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1 Download: 0

高麗瓷器 菱花形 開光裝飾 硏究

Title
高麗瓷器 菱花形 開光裝飾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Lozenge Frame Celadon in the Goryeo Dynasty
Authors
주윤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고려 12세기부터 14세기에 자기에 나타나는 능화형 개광장식에 주목하여 문양이 유행했던 배경을 살펴보고, 문양의 특징을 파악하여 능화형 개광장식이 있는 자기의 성격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능화형 개광’은 자기 위에 둥근 곡선과 뾰족한 꼭지점으로 이루어진 마름모 형태의 윤곽선을 두고, 그 안과 밖을 장식하는 문양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대개 이를 능화문이라고 칭하나 한글과 한자, 영문 용어가 연구자마다 제각각 다르게 통용되고 있다. 따라서 용어적 고찰을 통해 국내외기록을 참고하여 ‘능화형 개광(菱花形 開光, Lozenge Frame)’이라고 정하여 본 논문에서 사용하였다. 여러 형태의 윤곽선을 뜻하는 개광은 8세기말에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아 중국화된 당대 금은기의 ‘휘장식 문양’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휘장식 문양은 사산조와 소그드계 기물 위에서 동물들과 함께 밧줄형태의 틀이 주변에 원형으로 둘러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문양은 당 말기에 이르면 면으로 확장되고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변형(혹은 唐式) 휘장식 문양’이 된다. 이는 요대에 이르러 당대 금은기 장식이 복고되고 장인들을 통한 기술이 전파되면서 북방을 중심으로 개광장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능화형 개광장식은 11세기에 북송 자주요 자침에서 가장 먼저 나타난다. 송, 금대 대표적인 민요인 자주요에서 제작된 백지척화 및 백지흑화기법의 호, 매병, 자침에서 주로 개광이 나타난다. 요대에 제작된 삼채해당화식장반은 8곡을 이루는 능화형의 기형으로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중반까지 유행했다. 서하에서는 12세기에 매병과 편호에서 개광의 사용이 가장 두드러진다. 또 원대에 제작된 능화형 개광장식 자기는 14세기 이후에 자주요와 경덕진을 중심으로 인화기법과 청화기법으로 매병, 호에 나타난다. 한편, 자기 외에도 1103년에 이명중에 의해 편찬된 건축 관련도서인 『영조법식』에서도 능화형 개광과 유사한 형태가 보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능화형 개광장식은 자기뿐만 아니라 공예ㆍ건축분야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중국과 고려의 능화형 개광장식 자기는 기종과 문양에서 공통적인 요소가 나타난다. 특히 요의 해당화장반의 기형이 고려시대 매병이나 자침ㆍ자판에 시문된 능화형 개광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또 청자능화형접시가 강진과 부안에서 출토되어 요 자기와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이에 고려자기에서 능화형 개광이 나타나게 된 것은 고려로 귀화한 거란계 금속공예 장인들의 기술전파에 있다고 보았다. 또 고려 내부적으로는 도안에 의해 금속ㆍ칠기ㆍ도자의 기법과 문양이 공유될 수 있었던 배경에 있다. 화공이 도안을 제작하고 장인들이 공예품을 만드는 고려시대 직제의 구조로 볼 때 도안의 성격을 가진 모본이 있었다면 매개체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시대 능화형 개광장식 자기는 적은 수량이지만 고려 중기의 요장 가운데 강진 사당리, 용운리, 계율리, 부안 유천리에서만 출토되었다. 강진 용운리 10호 Ⅱ층에서 상감의 매병과 잔편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12세기 중반 이후부터 상감기법의 능화형 개광장식 자기가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안 유천리에서는 능화형 개광장식이 있는 상감자판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국내외의 유적지와 해저유적에서는 매병, 자침, 잔편이 출토되었다. 소비지에서 출토된 상감매병은 부안 유천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어, 부안에서는 여러 기종에 능화형 개광장식의 활용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출토품을 통해 능화형 개광장식 자기는 12세기 중반부터 13세기에 제작되어 개경에 거주하는 상류계층을 중심으로 소비된 기물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유적 출토품과 전세품을 포함하여 총 113점에서 확인되는 능화형 개광의 유형은 형태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상하로 긴 A유형은 대개 12曲의 형태로 상감ㆍ양각ㆍ퇴화기법으로 주로 매병에서 나타나며 12세기 중반에서 13세기 초까지 등장한다. 둥근 B유형은 편호에서 보이며, 8곡의 형태로 A형보다 형태와 기법 면에서 단순화되며,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중반에 나타난다. C유형은 자판을 포함함 편평한 판의 형태인 자침, 상자에서 주로 장식된다. 내부 문양은 식물문으로 반복적이고 대칭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13세기에 유행한 것으로 보인다. D유형은 정마름모꼴 형태로 통형잔에 나타나 13세기 중반에 가면 크기가 작은 기물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각 유형에 따라 장식되는 기종과 시대의 차이를 보이며, 각 유형에서만 나타나는 능화형 개광 윤곽선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능화형 개광이 나타나는 기종을 살펴보면 매병, 편호, 자판 등이 있으며 세 가지 기종이 전체 수량의 80%이상을 차지한다. 매병은 과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능화형 개광장식은 장식적 효과를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기종에 비해 많은 소재의 문양이 등장한다. 편호는 모든 경우에서 편평한 두 면에 능화형 개광장식이 나타난다. 주로 백상감 위주의 개광이 시문되며, 개광의 내외면이 문양으로 가득 채워진다. 외부문양은 내부문양으로 보이지 않던 운학문과 매죽문이 주로 나타난다. 즉, 편호의 경우 장식패턴과 유행이 일정했음을 알 수 있다. 자판은 장방형에서만 능화형 개광장식이 보이며, 강진과 부안에서도 상품의 청자를 제작했던 사당리 23호와 유천리 12호 일대에서만 출토되어 고급의 기술로 제작된 기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고려시대 능화형 개광장식 자기를 1기와 2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1기는 12세기 중반부터 13세기 중반의 시기로 매병과 자판이 주된 기종이며, 능화형 개광이 장식적 효과를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강진과 부안에서 식기류와 특수용도의 개광장식 자기가 제작되어 회화성이 두드러지면서도 공예적으로 정교하다. 2기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로 원의 영향권 안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는 시기이다. 이후 원의 제도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능화형 개광장식을 선호했던 원의 공예적 기호가 고려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편호가 등장하면서 능화형 개광도 장식문양으로 활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즉 2기에는 고려의 자기 제작의 제도적 장치 안에서 능화형 개광장식이 규격화된 문양으로 정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보면 고려시대 능화형 개광장식은 이국적인 문양과 공예품 간의 문양공유에서 나아가 건축적 장식요소의 영향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능화형의 개광 프레임으로 인해 자기의 표면은 다중적인 공간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문양 소재로는 공예적 의장에서 머물지 않고 회화적 주제와 표현을 수용하면서 도자기가 감상의 대상이 될 수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선택되는 문양이 단순한 시각적 선호에서 벗어나 공예제도 안에서 적용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능화형 개광장식을 통해 그동안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던 편호에 대한 성격도 일부 밝힐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ackground of lozenge frame vogue in celadon during the 12-14th century in Goryeo dynasty and by understanding the features, it will allow us to see the characteristic of lozenge frame decoration. First, a lozenge frame is a outline with curves and sharp angular points shaped into diamond and patterns decorated in and out. Normally this design is determined differently in terms between korean, chinese and english. So by consulting multiple documents, this paper designated the name to 'Neunghwayeong Gaegwang(菱花形 開光, Lozenge Frame)'. This multiple outlined form of decoration so called gaegwang originated from Persia in late 8th century which influenced Tang gold and silver with 'drape patterns'. In Persia and Sogdian art, animals are decorated inside a rope outlined circular form. When this pattern comes to Tang, it widens to a surface and becomes localized. In Liao dynasty, the tradition handed down from Tang and spread of technology allowed the lozenge frame to grow on the basis of the North. The first appearance of lozenge frame in China is during North Song dynasty in 11th century from pillows made in Cizhou kiln. This typical private kiln during Song and Jin dynasty drew lozenge frames with white slips and iron pigmented decorations in vessels and pillows. Sancai made Liao even has octangle shape dish form of lozenge popular during late 11th century to mid 12th century. In Western Xia dynasty, vessels and flat bottles show the use of lozenge frame in 12th century. Yuan dynasty after 14th century still produced lozenge frame wares in Cizhou and Jingdezhen kiln with stamps and blue and white decorations on vessels and bottles. Not only were the decoration used in porcelain, but also in『Ying Tsao Fa Shih』a manual for housing written in 1103 also has a similar pattern. Through these examples, it can be seen that lozenge frame were used generally in crafts, architecture and celadon. China and Goryeo have similar elements in lozenge frame usage, types and decorations. Particularly Liao sancai octangle form is common with vessels, pillows and tile decorations in Goryeo celadon. Also fragments of lozenge shape dishes are found in Gangjin and Buan celadon kilns and show connection with Liao wares. The appearance of lozenge frame in Goryeo rely on naturalized citizen craftsmen from Khitan. Also internally, shared techniques and decorations among silver ware, lacquer ware, and celadon made it possible. Since patterns in Goryeo were made by the court artists and produced by craftsmen, a possibility of influence from books and design are also considered. The amount of lozenge frame celadon are left with few however, it is only excavated in certain kilns; Gangjin Sadang-ri, Yongun-ri, Gyeyul-ri, and Buan Yucheon-ri kiln. In Gangjin Yongun-ri kiln number 10 in Ⅱlayer, inlaid vessel and cup was found with lozenge frame, which indicates that from mid 12th century, this decoration started to be made. In Buan Yucheon-ri kiln, inlaid tile celadon were found. In submarine tracks in and out of the country, vessels, pillows and cups were excavated. Vessel found in consuming site is assumed to be made in Buan Yucheon-ri kiln. From different evidence found in sites show lozenge frame were used during mid 12th century to 13th century among upper class living near the capital, Gaegyeong. Total of 113 including site excavated and relics can be assorted into 4 different forms. A is one that is long in top and bottom, dodecagon form, inlaid and embossed, usually in vessels made during mid 12th century to early 13th century. B is shown in flat bottle with octagon form simplified than A type, made during late 13th century to mid 14th century. C includes tiles, flat pillows and boxes. It has repetitive patterns of plant design inside and fashioned during 13th century. D is a quadrate lozenge frame on cups, and when it comes to 13th century, it is shown in small sized objects. This classification indicates that different lozenge frame decorations are used in different types of wares in diverse periods. 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celadon with lozenge frame, vessel, flat bottle and tile, and they take 80% of the whole. Vessels with this decoration are in melon shapes to maximize the decoration. Compared to other wares, multiple materials are used to apply. In case of flat bottles, flat side on both ends have lozenge decorations. Usually inlaid in white and in and out are filled with decoration, such as cloud and crane or plum blossom and bamboo. are used. In tiles, only square shaped tiles are decorated with lozenge frame. These were only excavated in Gangjin Sadang-ri kiln number 23 and Buan Yucheon-ru kiln number 12, where only exquisite celadon were made. Based on research, lozenge framed celadon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First is from mid 12th century to mid 13th century, where vessels and tiles are the key type made and the lozenge shape dramatically appears as decoration. Second is from late 13th century to 14th century where it was closely influenced by Yuan. The fond of lozenge frame in China may have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his decoration. So for not just offering but also for use in court may have this pattern made. In other words,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pattern may have been standardized. Therefore from research, lozenge frame is a result of shared craftsmen technology among nations and artifacts as well as an influence of architectural elements which show in celadon. Moreover, this frame has crossed over to a picturesque state where it can be admired. The design itself can be speculated as a form of system rather than just a pattern. Finally, through this study of lozenge frame will allow to help solve the difficulties on flat bottle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