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7 Download: 0

한국 개신교 예배언어의 유형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개신교 예배언어의 유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ypes of Worship Language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선희
Abstract
예배는 기독교의 중심된 의례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일정한 주기로 규칙적이며 반복적으로 드리는 예배를 통해 신앙의 내용과 관습, 가치 등을 전수받는다. 예배 수행의 반복성은 그리스도인들의 행동 양식과 정서를 형성하기에 그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많은 예배를 참여함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말만 잘 한다’, ‘배타적이다’, ‘폐쇄적이다’, ‘호전적이다’ 등의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실은 그리스도인들이 세속 사회에서 그리스도교의 진리를 그들의 삶을 통해 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예배언어는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로로써 신앙 공동체는 예배를 통해 유사한 가치와 행동양식을 공유한다. 그리스도인들의 행동양식과 가치에 동일한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예배와 예배언어의 문제인 것이다. 예배언어는 예배 안에서 소통을 가능케 해 주는 모든 매체이다. 말과 글처럼 그 의도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언어도 있지만 침묵과 상징, 몸의 언어와 같이 겉으로 분명히 드러나지 않아도 예배 안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언어들이 있다. 침묵언어는 자신을 성찰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예배를 통해 접하는 내용을 내면에 새길 수 있도록 한다. 상징 언어는 신앙적 내용과 가치를 특정한 시간과 공간, 상징물들, 인간의 신체 언어를 통해 하나님과 인간의 만남을 구체적으로 경험하도록 한다. 몸의 언어는 다양한 감각과 움직임으로 소통하고 응답함으로써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을 몸으로 수행해낼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다양한 차원의 예배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은 관계적이고, 은유적이며 수행적인 언어라는 점이다. 먼저, 예배언어는 신앙 공동체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그 관계를 토대로 함께 모인 이웃과 하나님이 만드신 피조세계와의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취하는 언어들은 특수하고 교리적인 언어가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결부되어 있는 지극히 일상적이고 기능적인 언어라는 점에서 은유적이다. 예배 안에서 접하는 다양한 언어들은 일상 속에서 우리의 말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수행적인 언어이다. 예배언어 유형과 방향성에 따라 예식서와 예배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교회의 예배언어는 구술 언어 외 다른 언어 사용이 극히 부족하다. 말이 넘치는 예배임에도 일상적이고 삶의 구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기보다 교리적이고 고답적인 언어를 취하고 있다. 복음의 내용을 전하는 데 있어 말만 드러날 뿐 전인적으로 복음의 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는 통로가 전혀 없다. 오늘날 그리스도교 예배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의사소통 방식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신앙 공동체가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고 실행함에 있어 온 몸으로 소통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를 회복할 때, 복음의 내용을 그들의 삶 속에서 긴밀히 연결 지을 수 있어 ‘말도 잘하고 실천도 잘하는’ 그리스도인을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Worship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rite of Christianity. By participating in it, christians can experience mysterious life of God, praise the Lord, and consecrate themselves with human conditions. They learn the content, custom, and value of christian belief through regularly and repetitively performing worship services. Since the repetition of worship services formulate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christians, it has a deep impact on their life. The problem is that the christians today are recognized as ‘exclusive’, ‘closed’, and ‘hostile’ people who never act what they say, although they participate in so many worship services. It means that they do not live out the teachings of christians belief in society. And if christians have any problems with values or behaviors, their worship service has the same problems. For a religious community shares the same values and behavioral patterns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same worship services. Also, worship langage becomes to have the same problem because it is the medium for delivering the message of the Gospel. Therefore, worship language needs analysing and criticising to cope with the problems. Worship language includes all the media for communication at the worship service. There are explicit ones such as verbal or written. Also, there are implicit ones like symbolic, silent, and body languages that are no less efficient. Silent language helps to have an insight into self, and internalize the content of worship service. Symbolic language enables to experience the encounter with God by conveying religious contents and values through specific space, time, symbols, and body language. Body language, especially, leads to live out christian faith by communicating and responding through senses and motions. There can be found one common characteristic among all these various worship languages; they are relation-forming, metaphorical, and practical. Worship language builds relation between religious community and God, and on the ground of this relation, that with our neighbors and with God’s all creations. The languages used for worship service are not special and dogmatic but ordinary and functional, rooted in haman experience. So, they are metaphorical. Finally, the various languages used in worship service are practical, which influence our sayings or behaviors in our daily life. Analysis of the worship services and liturgies shows that worship languages used by Korean churches are quite limited to verbal one. Also, even the verbal worship language is rather dogmatic and highbrow, not allowing to internalize the teachings of the Gospel wholistically. The language and communication media used by christian worship services seem to be facing problems. Only when religious community can recover its language to remember God’s Words, learn them with body, and communicate, christians can relate the Gospel to their real lives, and live out its teachings in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