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미경-
dc.contributor.author김다은-
dc.creator김다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3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377-
dc.description.abstractAs older population increases in the modern society, their needs for information increased. The baby boomer generation needs a variety of information ranging from senior citizens, who are in need of social assistance, to active seniors and boomers. The significant number of information that they need i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Public libraries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authorities for older adults to use the library as a community information center need to prepare the area, which can provide information, but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are not active. Thus literature to suggest ways of improving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foreign case studies, homepage surveys, site surveys were conduct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operated by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y and suggest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information for older adult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older adults, definition and elements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and the community information for older adults related guidelines were examined. As for the case study, 50+ Library services: Innovation in Action by Schull in 2013, we selected 9 of 18 of the community information for older adults, it was examined. As for the research of current status, the statistical data of 2014 in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used. From February 15th until March 3th of 2015, we have confirmed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and the older adults reading room on the public library’s web site. We conducted visiting research at 18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y 9th to May 20th of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onlin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were not active. There were only 25 public libraries that provided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o older adults. 19 of them were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bulletin board and seven of them were mainly providing web site links for further information. Out of 19 public librarie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bulletin board, 16libraries periodically shared the community information and three libraries shared the information of the institutions that provide community information. Second, the topics and the types of information were not various. Out of 18 public libraries that we visited, there were four libraries that provided information on welfare, four on lifelong education, two on economy and finance, two on volunteer work, two on plays and exhibitions, one on self-improvement, and one on travel information. In terms of printed matters, 11 libraries provided governmental publications, two provided in-house newsletters, four provided pamphlet, ads and posters, one provided directory and three provided scraps of information. There were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each library provides and the types they provide were small. Third, the staff in charge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was not consistent. Those who were working at onlin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department were also working for other departments such as digital information, reading room, children reading room, publications. Also the places they share the information were spread to rest areas, reading room and bulletin boards. Fourth, the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were not met. The libraries cooperating with other institutions for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were only three out of 18. Even though there were many institutions cooperating for providing services to older adults, they were concentrated to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t is more than necessary of the libraries to cooperate with others to give appropriate community information to older adults but there were almost no public libraries that were working with other institutions for information gathering. Fifth, the education for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is lacking. In order to provid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actively, not only education on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but also that on services to older adults are necessary. However, the interviews with librarians show that none of them were educated for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and there were only one out of 18 that was trained for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Based on our analysis above, we came up with the solutions for active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irst, more human resources are in need. Currently, the work for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o older adults are dispersed to many departments such as online information production, printed matters production, and information gathering. In order for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o operate actively, it should be professional librarians with appropriate knowledge that manage the contents and services continuously. Second, promoting professionals through education is necessary. In order for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to work for older adults, both the knowledge on older adults and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need to be obtained. Third, the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should be expanded. With cooperating with other community institutions that are related to older adults, it could build a database within the community through more information gathering and education. Fourth, it should provide various topics and contents for older adults. Since the common type of information public libraries provide to older adults now are in-house newsletters, more practical information for older adult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do so, the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ions is necessary. Also, in order for older adults to look for information easily, the library needs to provide directory according to topics and provide understandable guideline on internet for older adults to use the service. In this way,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states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public librar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plans for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public librar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future researches and investigations into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현대사회에서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정보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와 같은 활발한 고령자에서부터 취약 계층의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필요로 하며 그들이 원하는 정보의 상당수는 지역사회와 관련이 있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정보센터로서 도서관을 이용하는 고령자를 위해 지역기관과 협력하여 지역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현장방문조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개념 및 특성과 고령자의 정보요구, 지역정보서비스의 개념과 가이드라인을 살펴보았다. 국외 사례조사는 Schull(2013)의 『50+ Library Services: Innovation in Action』에서 지역정보서비스의 사례로 제시된 공공도서관 18개관 중 내용확인이 가능한 9개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현황조사를 위해 지역정보서비스 중 고령자 관련 정보제공 현황과 고령자 정보서비스에서 지역 관련 정보 제공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고령자 전용 열람실에서 지역자료를 제공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도서관 통계 목록(2014년 1월 15일 기준)에서 제시된 865개의 공공도서관 중 어린이, 사립, 영어, 분관 및 작은 도서관을 제외한 667개관의 홈페이지를 확인한 결과, 지역정보서비스에서 고령자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은 25개관이었으며, 고령자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3개관, 고령자 전용 열람실에서 지역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도서관은 4개관으로 총 32개관이 서비스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령자를 위한 온라인 지역정보서비스 조사를 위해 25개관의 고령자 관련 지역정보를 분석하였으며,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파악하기 위해 앞서 조사된 32개관 중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총 18개관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9일부터 5월 20일까지 도서관을 방문하여 현황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국내 홈페이지 조사, 현장방문조사 및 면담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자료의 주제와 유형이 다양하지 않았다. 방문한 18개 공공도서관의 고령자를 위한 인쇄물 지역자료 제공 현황을 살펴본 결과, 취업정보를 제공하는 도서관은 8개관, 복지정보 4개관, 평생교육정보 4개관, 경제·금융정보 3개관, 봉사활동 2개관, 공연·전시정보 2개관, 자기계발 1개관, 관광·레저정보를 제공하는 곳은 1개관으로 조사되었다. 자료 유형을 살펴보면, 고령자를 위한 지역사회서비스 혹은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해서 제공하는 디렉터리가 중요하지만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은 1개관이었으며, 팸플릿·홍보지·포스터를 비치하고 있는 도서관은 4개관이었다. 각 도서관마다 소유하고 있는 자료가 유사하며 제공하는 자료의 종류도 많지 않았다. 도서관은 자료가 기증되면 비치하는 수준으로 소극적인 수집을 하고 있어 콘텐츠가 부족하였으며 지역사회 기반의 자료보다는 정부기관에서 제공하는 기증물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지역정보서비스를 운영하는 담당자의 부서가 일정하지 않았다. 온라인 지역정보서비스의 운영 부서와 정보를 제공하는 부서, 정보를 수집하는 부서가 다양하여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지역기관과의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지역자료의 수집을 위해 협력하는 도서관은 3개관이었으며, 고령자 서비스를 위한 협력은 13개관이었지만 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고령자에게 적합한 지역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협력을 통한 수집이 요구되는데 자료 수집을 위해 지역기관들과 협력하고 있는 도서관은 거의 없었다. 넷째,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였다. 지역정보서비스를 활발히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정보서비스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고령자서비스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다. 그러나 사서대상 면담 결과 지역정보서비스에 대한 교육 경험이 전혀 없었으며, 고령자 서비스에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서는 1명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온라인 지역정보서비스가 활발하지 않았다. 국내 도서관홈페이지에서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공공도서관은 25개관이었으며, 그 중 19개 공공도서관에서는 게시판 형태로 제공하고 있었으며, 6개관은 홈페이지 주소를 링크 혹은 배너를 통해 연결해 주고 있었다. 위와 같이 문헌연구와 홈페이지를 통해 국내외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 제공 현황에 대한 조사를 하였으며, 현장방문조사과 면담을 실시하여 지역정보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에서는 실질적인 지역정보서비스가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유사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도 그 개념과 범위 등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 중앙기관에서 업무 매뉴얼 작성, 교육 등을 통해 그 이해를 높이고 전문 인력을 육성하여 적극적인 시행을 추진해야 한다. 이상의 국외 사례조사와 국내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고령자를 위한 다양한 주제의 인쇄물과 온라인 콘텐츠의 확충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에서 고령자에게 제공되는 자료의 유형이 대부분 정부간행물이므로 고령자들이 실질적으로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확충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기관과의 협력을 이끌기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온라인에서는 고령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주제별 디렉터리를 제공하고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가이드라인, 편람, 신청서 양식 등 더욱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서비스 담당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현재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의 온라인 제공, 인쇄물 형태의 자료 제공, 수집 부서가 분산되어 있다. 질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정보 수집, 콘텐츠 구축, 담당자 교육, 타 기관과의 협력 및 서비스 평가 등이 잘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서가 콘텐츠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야한다. 고령자와 관계된 지역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료의 수집, 교육, 지역사회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할 수 있다. 넷째, 교육을 통한 전문가의 육성이 필요하다.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를 위해서는 고령자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과 지역정보서비스에 대한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에 대한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 5 Ⅱ. 고령자와 지역정보서비스 13 A. 고령자의 특성 및 정보요구 13 B.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 22 Ⅲ.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 현황 40 A. 국외 사례조사 40 B. 국내 현황조사 72 Ⅳ. 고령자를 위한 지역정보서비스 개선 방안 107 A. 서비스 운영 측면 108 B. 콘텐츠 측면 115 Ⅴ. 결론 120 참고문헌 126 부록 1. 국내 조사 대상 공공도서관 목록 132 부록 2. 면담지 133 ABSTRACT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64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고령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ing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Older Adults in Public Libraries-
dc.creator.othernameKim, Da Eun-
dc.format.pageviii, 145 p.-
dc.contributor.examiner정연경-
dc.contributor.examiner차미경-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