggestion regarding improvements to confiscation of the proceeds of crime is the unification of special provisions. There are several ways to achieve this, but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in which a new individual forfeiture system is about to be introduced,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enact a new special Act encompassing all confiscation of criminal proceedings. Basic guideline for unification is as follow: 1) Subjects of confiscation should be integrated and expanded. 2) The procedures of confiscation should be unified for the sake of effectiveness. 3) Concerning the improvements to confiscation requirements, relief of responsibility for proof is necessary, but presumption provisions should be avoided since they are subject to controversy of constitutional violation. 4) Expansion of confiscation of third-party properties must be carefully examined. Based on above arguments, this study proposes the enactment of a new act on special cases of criminal proceeds confiscation. The new act that defines special provisions regarding confiscation of illegal proceeds within the boundaries of criminal law will be named “An Act on Special Cases of Procedures of Confiscation of Proceeds of Crime”. This act will include general provisions such as its aim and definition, and will define systematically the subjects of confiscation, individual confiscation provisions (requirements and procedures), special provisions regarding the confiscation procedure, special provisions regarding third-party participation, preservation procedur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ced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4 Ⅱ. 현행 범죄수익 몰수ㆍ추징제도에 대한 기초적 고찰 6 A. 몰수ㆍ추징 현황 6 1. 몰수ㆍ추징의 집행 현황 6 2. 몰수ㆍ추징 부진의 원인 10 B. 몰수ㆍ추징의 법적 성격 12 1. 형벌인가, 보안처분인가 12 가. 학설 12 (1) 형벌로 보는 견해 12 (2) 보안처분으로 보는 견해 13 (3) 몰수의 대상에 따라 구별하는 견해 13 (4) 형벌과 보안처분의 복합적 성격을 인정하는 견해 14 나. 판례 15 다. 검토 16 (1) 몰수의 법적성격에 관한 논의의 실익 16 (2) 몰수의 실질적인 성격 17 2. 몰수 ‧ 추징의 부가성 19 가. 형법 제49조에 규정된 몰수의 부가성 19 나. 형법 제49조 단서에 규정된 몰수의 부가성에 대한 예외 20 다. 검토 21 3. 몰수ㆍ추징의 이른바 ‘징벌적 성격’ 23 가. 판례의 징벌적 몰수ㆍ추징 개념 23 나. 검토 25 4. 소결 27 C. 몰수 ‧ 추징 규정 28 1. 형법의 몰수 ‧ 추징 규정 28 가. 총칙의 몰수ㆍ추징 28 (1) 몰수의 대상 29 (2) 몰수의 요건 30 (3) 몰수의 선고 및 효과 31 (4) 추징 31 나. 각칙의 몰수 ‧ 추징 32 (1) 뇌물죄에서의 몰수ㆍ추징 32 (2) 아편에 관한 죄의 몰수ㆍ추징 33 (3) 배임수재죄의 몰수ㆍ추징 33 2. 주요 몰수특례법의 몰수 ‧ 추징 규정 34 가. 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특례법(약칭 : 공무원범죄특례법) 35 (1) 입법취지 35 (2) 주요내용 35 나. 마약류 불법거래방지에 관한 특례법 (약칭 : 마약류특례법) 37 (1) 입법취지 37 (2) 주요내용 37 다.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약칭 : 범죄수익규제법) 38 (1) 입법취지 38 (2) 주요내용 39 라. 불법정치자금 등의 몰수에 관한 특례법 (약칭 : 정치자금특례법) 40 (1) 입법취지 40 (2) 주요내용 41 마. 부패재산의 몰수 및 회복에 관한 특례법(약칭 : 부패재산특례법) 41 (1) 입법취지 41 (2) 주요내용 42 3. 몰수ㆍ추징 규정의 주요내용 비교검토 42 가. 몰수의 대상 및 범위 42 (1) 형법 42 (2) 몰수특례법 43 나. 몰수ㆍ추징의 규정방식 45 (1) 형법 45 (2) 몰수특례법 46 다. 혼화재산 또는 혼합재산의 몰수 46 (1) 형법 46 (2) 몰수특례법 49 라. 입증책임 완화규정 49 (1) 형법 49 (2) 몰수특례법 49 마. 절차규정 52 (1) 형법 및 형사소송법 52 (2) 몰수특례법 53 4. 몰수ㆍ추징 규정의 주요내용 비교 표 56 D. 현행 몰수추징제도의 문제점 57 1. 독립된 몰수절차를 인정하지 않는데서 비롯된 문제점 58 가. 몰수의 필요성이 있어도 몰수할 수 없는 문제 58 나. 몰수를 위해서는 반드시 기소를 해야 하는 문제 60 다. 포괄일죄의 경우 철저한 범죄수익몰수가 곤란한 문제 60 2. 몰수특례법의 난립과 몰수규정의 중복에서 비롯된 문제점 61 가. 대상범죄의 중복과 적용법규 경합의 문제 61 나. 절차규정의 중복 및 준용의 문제점 62 3. 몰수강화에서 비롯된 권리침해의 우려 64 가. 입증책임 완화규정을 둘러 싼 논란 64 (1) 입증책임 완화규정의 필요성과 무죄추정의 원칙 64 (2) 외국의 동향 66 (3) 검토 69 나. 제3자 귀속재산의 몰수ㆍ추징 확대의 문제점 72 (1) 제3자 귀속재산 몰수ㆍ추징의 기본원칙 72 (2) 제3자 귀속재산의 몰수ㆍ추징 확대의 문제점 73 다. 특정사건 혹은 개인을 겨냥한 예외적 형사입법의 문제점 76 (1) 이른바 전두환 추징법과 유병언법 76 (2) 특정사건 혹은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몰수특례규정의 문제점 77 4. 소결 80 Ⅲ.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제도 82 A.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의 의미 82 1.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의 등장 배경 82 2.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의 특징 84 가.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와 전통적인 형사몰수의 차이점 84 나.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의 활용 영역 86 3.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의 모델 88 가. 영미법계 국가에서의 NCB몰수 모델 89 나. 대륙법계 국가에서의 NCB몰수 모델 89 다. 두 모델의 비교 89 B.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의 비교법적 검토 91 1. 미국의 민사몰수 (Civil Forfeiture) 92 가. 미국의 몰수제도 개관 92 (1) 몰수의 종류 92 (2) 법적 근거 93 (3) 개혁적 동향 94 나. 민사몰수의 대상 96 다. 민사몰수의 법적 성격 97 라. 민사몰수의 절차 99 (1) 압수 99 (2) 고지 100 (3) 이의신청 100 (4) 민사몰수의 소 101 (5) 보전명령 102 마. 민사몰수에서 권리자 보호 102 바. 민사몰수와 형사몰수의 관계 103 (1) 민사몰수와 형사몰수의 비교 104 (2) 민사몰수와 형사몰수의 관계 106 사. 검토 107 2. 독일의 독립몰수(Selbständige Anordnung) 107 가. 독일의 몰수제도 개관 108 (1) 몰수의 종류 108 (2) 몰수의 제한 109 (3) 부가형으로서의 몰수와 예외적 독립몰수 110 나. 독립몰수의 요건 111 (1) 사실상의 이유로 소추 또는 유죄판결 불능(제76조a 제1항) 112 (2) 법률상의 이유로 소추 또는 유죄판결 불능 (제76조a 제2항) 113 (3) 형의 면제 또는 절차의 중지 (제76조a 제3항) 115 다. 독립몰수의 절차 115 (1) 청구 115 (2) 절차참여 117 (3) 재판 117 (4) 절차의 전환 119 라. 독립몰수의 법적 성격 120 마. 독립몰수와 민사몰수의 비교 121 바. 검토 122 3. 그 밖의 입법례 123 가. 영국의 민사환수(Civil Recovery) 123 (1) 민사환수제도의 법적 근거 123 (2) 민사환수의 법적 성격 125 (3) 민사환수의 절차 126 나. 캐나다의 대물몰수 및 민사몰수 129 (1) 법적근거 129 (2) 캐나다 연방형법의 대물몰수제도(in rem forfeiture) 130 (3) 캐나다 일부 주의 민사몰수제도 (civil forfeiture) 131 다. 스위스의 독립몰수 133 (1) 법적근거 133 (2) 몰수의 요건 및 절차 133 라. 검토 135 C.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제도 도입의 필요성 136 1. 문제의 소재 136 2.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몰수의 도입을 위한 종래의 시도 138 가. 형법개정을 통한 독립몰수 도입 시도 149 나. 특례법의 제정을 통한 민사몰수 도입 시도 140 (1) 불법정치자금등 국고환수특별법안(2004년) 141 (2) 특정재산범죄수익 등의 환수 및 피해구제에 관한 법률안(2015년) 142 3. 검토 144 Ⅳ. 범죄수익 몰수ㆍ추징제도의 구체적 개선방안 145 A. 유죄판결에 기초하지 않는 독립몰수의 도입 145 1. 새로운 몰수제도 도입의 기본방향 145 가. 소송구조 145 (1) 형사절차 또는 민사절차? 145 (2) 판결형식 또는 결정형식? 146 나. 새로운 몰수의 명칭 - 독립몰수 147 다. 독립몰수와 기존 형사몰수절차와의 관계 147 (1) 기존의 형사몰수 보완 148 (2) 형사몰수의 대체 가능성 여부 148 (3) 형사몰수와의 절차적 병행가능성 여부 159 라. 구체적인 입법방식 150 (1) 독립몰수절차의 입법방식 150 (2) 독립몰수의 적용범위 및 대상 151 2. 독립몰수의 요건 152 가. 독립몰수 요건의 규정방식 153 나. 독립몰수 요건 154 (1) 위법하나 책임이 인정되지 않아 유죄의 재판을 할 수 없는 경우 154 (2) 주형에 관하여 사면이 있은 경우 155 (3) 범인이 특정되지 아니하거나 소재가 불명인 경우 156 (4) 범인이 사망하거나 범인인 법인이 존속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 156 (5) 형의 면제사유가 있는 경우 158 (6) 공소시효가 완성된 경우 159 (7) 검사가 기소유예나 공소보류의 처분을 하는 경우 159 (8) 공소가 취소된 경우 160 (9) 형사소송법 제306조에 따른 공판절차의 정지가 있은 경우 160 3. 독립몰수의 절차 161 가. 독립몰수의 관할 161 나. 독립몰수명령의 청구 162 (1) 청구권자 162 (2) 청구의 방식 163 다. 피청구인과 권리자 보호 163 (1) 고지 및 명령청구서 부본의 송달 164 (2) 절차참여 164 라. 법원의 심리 및 결정 165 4. 독립몰수의 효력 165 B. 범죄수익 몰수ㆍ추징 규정의 정비 166 1. 몰수ㆍ추징 특례규정 정비의 방식 167 가. 몰수ㆍ추징 특례규정의 단일화 167 나. 단일화의 방식 167 다. 단일화의 범위 169 2. 몰수ㆍ추징 특례규정 단일화의 기본방향 170 가. 몰수ㆍ추징 대상범위의 확대 및 통합 171 (1) 형법의 몰수대상범위의 확대 171 (2) 몰수특례법의 몰수대상범위의 통합 172 나. 몰수대상범죄의 통합정비 174 (1) 몰수대상범죄의 통합기준 174 (2) 몰수대상범죄의 통합방안 176 다. 몰수ㆍ추징 요건의 보완 179 (1) 입증책임 완화규정의 개선 179 (2) 제3자 귀속재산 몰수추징 확대의 제한 182 라. 몰수ㆍ추징 절차의 통합 184 C. 새로운 범죄수익몰수특례법(私案)의 구상 185 Ⅴ. 결론 195 참고문헌 199 ABSTRACT 2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55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범죄수익몰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독립몰수의 도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Confiscation of the Proceeds of Crimes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Individual Confiscation-
dc.creator.othernameKim, Ku Seul-
dc.format.pagexi, 210 p.-
dc.contributor.examiner장영민-
dc.contributor.examiner심희기-
dc.contributor.examiner한영수-
dc.contributor.examiner조현욱-
dc.contributor.examiner정현미-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