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종훈-
dc.contributor.author인선아-
dc.creator인선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3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308-
dc.description.abstract지하철은 1974년 개통 이래부터 도시대중교통의 대표적인 이동수단이며 교통체증 없는 빠른 이동으로 복잡하고 밀접된 도시이동에 적합한 수단이자 시민의 발이다. 지하철 이용자들은 지하공간의 원활한 이동과 올바른 열차 선택을 하길 원하며, 이를 위해 역사 내에서 제공하는 시각정보체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역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각정보는 노출양이 너무 많거나 혹은 적고,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있지 않거나 필요한 정보의 부족 또는 단절로 지하철 이용객의 이동에 불편을 주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용객들은 타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묻거나 모바일을 이용한 검색 등 부가적인 행위로 정보를 습득을 하고 있다. 서울 지하철은 수도권과 외곽지역에 노선을 증축중이며 향후에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이유로 환승역과 환승공간이 늘어나 지하철역 이용은 보다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환승공간에서의 시각정보체계 개선은 매우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하철 이용자가 환승공간에서 쉽게 길을 찾고 올바른 열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목적지까지 원활한 이동을 도울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오래된 역사구조와 일반ㆍ급행 열차가 지나가고 여러 행선지의 열차가 혼재하는 신도림 환승역을 대표역으로 선정하고, 이용자의 환승 정황에 맞는 정보를 노출시킬 수 있는 시각정보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현재 수도권 지하철의 운영현황과 서비스 중인 시각정보체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선행논문과 국내∙외 사례를 통해 역사 내 길 찾기와 환승이용을 위한 시각정보체계의 개선연구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본 논문이 대표로 선정한 환승역인 신도림역의 현황분석을 하여 타 역보다 복잡한 환승시스템을 이해하였고, 필드리서치를 통해 관찰된 내용을 바탕으로 환승여정에 따른 경험맵을 작성하여 이용시간대와 환승 장소별 페인 포인트를 도출하였다. 셋째, 필드리서치를 바탕으로 인터뷰 대상을 선정하였고, 컨텍스츄얼 인터뷰를 통해 이용객의 불편사항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사용자 니즈와 아이디어를 도출하였으며, 행동패턴분석을 통해 2개의 퍼소나를 만들어 신도림역 이용자를 대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들은 종점행 열차정보를 이해하고 승차정보를 확인하여 안전한 열차이용을 하고 싶어 하였으며,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고 빠른 동선정보를 제공받고 싶은 요구사항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정보체계의 개선목표를 ‘행동 유도’, ‘노선정보의 시각화’, ‘정황에 따른 정보배치’로 설정 하였다. 넷째, 인터뷰 분석과 퍼소나를 통해 도출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이를 환승단계별로 시각화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플랫폼에서 환승센터까지의 이동에 있어, 천장의 타일색상을 이용하여 동선을 유도하고 환승공간을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행동유도를 돕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환승센터에서 플랫폼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기기와 플랫폼 입구의 크게 제시된 번호 표시 및 노선정보를 제공하는 벽면형 플랫폼 안내사인으로 올바른 플랫폼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플랫폼 내 광고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행선안내기기를 통하여 이용가능한 지하철 정보습득을 돕도록 하였다. 이들은 정보를 노선도와 함께 시각화 하고 환승정황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객들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사용자중 일부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시나리오는 일반ㆍ급행 열차를 환승단계별 이용 상황에 따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조사에서 도출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한 5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 하는 방식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필자가 제시한 시각정보체계 방안이 기존의 신도림역 길 찾기의 불만요소를 해결할 수 있으며, 환승경험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복잡한 지하철 환승구간 내에서의 올바른 길 찾기를 위하여 더 나은 시각 정보 서비스 이용경험을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복잡한 환승역 중 신도림역을 대표로 선정하여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 결과가 타 지하철 환승역 뿐만 아니라 타 대중교통의 시각정보체계 개선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Since its first opening in 1974, the subway has been one of the most typical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in Korea, and it is a transit means of citizens as well as the most appropriate means for a complex and densely-populated city. All the subway users always look for the best way to move in the underground space and want to choose right trains, so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 is such a very important factor in a station. In many cases, however, the visual information provided by a station is exposed too much or too small, or not placed where it should be, and such insufficient or disconnected information bring about inconvenience to subway users. As a result, many of them try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such additional behaviors as asking others for directions and searching information with mobile devices.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is extending its lines in the capital area and outskirts at present, and there will be more lines in the future as well. At the same time, as there will be more transfer stations and transfer space, it is expected using subway will be more complicated, and in this aspect, it is urgent to improve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 in the transfer space.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by helping subway users find directions easily and choose right trains, further smoothly moving to their destinations. Particularly, by selecting Sindorim Transfer Station with a long history, where several different lines are mixed and ordinary and express trains go by, this study proposed a new visual information system that exposes information fit for every transfer situation for subway users. The below shows how this study was conducted. Firstly,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sent visual information system in service as well as the actual states of metropolitan subways, and through previous theses and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is study verifi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visual information for subway users to look for directions and use transfer services and established a research direction. Secondly,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es of Sindorim Station as a research subject, this study discovered that it has a more complicated transfer system than the other stations, and by applying the flow of use observed through field research to As-is Blueprint, this study drew pain points depending on the service hour and the transfer place. Thirdly, based on the field research, proper interviewees were selected, and through a contextual interview, things to make users inconvenient were found out. Based on them, this study could draw users’ needs through Affinity Diagram, and by making two personas through a behavior pattern analysis, this study made them represent those who use Sindorim S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sers want to acquire transfer information that even public transportation beginners can easily and safely use, to acquire information they want rapidly and to receive traffic-line information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interview, this study established goals of improving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 as ‘Behavior Inducement’, ‘Visualization of Information’and ‘Placement of Information by Circumstance’. Fourthly, after drawing ideas for the goals, this study visualized and proposed them for each stage of transfer. First of all, for users’ movement from a platform to the transfer center, this new system is designed to induce them to follow the right traffic with differently-colored tiles on the ceiling and helped the induction of their behaviors by distinguishing the transfer space visually. Then, by indicating large-sized numbers and providing clear line information through the guide devices at the entrance of a platform, this system intends to help users choose the right platform, and through the destination guide device using ad displays inside a platform, it helps users acquire information about available trains. Overall, by visualizing all the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fit for users’ transfer circumstances, this system is designed to help users arrive at their destinations in a safe and fast way. Lastly, this study selected some of the in-depth interviewees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ir satisfaction. The scenario was composed of different situations that they should use ordinary and express trains in each transfer stage, and based on the requirements from the research on users, this study prepared 5 kinds of questions and evaluated their satisfaction. As a result, this new visual information system proposed by this study could solve all the existing complaint factors of users looking for directions in Sindorim Station, and was found to help improve their transfer experience.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on these responses to the 5 questions, this study tried to supplement the survey by reflecting their subjective opinions, such as adding more buttons to the platform information guide device and emphasizing information about express trains at the entrance of Platform 4.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proposed how to experience a better visual information service when subway users look for right directions inside the transfer section of a crowded subway station. Out of all the crowded transfer stations, this study selected only Sindorim Station as a research subject, bu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all the visual information system of other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as well as the other subway transfer st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3 Ⅱ. 이론적 배경 5 A. 지하철의 이해 5 1. 지하철에 대한 개념 및 역사 5 2. 수도권 지하철 운영 및 서비스 현황 6 B. 공공시각정보에 대한 이해 10 1. 공공장소에서의 시각정보디자인 10 2. 지하철 시각정보체계 12 3. 지하철 환승공간에서의 시각정보체계의 역할 14 4. 지지하철 운영기관 별 시각정보체계 비교 분석 16 C. 선행연구와 국내외 시각정보체계 사례 및 한계점 22 1. 선행연구 22 2. 국내외 시각정보체계 현황 24 3. 분석결과 30 Ⅲ. 신도림역의 현황분석 및 필드리서치 31 A. 신도림역 환승서비스 31 B. 신도림역 승강장의 종류 32 C. 신도림역 필드 리서치(Field Research) 33 1. 신도림역 환승공간 별 시각정보체계 현황 33 2. 신도림역 이용 유형별 행동관찰 37 Ⅳ. 사용자 조사 39 A. 사용자 조사 대상 선정 및 심층 인터뷰 수행 39 B. 심층 인터뷰 내용 분석 39 1. 이용자 대상 선정 39 2. 심층 인터뷰 내용 분석 41 3.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 을 통한 결과 분석 46 Ⅴ. 사용자 모델링 49 A. 퍼소나(Persona) 구축 프로세스 49 B. 퍼소나(Persona) 시나리오 분석 50 1. 퍼소나1 시나리오 분석 51 2. 퍼소나2 시나리오 분석 53 C. 퍼소나(Persona) 분석결과 및 개선방안 컨셉 도출 55 Ⅵ. 서비스 설계 및 평가 58 A. 서비스 설계 58 1. 서비스 목표 및 컨셉 58 2. 서비스 범위 설정 및 제안방안 59 B. 환승단계별 시각정보체계 서비스 제안 60 1. 플랫폼에서 환승센터까지 이동과정의 시각정보체계 60 2. 환승센터에서 플랫폼 정보를 제공하는 시각정보 체계 61 3. 플랫폼에서 탑승과정까지의 시각정보체계 65 C. 만족도 평가 68 1. 만족도 평가 목표 및 설계 68 2. 만족도 평가 수행 및 분석 70 3. 디자인 개선 사항 72 Ⅶ. 결론 및 제언 74 참고문헌 76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277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지하철 환승역 내 시각정보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신도림역 행선안내서비스를 중점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Visual Information System Improvements in Subway Transfer Stations : Focused on the Destination Guide Service of Sindorim Station-
dc.creator.othernameIn, Sun Ah-
dc.format.pageix, 80 p.-
dc.contributor.examiner최유미-
dc.contributor.examiner전성진-
dc.contributor.examiner문형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UX(UserExperience)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UX(User Experience)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