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홍유리-
dc.creator홍유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1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134-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examines critical awareness in the works of Julian Schnabel (1951). Julian Schnabel was an artist who shared the critical spirit prevalent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during the cultural upheaval in the post-Second World War American society. I began work on this thesi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re may be a relationship between this critical awareness and the various cultural motives and provocative expressions in Schnabel’s work.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e U.S. enjoyed strong political status as the leading Western power, along with great economic wealth. Thes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allowed American society to foster an optimistic outlook. In addition, based on the aesthetics of formalistic modernism proposed by the American critics of the time, the U.S. was reborn as an international center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However, in the 1960s, the issues of racism and poverty that had been hidden in American society became visible; concomitantly,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defeat in the Vietnam War and the oil crisis aggravated the confusion in American society. During this period, the anti-war movement, human rights movement, and hippie culture were created by young people in order to criticize the pre-established social structures and value systems. Along with this change, young artists became aware of the limits of the formalistic modernist concepts that were prevalent in the art world, and consequently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e midst of these events, Schnabel produced works based on his interest in the lives of people in the lower strata of American society and that reflected his critical views and his doubt in religious values. Schnabel created paintings that expressed distorted images of traditional Christian subjects and icons and incorporated criticism of contemporary Christian groups. Considering that Christianity is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value system that sustains American society, we can assume that Schnabel was challenging the authoritarian power and values of this society. Through subjects that addressed the cultures of various minority groups in the U.S., he demonstrated that the issues experienced by immigrants were not part of the main concerns of American society. Schnabel was suggesting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U.S. was a multi-ethnic nation, the country largely perpetuated a cultural hierarchy that was based on a western perspective. Schnabel also produced works that depicted humans committing cruel acts openly and publicly in society. Through these works, he exposed humanity’s violent nature, which is concealed behind the guise of civilized society. Finally, while he produced works that emphasiz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veryday objects, he also created images that removed the division between abstract images and concrete images. As a result, he resisted the hierarchical order of artistic concepts that had been established by the modernist thinking system. This thesis suggests that Schnabel’s critical awareness alluded to fundamental questions regarding traditional value system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His interest lay in the underlying issues related to hierarchical orders and general human nature, as reflected in the human thinking system. One might say that while he expressed critical awareness through concrete objects and forms, he continued to represent formative values through genuine and spontaneous creations.;본 논문은 줄리언 슈나벨(Julian Schnabel, 1951-)의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줄리언 슈나벨은 전후 미국사회가 거쳐 온 격변의 시기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대두되었던 비판정신을 공유하였던 작가였다. 본 논문은 슈나벨의 작품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적 모티브와 도발적인 표현방식이 이러한 비판적인 의식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제 2차 세계 대전 종식 후 미국은 자유진영의 맹주로 정치적 위상이 격상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도 풍요를 이루었고, 이러한 정치 경제적인 요건은 미국 사회에 낙관적인 전망을 불어넣었다. 또한 미국은 당시 미국의 비평가들이 내세운 형식주의 모더니즘 미학을 바탕으로 전 세계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도 거듭나게 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이르러 미국 사회에 잠재되어 있던 인종문제, 빈곤문제가 가시화되던 한편, 베트남 전쟁의 패전, 석유파동과 같은 국제적인 갈등 상황은 미국 사회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이 과정에서 당대의 젊은이들은 반전운동, 인권운동, 히피문화 등의 형태로 기존의 사회 구조와 가치체계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미술계의 젊은 작가들 역시 화단의 주류로 자리 잡은 형식주의 모더니스트적인 회화개념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전개해나가게 되었다. 당대의 상황 속에서, 슈나벨은 미국사회 하층민의 삶에 대한 관심, 종교적 가치관에 대한 회의 등을 바탕으로 비판적인 시각을 투영한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슈나벨은 전통적인 기독교 도상과 주제를 왜곡시켜 표현하거나, 현대사회의 기독교 집단의 모습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기독교회화를 선보였다. 기독교가 미국 사회를 지탱하는 가치 체계의 기저에 존재하는 근본적인 원리라는 점에서, 슈나벨이 미국 사회의 권위와 가치체계 그 자체에 대해 도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는 미국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수 민족의 문화를 지시하는 소재를 통하여, 이민자들의 문화가 미국 사회의 주류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슈나벨은 미국이 다민족으로 구성된 나라임에도 그 안에 서구 중심주의적인 시각에 입각한 문화적 위계구조가 통용되고 있음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슈나벨은 사회에서 공공연하게 자행되고 있는 인간의 잔혹한 행위들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그는 문명화된 사회 속에서 인간이 숨기고 살아가는 폭력적인 본성을 폭로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일상적인 사물이 가진 물질적인 특성을 강조한 작품을 제작하는 한편, 추상적인 이미지와 구체적인 사물을 인지하게 만드는 이미지의 구분을 와해시키는 화면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슈나벨은 모더니스트적인 사고체계가 만들어 낸 예술 개념 내의 위계질서에 저항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슈나벨의 비판의식이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전통적인 가치 체계에 대해 제기되었던 근본적인 물음에 닿아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는 인간의 사고 체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위계질서와 인간의 보편적인 본성이라는 보다 근원적인 문제에 관심을 보였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구체적인 사물과 형상을 통하여 이러한 비판의식을 표출하면서도, 순수한 화면 위의 자율적 효과에 의한 조형적 가치를 구현하는 일 역시 포기하지 않았던 작가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Ⅱ.슈나벨의 비판적 태도의 배경 8 A.1960-70년대 미국 내 저항문화의 대두 8 B.형식주의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성찰 16 Ⅲ.비판의식의 표출 양상 25 A.기독교적 질서에 대한 도전 25 B.서구 중심적 문화 구조에 대한 반성 35 C.인간의 본성에 내재된 폭력성 고발 42 D.모더니스트 미학에 대한 도전 51 Ⅳ.결론 60 참고문헌 63 도판목록 71 도판 78 ABSTRACT 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246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줄리언 슈나벨(Julian Schnabel)의 작품에 나타난 비판의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ritical Awareness in Julian Schnabel’s Works-
dc.creator.othernameHong, Yu Ri-
dc.format.pageiii, 92 p.-
dc.contributor.examiner윤난지-
dc.contributor.examiner이주은-
dc.contributor.examiner오진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