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4 Download: 0

폴 틸리히의 존재론 신학이 갖는 생태여성주의적 함의 연구

Title
폴 틸리히의 존재론 신학이 갖는 생태여성주의적 함의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Eco-feminism on Paul Tillich’s Ontological Theology : Triple reading with Rosemary Ruether and Edvard Munch
Authors
백인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윤재
Abstract
본 논문은, 수많은 생명의 삶과 죽음을 통해 지속되는 지구 공동체의 원리를 인간이 수용함으로써 그들이 생태적 삶을 사는 것을 돕는 신학을 구성하려는 동기에서 시작되었다.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기독교 메시지를 재해석한 20세기의 변증신학자 폴 틸리히에 따르면, 존재와 비존재의 혼합으로 구성된 유한한 존재인 인간 실존은 자신의 자아를 상실할 것과 물리적인 죽음을 맞이할 것에 대한 존재론적인 불안을 느낀다. 이러한 불안은 인간 실존으로 하여금 그들이 자기 자신과 세계와 하나님으로부터 분리되는 소외의 상태에 빠지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그 실존이 분열되는 자기-파괴라는 악을 초래한다. 틸리히는 인간 실존의 존재론적인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유한성을 받아들이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보고, 그러한 용기의 원천으로 하나님을 제시한다. 틸리히에게 신은 존재 자체 또는 존재의 근거로서, 이러한 신은 모든 피조물에게 존재의 힘을 부여하고, 그들의 창조성이 실현될 수 있도록 이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존재의 근거는 이미 비존재의 위협을 초월하고 있으면서도 피조물의 유한성과 타락에의 가능성을 포함함으로써 피조물이 겪는 고통에 참여하며 저항하고 있다. 로즈마리 류터의 생태여성신학과 에드바르 뭉크의 예술을 통해 틸리히의 이러한 존재론 신학이 갖는 생태여성주의적 함의를 찾는 본 논문은, 틸리히의 관점에서 가부장제와 가부장적 종교 이데올로기에 대한 류터의 인류사적‧교회사적 분석과 그녀의 죄론을 읽는다. 즉 가부장제의 기원이 육체․여성 혐오로 나타나는 인간(남성) 실존의 존재론적인 불안에 있음을 밝히고, 그러한 불안이 유한성을 부정하고 여성과 자연을 착취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가부장적 종교 이데올로기로의 소외로 발전하여 생태적 위기라는 자기-파괴의 결과를 가져왔음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인간 실존의 존재론적인 불안과 인간(남성) 실존의 육체․여성 혐오를 뭉크의 작품 속 ‘죽음’과 ‘팜므파탈’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시도를 한다. 나아가 본 논문은, 류터와 샐리 맥페이그의 생태여성주의적 신론의 관점에서 틸리히의 존재론적 신론을 읽음으로써 그의 신론이 지닌 탈(脫)이원성과 모성적 이미지와 반(反)우상화의 차원을 발견한다. 이로써 본 논문은, 틸리히의 존재론 신학을 오늘날의 생태적 위기에 응답할 수 있는 경험신학으로 재발견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뭉크의 작품을 통해 본 논문의 논지를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신학과 예술 사이의 대화를 촉진하는 장(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논문은 유한성을 수용하지 못해 다른 생명을 정복함으로써 존재 의미를 찾는 비뚤어진 자아에게 다시 유한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힘을 주는 하나님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오늘날 생명들 사이에 발생한 왜곡된 관계를 치유함으로써 지구 파괴의 상황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로 궁극적인 의의를 지닌다.;This research started with the motive of building a theology that helps humans live an ecologically friendly life by accepting the principle of an earth community which continues by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of living organisms. Paul Tillich, an apologetic theologian of the 20th century, reinterpreted the message of Christianity from an ontological perspective. According to Tillich, Human Existence can be described as a Finite Being, which is a combination of Being and Non-being. In that, humans have an Ontological Anxiety towards loss of self and towards physical death in the future. This leads to Sin or Estrangement, where the Human Existence is separated from oneself, the world, and God. Estrangement ends up splitting the Human Existence, leading to Self-Destruction or Evil. Tillich views that the courage to accept Finitude is needed to overcome the Ontological Anxiety of Human Existence, caused by the Threat of Non-being. He suggests God as the source of courage. For Tillich, God is Being-itself or the Ground of Being which transcends the Threat of non-being. Tillich says God, as the Ground of Ontological Structure and Elements of All Beings, encourages Power of Being for all God’s creation to continue to exist and continue to exert its creativity. During this process, the Ground of Being transcends the Threat of Non-being and includes the possibility of Fall and Finitude of creations simultaneously, there by participating in the suffering of creation but also resisting the suffering of creation.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Eco-feminism on Tillich’s ontological theology through the art of Edvard Munch and the Eco-feminist theology of Rosemary Ruether. This thesis will first analyze Ruether’s understanding of sin, patriarchy, and patriarchal religious ideology, using Tillich’s theory of Human Existence. Through that, this thesis will prove that patriarchy originates from the Ontological Anxiety of Human (male) existence, which is expressed through hatred towards the female body. Also, this thesis will prove how this anxiety denies Finitude and justifies exploitation of females and nature, developing into patriarchal religious ideology and causing ecological crisis or Self-Destruction. Further, this thesis will try to visually understand Ontological Anxiety and hatred toward female body of Human(Male) existence by analyzing image of Death and Femme Fatale appearing in the art of Munch. Thesis reads Tillich’s ontological theology from the eco-feminist theology of Sally Mcfague and Rosemary Ruether so that readers can find how Tillich understands God as a motherly figure and God to go beyond dualism and idolization. This thesis is meaningful as it seeks to reinterpret Tillich’s Ontological theology as an alternative ideology to solve an ecological crisis today. Also, visually understanding the main idea of this thesis with Munch’s ar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promote conversation between theology and art.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a God who empowers humans to accept their finitude, making humans stop seeking meaning in their lives through conquering other lives as a manifestation of being unable to accept their finitud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overcoming a crisis of the Earth by healing the distorted relationship among lives in this er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