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정-
dc.contributor.author채혜진-
dc.creator채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1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111-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IT발전은 정보화 시대를 넘어 범람하는 정보와 치열한 브랜드 경쟁사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따라 기업들은 소비자와의 다양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아이덴티티’를 강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브랜드와 소비자의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중 최근 기업들은 브랜드 스토어를 활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립과 브랜드의 체험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플래그쉽 스토어로 나타나고 있으며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체험 및 브랜드 정보를 스토어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하며 소통공간으로 실행되고 있다. 현대 건축에서 중요한 패러다임 중에 하나인 투명성 최근,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정보전달과 상호작용성, 동시성, 개방성을 내포하며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시각적으로 미적인 쾌감을 제시하고 공간적으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동시적 지각을 제공하며 통합사고 전환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만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투명성을 플래그쉽 스토어에 접용하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써 표현하고, 결과적으로 소비자와 브랜드 사이의 차별화된 소통공간을 제안한다. 투명성을 접목한 플래그쉽 스토어가 국내에서도 형성되고 있지만 물성적인 특징인 유리의 사용으로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명성의 표현요소를 분류하고 플래그쉽 스토어 디자인에 접목한다. 그리고 투명성을 접목한 플래그쉽 스토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래드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정한다.; IT development and change today's lifestyle was awash with fierce brand competition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overflows the information age. According to this paradigm, companies began to communicate through a variety of ways with consumers' brand image and identity "to find ways to strengthen and the emergence of differentiated communication needs of consumers and brand strategy. Recent communications strategies of various companies are devoting efforts to strengthen its brand image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established brand identity and brand leveraging brand stores. This trend appears as a flagship store and flagship store is delivered to consumers through the store brand experience and br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pace has been executed.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digm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ransparency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information delivery and interactivity, concurrency, implies openness and reflects the personality that stimulates the senses of the user. In addition, to visually present the aesthetic pleasure and spatially provides simultaneous perception of different positions and allows integration accident switch becoming a means of communication might meet the user's needs. In line with this trend, using the contact transparency as a means of brand communication flagship store representation and, as a result, it offers a differentiated space of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It combines transparency Flagship store is formed in the country, but is limited to the use of the physical property characteristics of glass. This study classifies the expression elements of transparency and integrating the flagship store design. And it decided to propose a way to reinforce brand identity and image by Brad flagship store combines the transparency purpo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1 B.연구 방법 및 범위 2 II.투명성과 플래그쉽 스토어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A.투명성의 이론적 고찰 3 B.플래그쉽 스토어 이론적 고찰 14 C.투명성과 플래그쉽 스토어의 상관관계 18 III.투명성 표현유형에 의한 플래그쉽 스토어 사례분석 19 A.사례분석 전제 및 기준 19 B.사례분석 21 C.사례분석 결과 26 Ⅳ.투명성 표현유형을 적용한 플래그쉽 스토어 디자인 29 A.디자인 개요 및 목표 29 B.브랜드 분석 30 C.대상 선정 및 분석 34 D.디자인 개념 전개 39 E.공간 계획 47 F.종합 및 검토 59 Ⅴ.결론 및 제언 60 참고문헌 62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903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투명성 표현유형을 적용한 플래그쉽 스토어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S브랜드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ransparency of flagship store design : Focused on 'S' brand store-
dc.creator.othernameChae, Hye Jin-
dc.format.pagevii, 65 p.-
dc.contributor.examiner유연숙-
dc.contributor.examiner최정아-
dc.contributor.examiner최은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