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인성-
dc.contributor.author박성빈-
dc.creator박성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75-
dc.description.abstract브랜드(Brand)의 어원은 태우다라는 의미의 burn과 동일한 뜻을 가지고 있으며 낙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과거의 브랜드는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들이 자사 제품을 타사 제품과 구별하기 위하여 CI, Logo, Symbol 등을 만드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현대에는 상표나 로고라는 단편적인 부분에서 넓은 범위로 확대되고 있다. 브랜드는 기업이나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로까지 적용이 되고 있으며, 대한민국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2000년 이후부터 국가 브랜드에 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정부 부처, 정책, 서비스 및 시스템까지 브랜드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으며 지방 정부들도 지역 내 중소기업, 농축산물 및 축제와 관련된 독자적 브랜드를 개발하고 이를 지역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 활용하고 있다. 이에 국가 브랜드의 파워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다른 국가들과 차별화된 독자적인 이미지이다. 이러한 차별화된 이미지는 문화 관광 산업중 하나인 전통문화가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중 하나인 전통사찰은 살아있는 문화재로써 역사적, 종교적 가치뿐만 아니라 지리적인 장점과 다양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내외국인들이 찾는 좋은 관광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사찰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활성화된 국가 문화 관광산업의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높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전통사찰인 경남 합천에 위치한 해인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해인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팔만대장경을 비롯하여 100여점의 다양한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고, 역사적, 문화적으로 가치가 높은 전통사찰임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부족한 홍보효과로 전통 문화 관광지로써의 이점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사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과 이를 해인사에 실제 적용시켜 봄으로써 해인사의 홍보와 관광지로써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본 연구의 디자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해인사의 특징을 조사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적용한다. 둘째, 쉽게 알아 볼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구축한다. 셋째, 전통문화라는 초점에 맞추어 우리 민족의 깊은 역사와 문화가 살아있는 해인사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컬러와 모티브를 추출하고 연구한다. 이를 통하여 해인사의 문화와 역사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더 나아가 국가 문화 관광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word of ‘brand’ has same origin with word ‘burn’, which have the meaning of the marking with iron. The brand have been utilized as the sign which could be used to distinct the product with competitor, in the past. CI logo, and symbol of company are simple examples of traditional meaning of brand. However, brand start to be used more extensively in recent years. Now, brand could be applied actively for not only the company but also country, and even personal. To follow this trend, Korean government have started to research the nation brand from 2000. Furthermore, brand is utilized actively to promote the division of government, policy, and service of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also have developed and utilized the brand for the promotion of small company, agricultural products, and festival in local. The brand identity, which could improve the power of brand effectively, has been received great deal of attention in various regions in recent years. To create the effective brand identity, its own differentiated image should be required. The traditional culture could become the image identical among the nations. Especially, traditional temple has the great deal of value because it’s historic, religious, and cultural worth. Moreover, since most of traditional temples of Korea hold various heritage and have good location, that are received extensive attention from tourist. In this paper, brand identity is applied in traditional temple of Korea for the activation of tourism. For this propose, Haein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Hapcheon, Gyeongsangnam-do, is selected as the example for research. Haeinsa temple hold nearly 100 traditional assets including Tripitaka Koreana, which is resisted as World Heritage of UNESCO is the most famous heritage in Haeinsa temple. Although Haeinsa temple is valuable place, both historical, cultural, it cannot utilize this advantage due to the insufficient promotion and weak brand power. This paper expects the promotion and activation of tourism of Haeinsa temple by development the optimized brand identity for Haeinsa temple. The design of brand identity of Haeinsa temple is performed by following several motivations. First,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Haeinsa temple should be considered sufficiently. Second, simple notification should be reflected in brand design. Third, brand design should be focu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Brand design contains logo, font and several produc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brand identity of Haeinsa temple, I would like to promot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Haeinsa temple widely. Furthermore, it expect to contribute the tourism industry of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과 목적 1 B. 연구방법과 범위 3 Ⅱ. 용어 및 개념정리 5 A. 브랜드 아이덴티티 (Brand Identity) 5 B. 전통사찰 아이덴티티 (T.I : Temple Identity) 6 C. 전통문화 관광자원으로서의 전통사찰 7 Ⅲ. 현황 및 사례분석 8 A. 국내 전통사찰 현황 8 1. 전통사찰 선정 기준 8 2. 전통사찰 현황 10 3. 템플스테이 11 4. 전통사찰 유네스코 등재 현황 12 B. 전통사찰 아이덴티티 사례 조사 13 1. 전통사찰 아이덴티티 사례 분석 13 가. 국내 사례 14 (1) 봉은사 14 (2) 조계사 17 (3) 통도사 19 (4) 송광사 20 나. 해외 사례 22 (1) 불교 사찰 22 (가) 일본 기요미즈 사찰(청수사) 22 (나) 중국 소림사 25 (2) 성당 27 (가) 노트르담 성당 28 (나) 밀라노 대성당 31 다. 사례 분석 결과 34 Ⅳ. 문제점 파악 및 개선점 제안 35 A. 해인사 현황 35 1. 역사 및 배경 35 2. 문화재 및 관광자원 37 3. 디자인 현황 42 B. 전통사찰 해인사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에 대한 설문조사 45 1. 설문조사 목적 및 방법 45 2. 설문조사 구성 45 3. 설문조사 결과 분석 및 통계 46 가. 응답자 일반 현황 조사 46 나. 국내 전통사찰에 대한 인지도 조사 47 다. 해인사 이용실태 조사 49 라. 전통사찰 해인사의 통합 이미지 조사 50 4. 설문조사 종합 분석 및 문제점 55 C. 전통사찰 해인사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 57 1. 사찰 아이덴티티 방향 설정 57 2. 사찰 아이덴티티 표현 전략 58 가. 디자인 컨샙 58 나. 디자인 표현 전략 59 (1) 색상(Color) 59 (2) 지정 서체 61 3. 디자인 시안 62 가. 디자인 시안 62 나. 최종 디자인안 65 (1) 베이직 시스템 66 (2)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67 Ⅴ. 결론 71 참고문헌 72 부록. 설문지 74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77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국가 문화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전통 사찰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해인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Brand Identity Development of Traditional Temple for Contribution of Culture Tourism : Focused on Haeinsa temple-
dc.creator.othernamePark, Sung Bin-
dc.format.pageviii, 79 p.-
dc.contributor.examiner박수진-
dc.contributor.examiner권혜진-
dc.contributor.examiner이수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