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동열-
dc.contributor.author노금선-
dc.creator노금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7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77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plan for activating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n current situations in Korea and foreign cases.. Above all,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bibliotherapy for children, the concept, type, necessity for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y, and the relevant guidance. In the analysis on current situations in Korea, <the national list of public library (2014)> provided in the statistical system of national librar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is study assigned total 828 libraries among 865 public libraries in Korea except for 37 branches as research target to analyze whether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was offered or not. According to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that offered the information and notice related to bibliotherapy for children in the homepage and offered bibliotherapy service and program for children was total 162. Among 162 libraries, the 113 librarians in charge who agreed to answer the survey and provided e-mail addresses were selected as survey target. In addition, 30 program lecturers who had the certification for bibliotherapy from the Korean bibliotherapy association and had the experiences of performing bibliotherapy program in public library for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bibliotherapy program service for children.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3, 2015 to April 19, 2015. Total 58 responses (51.3%) from total 113 librarians and total 30 responses (100%) from total 30 lecturers were recollected. For the user-demand survey of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y, visiting analysis was requested targeting 10 libraries that regularly operated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and frequently conducted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on their homepage among 58 libraries that responded the librarian’s survey. Targeting total 4 libraries that agreed the request, the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100 children and parents who experienced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The user-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0, 2015 to May 7, 2015. 93 questionnaires were recollected and analyzed among 100 recollected questionnaires except for 7 questionnaires with insufficient answers. For the analysis on foreign cases, 5 libraries with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including Denver Public Library, Edmonton Public Library, Allen County Public, Loudoun County Public Library, The Seattle Public Library were selected among total 19 libraries that won the prize of 「Innovation: Customer Experience」(2014) in terms of the evaluation on public library program and user-satisfaction service evaluation from Urban Library Council (ULC). The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operating service such as convenience facility, professional staff, collabor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service such as material development/provision, information resource provision, reference consulting, program, outreach library service. The examination was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n foreign cases and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user-demand analysis, the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plan for bibliotherapy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y were classified into operating elements and content elements. The operating elemen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staffs who take charge of bibliotherapy for children should be secured to conduct the activities for planning/operating/evaluating the service based on general comprehension on bibliotherapy for children. Also, regular training curriculum and constant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librarians of bibliotherapy for children should be prepared. Second, public library should attempt to reduce budget and provide a variety of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child-related institutions such as local children counseling center, school library, social welfare center, etc. Third, the user-convenience of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by offering exclusive rooms and reference rooms for bibliotherapy for children in order to improve convenience resource in public library. Fourth, active promotion plan should be explored in order to publicize bibliotherapy for children offered in public library. The content elemen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difficulties in selecting books as a basis for bibliotherapy increase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bibliotherapy, the material development and provision should be considered to set a lot of problematic circumstances that children usually experience. Second, the plan development operation of bibliotherapy program service for childre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to reflect the features and demands of children. Third, bibliotherapy information service for children should be recognized as an essential service offered in public library. The development of reference information resource based on problematic circumstances and crisis circumstances of children should be conducted. Moreover,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servic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Fourth, outreach library service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in marginalized class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 variety of service including bibliotherapy program for children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y and the cases and situation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operating and activating bibliotherapy service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y.;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내 현황조사 및 국외 사례를 실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어린이 독서치료의 개념과 특성, 공공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개념 및 유형과 필요성 그리고 관련된 지침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내 현황조사는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 통계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국 공공도서관 명단」(2014)을 이용하였다. 전국 공공도서관 865개관 중 분관 37개관을 제외 현 총 828개관을 대상으로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제공 유무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홈페이지상 어린이 독서치료 관련 게시물 및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은 총 162개관으로 조사되었다. 162개관 중 설문 응답을 수락하고 이메일 주소를 제공해준 총 113개관의 담당사서를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어린이 독서치료 프로그램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위해 한국독서치료협회에서 발행하는 독서치료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에서 독서치료 프로그램 진행 경험이 있는 프로그램 강사 30명을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15년 4월 13일부터 2015년 4월 19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최종 응답은 총 사서 113명에게 총 58부(51.3%), 강사 설문지 총 강사 30명에게 총 30부(100.0%)를 받았다.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이용자 요구조사를 위해 사서대상 설문에 응해준 58개관을 대상으로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홈페이지상에 어린이 독서치료 관련 서비스를 많이 진행하고 있는 상위 10개관을 선정하여 방문조사를 요청하였다. 이에 수락한 공공도서관 총 4개관(논현정보도서관, 선유정보도서관, 성동구립도서관, 성북정보도서관)에서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경험한 어린이의 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는 2015년 4월 20일부터 2015년 5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총 100부 중 미흡한 7부를 제외하고 93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국외 사례조사는 미국 주요 도시 도서관 협회(Urban Library Council, 이하 ULC)에서 공공도서관 프로그램과 서비스 이용자만족도 평가에서 수상 받은「Innovation: Customer Experience」(2014)의 총 19개관 중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덴버 공공도서관(Denver Public Library), 에드먼튼 공공도서관(Edmonton Public Library), 알렌 카운티 공공도서관(Allen County Public Library), 라우든 카운티 공공도서관(Loudoun County Public Library), 시애틀 공공도서관(Seattle Public Library) 등 5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도서관의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편의시설, 협력, 전문 인력, 홍보의 운영서비스와 자료개발 및 제공, 정보자원 제공, 참고면담, 프로그램,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의 정보서비스로 나누어 살펴본 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의시설 부족이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운영 장애요인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어린이의 부모 이용자 조사 결과, 독립된 공간에서 독서치료와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위해 타 기관과 협력하고 있는 도서관은 20명(20.7%)으로 낮게 조사되었지만,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개선 중요도 중 타 기관과의 협력 필요성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셋째,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해 전문 인력을 갖추고 있는 도서관은 8명(13.8%)에 불과하였으며,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의 운영 장애요인으로 사서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을 꼽았다. 이용 도서관에서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의 운영을 위한 전담인력 양성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홍보방법으로 홈페이지와 안내게시판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서비스를 알리기 위한 적극 홍보활동이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개선 중요도로 높게 조사되어 서비스의 적극적인 홍보 방안 모색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치료 상황별 목록 개발 및 제공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서는 15명(30.6%)으로 어린이 독서치료 상황별 목록 개발 및 제공은 미흡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린이 독서치료 상황별 목록 개발 및 제공의 필요성에 대해서 사서 응답자는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어린이의 부모 이용자 설문에서도 어린이 독서치료 상황별 목록 제공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어린이 독서치료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서 응답자는 55명(59.1%)으로 절반 이상의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었으며, 어린이 부모 이용자 설문에서도 어린이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효과적이라는 의견을 보였다. 일곱째, 어린이 독서치료에 관련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서는 38명(40.9%)으로 조사되었으며 어린이 부모 이용자는 부모나 교사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자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여덟째, 소외계층 어린이 및 다문화 어린이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서는 3명(6.1%)에 불과하였으나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개선 중요도 중 소외계층 어린이 및 다문화 어린이를 위해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의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이상의 국외 사례 및 국내 현황조사, 이용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운영 요소와 내용 요소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운영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어린이와 독서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계획·운영·평가활동이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어린이 독서치료 전문사서를 교육하기 위해 정규 교육과정 및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은 어린이와 관련된 지역아동상담센터, 학교 도서관, 사회복지시설 등 타 기관의 협력을 통해 예산을 절감하고, 다양한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공공도서관의 편의시설 자원 제공 및 확충을 위해 어린이 독서치료 전용 열람실 및 자료실을 제공함으로써 어린이 이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내용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의 바탕이 되는 책 선정의 어려움은 독서치료 적용에 대한 어려움을 가중시키므로 어린이가 겪는 다양한 문제 상황을 설정하여 자료개발 및 제공이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어린이 독서치료 프로그램 서비스는 어린이의 정서적 문제를 고려하여 독서치료 관련 프로그램 기획·개발·운영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어린이 독서치료 정보서비스가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필수적인 서비스로 인식되어야 하며, 어린이의 문제 및 위기상황을 기반으로 한 참고정보원의 개발과 더불어 온‧오프라인에서의 적극적인 정보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찾아가는 도서관 서비스가 소외계층 어린이 및 다문화 어린이에게 제공되어야 하며, 소외계층 및 다문화 어린이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의 국·내외 사례와 현황을 조사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를 운영하고 활성화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3 C. 선행연구 6 Ⅱ. 어린이 독서치료와 공공도서관 12 A. 어린이 독서치료의 개념과 특성 12 B. 공공도서관의 독서치료 25 Ⅲ.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의 현황 및 사례 분석 34 A. 국내 현황조사 34 B. 국외 사례조사 55 C. 이용자 요구조사 75 Ⅳ.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활성화 방안 87 A. 운영 요소 87 B. 내용 요소 92 Ⅴ. 결론 97 참고문헌 103 부록1. 국내 현황조사 대상 공공도서관 목록 109 부록2. 사서대상 설문지 112 부록3. 강사대상 설문지 122 부록4. 부모대상 설문지 129 ABSTRACT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138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치료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ctivating Bibliotherapy Services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ies-
dc.creator.othernameNo, Geum Seon-
dc.format.pageviii, 140 p.-
dc.contributor.examiner이상용-
dc.contributor.examiner정은경-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