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2 Download: 0

상실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놀이목회상담 연구

Title
상실을 경험한 아동을 위한 놀이목회상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 Play Pastoral Counseling for the Children with Loss Experiences
Authors
박은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희성
Abstract
사람들은 자신에게 의미 있는 대상을 상실했을 때 마음 깊이 상처를 받는다. 특히 아동의 경우에는 상실의 아픔을 어른처럼 언어로 유창하게 표현 할 수 없기에 깊은 상처를 간과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상실을 경험한 아동이 무의식적 혹은 의식적으로 애도하지 못한 채 살아가다가 또 다른 상실을 만나게 되면 그에 따른 문제들은 신체적 또는 정신증적인 증상들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기독교인의 경우 상실의 상처를 신앙의 가면 뒤에 감추고 마음껏 슬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기독교인 자녀들도 부모처럼 상실의 상처를 기독교 공동체 속에서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기에 아동이 적절한 애도를 경험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이 자신의 언어인 놀이를 통해 상실의 상처를 애도하도록 돕고자 ‘놀이목회상담’(Play Pastoral Counseling)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는 놀이목회상담 방법론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아동의 상실이 심리학적으로 어떻게 발전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아동과 성인의 애도과정이 어떻게 다른 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이어서 아동에게 가장 효율적인 애도방법으로서 놀이를 제안하고 그 치료적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놀이목회상담의 신학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상실의 신학, 어린이 신학, 놀이 신학을 연구하였다. 상실의 신학에서는 인간이 상실의 고통 속에서 아파할 때 함께 하시는 하나님에 대하여, 어린이 신학에서는 성서가 이야기하는 어린이의 존엄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그리고 놀이신학에서는 인간을 창조의 놀이에 초대하시고 아들을 이 땅에 보내어 우리와 함께하신 하나님에 관하여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해 목회 신학적 차원에서는 아동의 상실 애도 과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도울지에 관해 논하였다. 다음으로는 놀이목회상담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심리적 부모부재의 상실을 경험한 아동과 아버지 사별을 경험한 아동의 실제 사례들을 심리적, 신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의 아동놀이치료가 일대일 중심이며 전문놀이치료실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목회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개별적이고 공동체적인 놀이목회상담 방법론들을 제안하였다. 상실을 경험한 아동의 애도를 위한 목회상담자의 자세는 예수 그리스도가 신약성서에서 아동을 돌보았던 모습을 본보기로 하여 재구성하였다. 먼저 스스로 찾아올 수 없는 현실가운데 있는 상실 아동을 예수 그리스도처럼 무리 중심으로 초대하고 안아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아동이 다음 발달 단계로 건강히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역자와 목회상담가가 함께 놀며 버텨주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아동이 상실의 어려움을 딛고 홀로 놀 수 있는 환경을 목회상담자가 제공하는 것이 놀이목회상담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상실 아동을 위한 놀이목회상담의 개별적 접근 방법으로서 성서로 질문하기와 성스러운 놀이(Godly Play), 한-아동-놀이로서 성서 읽기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동체적 접근으로는 하나님 놀이터의 공간으로서 예배와 아동발달에 맞는 예배, 그리고 놀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새롭게 제안하여 교회공동체가 사역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The loss of a meaningful person from one’s life is a psychologically devastating experience. In the case of young children, the experience of loss is often overlooked and passed by due to their incapacity to explicitly express their pain in language as adults do. When children are not able to mourn properly on a conscious or subconscious level, unresolved experiences of loss can manifest through physical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later in life. Christians especially tend to hide their psychological wounds behind religion and therefore are unable to properly mourn their losses. In a situation where their parents are not able to fully express their grief within the Christian community, it is even more difficult for children of Christian families to experience loss in a proper manner.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Play Pastoral Counseling as a method to help children face their wounds of loss through play therapy. In order to develop the methodology of Play Pastoral Counseling in theory and practice, the researcher first considered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loss in children, as well as how the process of grief manifests differently in children and adults. Consequently, Play Pastoral Counseling is presented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grief therapy in children, and its therapeutic significance and functions are discussed. The study also draws from theology of grief, theology of children, and theology of play as the theological bases of Play Pastoral Counseling. Theology of grief deals with God as one that shares in the pain of human grief, and child theology emphasizes the worth of children as revealed in the bible. Theology of play describes God's existence as one that invites humans into the play of creation, and sent God's son to be together with us. The study brings together these different theologies to discuss how to effectively aid the process of mourning in children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e study also theologically and psychologically analyzes the actual cases of a girl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parental absence and a boy whose father passed away to verify the methodology of Play Pastoral Counseling. Through such analysis, the study suggests methods for both individual and group therapy that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pastoral counseling scene,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urrently existing play therapy, such as its one-on-one therapy process and requirement of professional play therapy environments. The attitude of the pastoral counselor dealing with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grief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New Testament biblical depiction of how Jesus Christ cared for children. Since children dealing with grief often cannot think to seek counseling on their own, it is important to first take the initiative to invite and welcome them into a communal setting, as Jesus Christ did. In addition, the goal of ministers and pastoral counselors involved in play pastoral counseling is to provide support systems to help such children grow into the next developmental stage in a healthy way an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overcome the pain of loss and learn to stand on their own. For specific methods in play pastoral counseling, this study suggests play tactics such as questioning through the bible, Godly play, and the biblical reading as Han-Child-Playing. Additional methods that are suggested for play pastoral counseling on a communal level include worship as a place of God's play and worship tailored to children, as well as group play counseling methods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ministering within the church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