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동열-
dc.contributor.author윤진아-
dc.creator윤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4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483-
dc.description.abstractInstitutional repository has been expanded and developed throughout the world by means of open-access to publicly funded research results.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government-funded research results with considerable resources in research institutions should also provide easy accessibility to the general public. Nonetheless, these government-funded research results of research institutions in Korea are not activated for public access and utilization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and support on institutional reposito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ctivation plan for institutional repository based o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case and circumstance investigation, and survey was conducted. In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sults, the notion and feature of repository, and the implica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n research results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were examined. In case and circumstance investigation, I have investigated about the cases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overseas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under successful operation, includ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in Korea. With reference to overseas cases, I have chosen the object of investigation based on the world-famous sites such as, Ranking Web of Repositories and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which offer information on worldwide repositories. From the top ten repositories published by Top Institutional Ranking (from March 2015) of Ranking Web Repositories, I also have included, for object of investigation, four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excluding repositories of universities and topic-based. Hereupon, the following repositories have been included for this study: CERN Document Server(CDS) of the European Nuclear Research Institute, NASA Technical Reports Server(NTRS)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HAL-INRIA of the French National Institute for Information and Automation in France and Digital.CSIC of Spanish National Research Council in Spain. In addition, from the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the type was only limited to institutional repositories. Moreover, out of the Top 10 ranking (from June 2015) arranged in order in terms of activity, nine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universities have been excluded and one institutional repository of public research institute has been included as a object of investigation. The corresponding institutional repository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was MPG.PuRe of Max Planck Society in Germany, which is a publication-related repository. For overseas cases, a total of five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have been chosen as investigation target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institutional repository in Korea, I have chosen some qualified institutions registered by one of the following international institutions, which offer information on worldwide institutional repositories, such as Ranking Web of Repositories, OpenDOAR (The Directo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and ROAR(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Moreover, I have included some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established by the OAK (Open Access Korea) convention as an operation project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For this purpose, I have selected, as objects of investigation, seven institutional repositories which were accessible on-line up to May 2015. Furthermore, I have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not only with librarians who are the protagonists of each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but also researchers, who are the protagonists of the coope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ystem,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awareness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The questionnaire survey has been carried out with 5 librarians of operating institutions, 15 librarians of non-operating institutions and 40 researchers pertaining to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organization, the librarians of operating and non-operating institutions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realize that it is urgent to expand exclusive man power.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work of librarians is focused on cooperating with divisions of academic materials and IT, and they all hope to get help from exclusive specialized institutions in charge of establishing and supporting the opera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Researchers demonstrate great intention of cooperation with librarians. Second, with respect to policy, all the librarians of operating and non-operating institutions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chose the system-based automatic register method for the policy of contents submission and very few chose the self-archiving of researchers. Moreover, for contents type offered to institutional repositories, it turned out that multimedia research data are not included. More than 30% of researchers answered that they were not aware of the subject of copyright transfer regarding contents registered and this situation can cause future confusion. In addition, they showed concern for revealing the non-disclosure data. Third, with respect to technology, the answer ranked highest by the librarians of operating institutions of institutional repository was that subject field-based repository network is the most appropriate system, while the answer ranked highest by the librarians of non-operating institutions was that a research institute-focused or subject field-based network system is the most suitable. Researchers' satisfaction results on institutional repository use shows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item of easy accessibility(3.0) marked the lowest. 15% of researchers have demonstrated that their intention was far from making future use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because they feel uncomfortable with a disperse approach point for data searching. Fourth, with respect to operations, 82.5% of researchers agreed to receive the services of the latest contents list offered by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d 77.5% were willing to receive the statistic data of their own contents. More than half the researchers answered that they were willing to cooperate in services offered to external users, and they marked with a high average value(4.1), in terms of benefits through the increased academic exchanges with external researchers. 69.9% of researchers without the experience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answered that they were not informed of the presence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owing to lack of public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only few librarians received a training course related to institutional repositories but they wish to get related training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 a institutional repository activation plan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in terms of organization, policy, technology and operation,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rganization, at a state level, it is necessary to expand exclusive organization in charge of supporting the opera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for each institutional repository to establish cooperation system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institutions. Second, in terms of policy, a copyright guideline for researcher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when offering contents. In terms of policy of information gathering, based on gathering and offering method related to non-disclosure contents, it is required to set up measures of access authority according to the type of users. Moreover, the current system should draw more attention of users, not only by introducing the diverse methods of gathering and offering for more convenience, but also by discovering distinctive contents. Third, in terms of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pproach point by connecting with other institutional repositories or subject-based repositories. In addition, the search functions, such as the thesaurus and subject guid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offer easy accessibility of search expansion. Fourth, in terms of operation, diverse ways of personalized services and interactive services among researchers will be needed. Moreover, a new system should offer infometrics on institutions, researchers, diverse statistical data, and the impact indicator of the research results. Furthermore, the librarians ought to participate in periodical training courses and forums related to institutional repositories so as to make constant progress. This study can be a practical guidance for establish and operating repository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as well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the studies on the systematical management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performances and free access for the general public.;기관 리포지터리는 공공기금을 지원받은 연구성과물의 오픈액세스 수단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국가로부터 상당한 재원을 지원받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물 역시 일반 대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물은 기관 리포지터리의 인식 및 지원 부족으로 공공의 접근과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사례 및 현황조사,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개념과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성과물의 특성, 기관 리포지터리의 개념과 특징,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성과물에 대한 기관 리포지터리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사례 및 현황조사에서는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외 공공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사례와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의 현황을 조사였다. 국외 사례는 전 세계의 리포지터리 정보를 제공하는 저명한 사이트인 Ranking Web of Repositories와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를 참고하여 조사 대상을 선정하였다. Ranking Web of Repositories의 Top Institutionals 순위(2015년 3월 기준)에서 제공하는 상위 10위의 리포지터리에서 대학과 주제 리포지터리를 제외하여 공공 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4개를 조사 대상에 포함하였다. 이에 따라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 문서 서버(CERN Document Server: CDS), 미항공우주국 기술보고서 서버(NASA Technical Reports Server: NTRS), 프랑스의 국립정보자동화연구소 오픈 아카이브(HAL-INRIA), 스페인국립연구협의회 디지털 리포지터리(Digital.CSIC)가 해당되었다. 또한 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에서 기관 리포지터리로 유형을 제한한 후 활동성이 상(High)인 순서대로 정렬한 상위 10개의 순위(2015년 6월 기준)에서 대학 기관 리포지터리 9개를 제외하여 1개의 공공 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를 조사 대상에 포함하였다. 이에 해당 되는 공공 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는 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회 출판물 리포지터리(MPG.PuRe)가 해당되었다. 이에 따라 국외 사례는 총 5개의 공공 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현황조사는 전 세계의 기관 리포지터리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제적인 기구인 Ranking Web of Repositories와 OpenDOAR(The Directo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그리고 ROAR(Registry of Open Access Repositories) 중 한 곳에라도 기관 리포지터리가 등재되어 있거나, 문화체육관광부의 사업인 오픈액세스코리아(OAK)와 협약하여 구축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2015년 5월 현재 사이트 접속이 가능한 총 7개의 기관 리포지터리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의 구축·운영의 주체인 사서와 협력·이용의 주체인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관 리포지터리의 현황과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 분석은 운영기관 사서 5명, 비운영 기관 사서 15명,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소속 연구자 40명의 응답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적 측면에서 기관 리포지터리 운영・비운영기관의 사서는 전담인력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학술자료 부서, IT부서와의 협력 작업이 많으며,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운영을 지원하는 전담기관의 도움을 받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사서와 협력 의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적 측면에서 기관 리포지터리 운영·비운영 기관의 모든 사서는 컨텐츠 제출 정책으로 시스템을 통한 자동게재 방식을 선택하였으며, 연구자의 셀프아카이빙을 선택한 경우는 드물었다. 또한 기관 리포지터리에 제공하는 컨텐츠 유형으로 멀티미디어 자료, 연구 데이터 등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의 30% 이상은 컨텐츠 게재와 관련한 저작권 양도 사항에 대해 잘 모른다는 응답을 보여 혼란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외 비공개 자료의 공개 우려를 나타냈다. 셋째, 기술적 측면에서 기관 리포지터리 운영기관의 사서는 주제 분야별 리포지터리 네트워크가 적합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비운영기관의 사서는 주제 분야별 또는 연구회 중심 네트워크가 적합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연구자의 기관 리포지터리 이용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검색의 용이성 항목의 평균값(3.0)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자의 15%가 향후 기관 리포지터리를 이용할 의향이 없다고 하였으며, 그 이유로 자료 검색을 위한 접근점이 분산되어 불편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넷째, 운영적 측면에서 연구자의 82.5%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최신 컨텐츠 목록 제공서비스를 받을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7.5%는 자신의 컨텐츠의 통계 정보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하였다. 연구자의 과반수 이상은 외부 이용자 서비스에 협조할 의향이 있으며, 외부 연구자들과의 학술 교류 증가로 인한 혜택 정도에 높은 평균값(4.1)을 나타냈다. 기관 리포지터리 이용 경험이 없는 연구자의 69.6%는 홍보 부족으로 기관 리포지터리를 인지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기관 리포지터리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서는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관련 교육을 받기를 희망하였다. 이상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 방안을 조직, 정책, 기술,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조직적 측면에서 국가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운영을 지원할 전담 조직을 확충해야 하고, 각 개별 기관 리포지터리는 기관 내·외부의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정책적 측면에서 연구자를 위한 저작권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컨텐츠 제공시 혼란을 방지해야 한다. 수집 정책에서는 대외 비공개 컨텐츠에 대한 수집・제공 방식으로 이용자 유형별 접근 권한 조치를 설정해야 한다. 또한 수집 및 제출 방식을 다양화하여 편의를 제공하고, 특징적인 컨텐츠를 발굴하여 이용자의 관심을 이끌어야 한다. 셋째, 기술적 측면에서 타 기관 리포지터리 또는 주제 리포지터리와의 연계를 통해 접근점을 확장해야 한다. 또한 검색 확장이 용이하도록 시소러스, 주제 가이드 등을 부가하여 검색 기능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 운영적 측면에서 다양한 이용자 개인화 서비스와 연구자 상호작용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기관과 연구자, 연구성과물에 대한 다양한 통계 정보와 영향력 지표 등의 계량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사서들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기관 리포지터리 관련 교육과 포럼에 주기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리포지터리의 구축과 운영에 있어서 실제적인 지침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기금 연구성과물의 체계적인 관리와 일반 공중의 자유로운 이용에 관한 연구의 발전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1 B.연구의 방법 3 C.선행연구 7 Ⅱ.정부출연연구기관과 기관 리포지터리 18 A.정부출연연구기관의 개념 및 특성 18 B.기관 리포지터리의 개념 및 특성 25 Ⅲ.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현황 및 인식 39 A.국외 기관 리포지터리 사례조사 39 B.국내 기관 리포지터리 현황 및 인식조사 63 Ⅳ.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 방안 109 A.조직적 측면 110 B.정책적 측면 113 C.기술적 측면 119 D.운영적 측면 122 Ⅴ.결론 130 참고문헌 136 부록1.국내 설문조사 대상 정부출연연구기관 147 부록2.기관 리포지터리 운영기관의 사서(담당자)대상 설문지 149 부록3.기관 리포지터리 비운영기관의 사서(담당자)대상 설문지 161 부록4.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 대상 설문지 172 ABSTRACT 1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57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Institutional Repository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dc.creator.othernameYoon, Jina-
dc.format.pagevi, 183 p.-
dc.contributor.examiner이상용-
dc.contributor.examiner정은경-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