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사르트르의 『닫힌 방』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나’에 갇히다」에 관한 연구

Title
사르트르의 『닫힌 방』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나’에 갇히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Closed in ‘Me’」based on『Huis Clos』by Sartre
Authors
남지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생겨난 가상공간은 현대사회의 새롭게 구축된 의사소통의 광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를 통해 타인과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공유하고 광범위한 관계 형성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직접적인 면대면 만남의 기회를 축소시키며 인간소외와 정체성 혼란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가상커뮤니케이션에 과도하게 의존하여 혼자있는 공간에서도 타인의 기대와 평가에 맞춰 행동하며 자신의 실존을 상실한 채 주체성이 결여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주체적인 삶의 방향을 모색하여 본래자아의 존재감을 재인식하는데 연구의 필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장 폴 사르트르(Jean Paul Sartre)의 희곡『닫힌 방(Huis clos)』(1943)을 바탕으로 안무된 무용창작작품「‘나’에 갇히다」(2014)에 대한 분석으로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이 이루어졌다. 무용작품에서『닫힌 방』의 세 주인공들은 전자회로 속 만남에 상시 접속 상태에 있으면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현대인들의 모습으로 형상화 되며, 닫힌 방은 현대인이 벗어나지 못하는 가상공간과 타자의 기대와 평가에 맞춰 스스로 만들어내는 의식의 틀로 제시되었다. 이에 무용작품은 면대면 만남을 피하고 가상커뮤니케이션에 중독되는 현대인이 가상공간에서마저도 타인의 시선으로 인해 객체화되며 겪게 되는 부정적인 심리와 이를 주체적인 시각으로 극복해 나가는 내용은 총 세 장으로 구성하여 전개시켰다. 또한 작품에서 각 장면마다 등장하는 다양한 오브제들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며, 무용수의 움직임과 함께 어우러져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1장에서는 타인과 면대면 만남에서 오는 소외감으로부터 가상공간으로 도피하지만 오히려 현실공간에서보다 타인을 더욱 의식하여 주체성을 숨기고 자아를 왜곡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무대 앞의 본막을 사용하여 본막 앞은 현실세계의 영역으로 그 뒤는 가상세계의 영역으로 무대를 구분하였다. 본막을 무대바닥으로부터 들어 올려 가상세계 영역에 무용수 B,C,D의 다리와 함께 지나가는 핸드폰들과 가로로 길게 배치되어있는 LED 줄을 보이도록 하였고, 무대 밖 ㉮ 구역에서 오브제인 의상의 고유성을 살린 무용수 A의 의상을 입고 벗는 움직임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가상커뮤니케이션에 상시 접속 상태에 있는 현대인의 중독현상을 강조하였다. 2장에서는 타인에게 항상 보여 지고 있다는 강박관념으로 인해 스스로 만들어낸 의식의 틀에 갇혀 주체성을 잃고 삶의 객체로 전락해버리는 현대인의 부정적인 심리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무대 중앙 뒤를 ㉯ 구역으로 설정하여 오브제인 사각 틀과 조명으로 공간상의 범위를 제한하여 장면 속 고립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오브제인 사각 틀의 색상은 고독, 불안 등의 부정적인 심리를 내포하고자 회색과 짙은 남색으로 하였다. 오브제에 기대고 매달리는 무용수 A의 움직임을 통해 현대인의 대타의존적인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주로 직선적이고 분절된 움직임을 하였는데, 이는 주체성을 상실하여 사물과 다를 바 없는 객체로 존재하는 현대인의 상황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가상공간 속에서 왜곡되어 이중적으로 나타나는 자아와 마주하며 겪는 혼란을 극복하여 주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장면의 내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오브제인 사각 틀의 뒷면에 붙은 거울시트지를 무대바닥으로 반사시켜 ㉯ 구역과 조명을 확장하였다. 이렇게 제한된 공간을 확장시켜 움직임의 높낮이와 속도의 조절을 통해 역동성을 발전시켰으며 주로 곡선 형태의 부드러운 팔 동작을 사용하여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자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오늘날 디지털의 발달로 인해 생겨난 가상공간에 중독되어 자신의 실존을 망각한 채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다룬 무용창작작품「‘나’에 갇히다」를 통해 가상공간의 부정적인 측면을 인지시켜 올바른 의사소통의 방안을 모색하고 타인의 시선이 아닌 주체적인 시각으로 진정한 자아를 찾도록 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지며, 실존하는 인간으로서 자유로운 삶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Virtual space created by today’s advanced digital technology functions as a forum of communication newly built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is, it’s been possible to form broad-ranged relationship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reduces chances to meet face on face and sometimes causes problems like isolation, confused identity and etc. In this regard, the current researcher feels the need to find out problems of contemporaries excessively relying upon communicating with virtual communities, living to the expectation and evaluation of others even in their private space and living a life lacking identity in absence of their own existence and explore the directionality of self-directed life in hopes of re-recognizing the sense of existence inherent to their own self. It analyzed 「Closed In ‘Me’」(2014), a dance work choreographed on the basis of『Huis Clos』(1943), a comedy by Jean Paul Sartre, by dividing it into subject and contents, space usage and scenes, dancers’ moving routes and movements and meaning of objets. In the dance work, 「Closed In ‘Me’」, its 3 characters, while being in a state constantly logged-on to meetings in an electronic circuit, are symbolized to be features of contemporaries aware of the eyes of others and the closed room is presented as a frame of consciousness made by themselves to the virtual space and others’ expectation and evaluation. For this reason, the work has a total of three chapters unfolding and overcoming on their own, the negative psychology in which they evade meeting face on face and contemporaries intoxicated by the virtual space get objectivized even in the virtual space due to others’ eyes. Various objets appearing in each scene bear symbolic meaning in their try to effectively convey its subject in intermingling with dancers’ movements. Chapter 1 shows people retreating to the virtual space from the sense of isolation coming from meeting others face on face but hiding their identity in the reality and deforming their self because they are much more aware of others’ presence. To express these, the front side of stage is used to be the reality while its backside, the virtual space. By lifting its front side off stage floor, it shows LED lines arranged horizontally and cell phones passing with the legs of dancers, B, C and D in the virtual space and through dancer A’s putting on and taking off their costumes alive with the specificity of object costumes in section ㉮ outside of the stage, addiction of contemporaries in a constant state logged on to virtual communication is emphasized. Chapter 2 tries to the negative psychology in which contemporaries close themselves in their self-made frame of consciousness and fall back to be objects, not subjects of life. Setting the mid-backside of stage as section ㉯, limiting its spatial scope with objets of square frame and lighting, an isolated image in scenes is featured. Objets of square frames are colored grey and dark green to express solitude, insecurity and etc. Through the movements of dancer A leaning against and clinging to objects, contemporaries’ reliance upon others is expressed. Also its mainly straight and fractured movements feature the situation of contemporaries with absence of identity existing as objects not differing from things. Chapter 3 expresses their will to overcome confusion coming off facing their self expressed in a dual manner due to its distortion in the virtual space and regain their identity. To show positive and hopeful scenes, section ㉯ and its lighting are enlarged by reflecting its mirror sheet pasted on the back of the square frame, an objet. Its dynamics is developed through regulating the height and speed of movements by enlarging its limited space in this manner and tries to give messages, ‘Let’s live our own life free and unlimited by others’ eyes,’ using mainly smooth arm movements in curved form. This thesis has its meaning in that it explores how to have right communication and help them find their real self from their own perspective by having the negative aspect of the virtual pace through 「Closed In ‘Me’」, a dance creation work dealing with features of contemporaries living in oblivion of their existence, being intoxicated by the virtual space surfacing due to advanced digital technology and in that it tries to have freed life as humans recogniz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