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7 Download: 0

소재의 융합적 시도에 의한 공간연출용 패브릭의 조형성 연구

Title
소재의 융합적 시도에 의한 공간연출용 패브릭의 조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ormativeness of Fabric for Space Direction
Authors
조연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연순
Abstract
현 시대를 융합의 시대라고 한다. 융합이란 기존의 세분화 되어있던 각 분야들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서로 이질적인 분야의 만남이 숙성과정을 통하여 더 나은 발전으로 나아가려는 시도이며 각각의 서로 다른 가치의 조율로 인해 한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는 것이다. 본인은 섬유조형작업을 통하여 이러한 현세대의 경향을 고려함으로써 다른 성질의 재료인 철망조직과 융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독자적이고 고유한 미래 지향적 감성 패브릭을 연구 제안하고자 한다. 철망의 평직조직은 섬유의 큰 범주 안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단단하고 구부러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섬유나 실과는 다른 이질적인 소재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재료를 융합의 개념을 바탕으로 평직의 철망에 섬유의 보편적 가공방식중의 하나인 머신 스티치를 이용하여 자유로운 선의 반복을 통 한 조형작업을 진행한다. 그 과정으로 확장되어 나아가는 면으로 구성된 패턴들이 공간을 함유하며, 새로운 형태와 독특한 질감으로 공간연출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가운데 본인의 조형관을 만들어 나가려고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자료를 통해 서로 다른 소재의 혼합으로 융합적 사고를 반영한 작품의 사례를 분석한다. 둘째, 작업의 중요한 표현요소인 형태와 색상과 질감, 모티브에 관한 문헌 자료들을 통한 연구와 작업계획을 통해 샘플을 제작한 후 선별하여 작업을 진행시킨다. 셋째, 작업을 활용할 공간의 개념과 효과적인 공간연출에 관한 문헌 자료들을 분석하고 공간의 특성과 연출방법을 연구한다. 넷째, 소재의 융합적 시도를 통해 재해석한 공간연출용 패브릭 연구에 관한 8점의 작품을 제작하여 새로운 형태와 독특한 질감으로 공간연출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적 경향을 분석한 결과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소재를 선정하여 성질이 다른 견고한 철망조직과 부드러운 실이나 망사조직을 융합하였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재료의 융합에 관한 연구를 진행 하였고 그 결과 철망조직과 망사, 바느질선의 조합으로 인한 조형성을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었다. 둘째, 융합적 시도로서 철망의 머신 스티치 작업의 시도는 본 연구자로 하여금 독자적인 형태와 재질감의 표현기법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철망의 형태가 유지되는 견고함, 손의 힘으로도 구부러지는 성질과 부드러운 망사의 특성이나 실이 가지고 있는 바느질선의 자연스러움 이러한 이질적인 재료의 융합로 인하여 질감의 표현이 용이하고, 철망의 견고한 성질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실의 스티치와 혼합된 조직으로 교착하여 형태 유지가 가능하며 조화와 대비를 이루는 고유한 조직의 형태를 표현할 수 있었다. 넷째, 연구 작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형태와 색상이 조형적 가치를 생산하는 근원이 된다는 점과 조형 구조에 있어 변화와 통일을 어떻게 조화롭게 하는가에 관한 조형 이론을 재고하고 깊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섯째, 공간 연출용 입체조형물의 제작과 더불어 [작품6]과 [작품7]은 천정과 바닥면 사이의 구조물로써 성근 조직을 통해 본 연구자가 추구하는 긍정적인 기운과 공기가 소통되는 섬유벽의 설치를 시도하고 공간을 분리하며 기존의 공간에 시각적 변화를 모색하여 단조로움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였다. 여섯째, 4.5m × 4.5m 사이즈의 [작품8]은 설치공간의 조건과 스케일에 따라 조형적형태를 고려하여 변화롭게 설치 가능한 작품이다. 철망의 조직을 “원”의 모티브의 형태로 재단하여 융합적 사고에 의하여 바느질 기법으로 유닛을 반복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부드럽게 늘어지는 성질의 섬유로 재해석하여 설치를 시도하였고 작품은 마치 커튼이나 스카프를 걸어 놓은 듯한 직물의 형태로 벽을 타고 흘러내린다. 대규모의 이 설치 작품은 이질적인 소재와의 융합을 시도한 본인의 연구 작품들을 상징적으로 표현해 주었다. 공간은 인간과 가장 밀접한 환경이며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적 환경이다. 형태와 색상과 질감이 고려된 희소성이 있는 수작업의 현대적인 섬유작품을 이용한 공간연출은 어떠한 방법보다도 인간의 감성을 움직이는 질 높은 시도라 할 수 있겠다.;The present age is called as the age of convergence. Convergence is an attempt that the boundary of each field segmentalized in the past becomes ambiguous and meeting of different fields goes forward better development through the ripening process and takes one step forward due to the adjustment of each different value to create a new value. By considering this tendency of the current generation through the fabric formative work, this researcher tries to suggest a study on independent and unique future-oriented emotional fabric through the convergence process with wire mesh, a material of different nature. Even if included in the large category of fabric, the plain fabric of wire mesh is a material different from general fiber or yarn because of its firm but bent nature. Based on the concept of convergence, the formative work is conducted for these different materials through repetition of free lines by using the machine stitch, one of the most common fiber processing methods of a plain wire mesh. This researcher wants to make her own view of formative arts while patterns composed of sides expanding and going forward the process contain space and explore the probabilities of space direction with a new form and unique texture.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examples of works reflecting convergent thoughts by a mixture of different materials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Second, it progresses the work after making and selecting samples through the study and work plan through literature materials about form, color, texture and motif which are important expressive elements of work. Third, it analyzes literature materials about the concept of space to be used for work and effective space direction and studies spac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methods. Fourth, by making 8 pieces of work regarding the study on fabric for space direction reinterpreted through the convergent attempt of materials, it examines the probabilities of space direction with a new form and unique texture.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s of this age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materials were selected based on convergent thought and solid wire mesh tissue and soft thread or net texture with different nature were converged. This made it possible to conduct a study on convergence of different materials and as a result, formativeness due to the combination of wire mesh tissue and met, sewing line could be expressed effectively. Second, the attempt of the machine stitch work of the wire mesh as a convergent attempt became an opportunity for this researcher to explore an expression technique of an independent form and texture. Third, solidness maintaining the form of the wire mesh, flexibility bendable just with a hand force and characteristics of soft mesh or naturalness of sewing line of thread and convergence of these different materials enabled to express the form of unique texture; The expression of texture is easy and the form can be maintained by combining stitches of the soft thread with a strong property of the wire mesh and a unique fibrous tissue with harmony and contrast could be expressed. Forth, the process of the study work became an opportunity of reconsidering and deeply thinking the point that the form and color became the source of producing the formative value and the formative theory regarding how harmoniously the formative structure is changed and reunited. Fifth, in addition to the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sculpture for space direction, [work 6] and [work 7] are structures between the ceiling and floor and played a role of relieving monotony by attempting to installing the fibrous wall through which positive energy and air are ventilated through the loose tissue and separating space and searching for the visual change in the existing space. Sixth, [work 8] of 4.5m × 4.5m size is a work that can be installed variously by considering changes in the formative form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scale of installation space. Installation was attempted by cutting the tissue of the wire mesh in the form of motif of ‘circle’ and connecting the unit repeatedly with a sewing technique and reinterpreting it as fiber with property of softly sagging and the artwork flows down along the wall as a form of fabric like hanging a curtain or scarf. This large-scale artwork symbolically expressed study works of this researcher that had attempted convergence with different materials. Space is the environment closest to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with various functions. The space direction through modernistic fiber artworks of manual labor with scarcity considering form, color and texture can be said to be a high quality attempt moving human emotions than any other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