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진옥-
dc.contributor.author정경민-
dc.creator정경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8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892-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설화 작품들을 중심으로 구비설화에 등장하는 어머니의 다양한 형상화 양상과 모성성의 특성을 살펴 여성의 역할 수행을 통해 나타난 모성 인식 및 여성 인식의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서론에서 ‘모성’을 구성주의적 개념을 적용시켜 규정하였다. 즉 모성이란 사회적으로 명명된 어머니의 역할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변화와 균열의 가능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이런 개념을 전제로 2장에서는 이야기 속에 어머니가 등장하면서 자식과의 관계에 있어 어머니로서의 행위가 서사의 중심이 되거나 혹은 어머니와 자식과의 이야기를 통해 모성과 여성에 대한 인식의 단면을 추론할 수 있는 이야기를 연구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자료들은 어머니의 모습이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었는가에 주목하면서 모성 수행이 모성 이외의 가치, 즉 ‘이념’과 ‘욕망’과 관계 맺는 방식에 따라 이념 중심형, 욕망 추구형, 이념-욕망 통합형으로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어머니 형상에 따른 모성성의 특성으로 도구적·희생적 모성, 탈이념적·해체적 모성, 반성적·주체적 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도구적·희생적 모성은 어머니가 자발적으로 체제에 협력하거나 체제의 유지를 위해 수동적으로 모성을 수행할 때 주로 드러나는데, 체제에 대한 협력이나 유지는 이야기 안에서 주로 이념의 추수(追隨)나 실현의 형태로 제시된다. 구비설화에서 여성이 지향해야 할 이념은 크게 가부장제 이념과 효열 이념인데, 가부장제 이념에 따른 어머니의 모성 수행에서는 여성 인물의 재생산능력과 아들 선택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이는 가문의 중시와 혈연의식의 강화에 따라 수단화 된 모성을 나타내며, 가부장제 이념에 대한 모성의 종속성을 보여준다. 또 여성 인물은 효열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자식을 희생하는데 효와 모성, 열과 모성의 갈등이 담론으로 경합하지 못하고 절대적인 효와 열 이념의 우위로 귀결되는 것은 모성보다 효성이나 열행이 중시되는 가족 질서화 기제를 보여준다. 탈이념적·해체적 모성은 어머니가 다양한 욕망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특성으로, 어머니가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가족을 재편하고자 자식을 선택할 때, 자신의 생존을 위해 자식을 버릴 때, 자식보다 성적 욕망을 우선시 할 때 부각된다. 구비설화에서 계모가 자기에게 유리한 가족 구성을 위해 가부장제 이념에서 벗어나는 차별적 모성을 수행할 때 어머니 자신도 실패하게 된다. 어머니가 가내 권력을 보전하기 위해 양자를 파양하고 남편의 서자를 가계 계승자로 지명할 때는 가부장제 이념에 부합하기 때문에 가족 재편의 욕망을 이념의 실현 의지로 은폐해 성공한다. 어머니가 생존이나 성적 욕망을 위해 자식을 버리거나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경우 어머니는 비난의 대상이 되고 어머니 또한 실패하거나 죽음에 이른다. 반성적·주체적 모성은 여성 인물이 자아실현의 매개로서의 모성을 활용할 때, 즉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정성과 노력으로 큰 인물을 낳거나 엄격한 훈육으로 자식의 성공을 이끌거나 이타적인 모성을 발휘하는 이야기의 모성 수행에서 발견된다. 또 여성 인물이 자기 자신의 타고난 생명력을 발휘하거나 시련을 겪더라도 합리적인 가치관을 실천한 끝에 인재를 낳게 될 때 반성적이고 주체적인 모성을 실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어머니가 성적 욕망을 추구함에 있어 모성 수행을 양립할 때 ‘여성’과 ‘어머니’의 정체성이 통합 가능하다는 구비전승의 건강한 해석을 읽을 수 있다. 이야기 속 여성 인물들에게 부과되었던 여성 윤리와 여성 윤리 체계에서 규정된 모성의 위상을 살펴본 결과 구비설화 속 어머니들은 윤리적 선택에 따라 모성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였다. 여성 인물은 사회문화적으로 주어진 여성 윤리와 모성이 조화를 이룰 때 순응하고 여성 윤리와 모성 수행이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모성을 포기한다. 이야기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모성 수행 양상을 살펴본 결과 모성 혹은 모성애가 영속적인 실체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행위는 행위 그 자체에 대해 절대적 기준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황에 따른 상대적 기준에 의해 평가받는다. 그리고 그 상황 논리라는 것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질서에 얼마나 부합하느냐를 기준으로 구성된다.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동일 행위에 대해 해석과 평가가 다양하게 내려지는 것은 모성의 발현과 포기 자체보다 발생 상황의 맥락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계적 자아란 자아가 관계적으로 구성된다는 의미이며 추상적 개인과는 달리 특수성과 차이를 가진, 맥락 속에 위치하는 도덕적 주체인데 여성의 경우 집 안의 존재이기 때문에 관계자아로서 여성정체성은 가족 관계를 통해 형성되고, 집안 가족들과의 관계를 통해 구성된다. 관계에 따른 여성 정체성은 일정하게 위계화 되어있는데 ‘여성’보다는 ‘어머니’, ‘어머니’보다는 ‘아내’, ‘아내’보다는 ‘며느리’로서의 정체성을 우선시할 때 인정받고 자신의 존재 가치를 성공적으로 드러낸다. 구비설화에서 어머니들은 관계에 따라 상대적으로 규정되는 정체성을 지니고 살아간다는 점에서 타자화 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어머니의 선택이 맹목적이거나 타인의 욕망을 대변하더라도 어머니의 행위는 내부의 도덕적 이상이나 욕망에 따른 것이라는 측면을 간과할 수는 없다. 따라서 어머니이면서 여성인 인물들은 완전한 주체, 타자로서가 아니라 그 사이 어디쯤에 서 있는 경계적 존재라 볼 수 있다. 모성과 관련된 다양한 어머니의 모습들은 여성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모성 인식과 여성 인식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중첩되고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구비설화의 어머니들은 모성 수행에 충실한 경우와 모성 중심적 역할 수행을 하지 않는 경우를 두루 보여주는데, 이는 모성 이데올로기가 절대화되기 이전의 사회적 관습이나 지배 이념에 수용되거나 저항하는 여성 및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이야기에서 어머니가 현실 윤리의 위계에 따르면서도 욕망을 지닌 인간으로서 자신의 욕구와 욕망을 추구하는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지는 것은 현실세계의 여성, 여성이 처한 사회적 위상이나 관습 등을 반영하면서도 인간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것이다. 어머니는 어머니이면서 동시에 여성이므로 규범이나 관습, 이념적 억압에 때로는 순응하고 때로는 저항하면서 인간으로서의 욕망이나 자신의 근원적 존재감을 지향하고 실천하는 어머니의 다양한 모습들을 통해 여성의 다양한 모습들 또한 제시된다.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시대의 문헌들을 중심으로 여성 인물의 어머니로서의 행위와 태도를 통해 모성 형상의 전통과 역사적인 전개 양상을 파악하여 구비설화의 여성 형상과 여성 인식의 문학사적 의의를 살폈다. 『삼국유사』, 『삼국사기』에서 모성 형상의 원형인 신화적 어머니들은 출산을 통한 어머니 되기의 과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며 생산신의 면모를 통해 생물학적 모성의 신성함을 형상화한다. 또 출산과 양육 개념의 분리로 깨우치고 가르치는 양육하는 어머니상을 부각시키면서 신화적 어머니에서 점차 설화적 어머니로 변모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고려시대 기록에 의하면 강렬하지는 않더라도 모성보다 열 관념이 우세해지는 양상이 보이기 시작하고, 조선시대에 오면 후기로 갈수록 열 관념의 우세에 모성은 위축된다. 그러면서도 사회가 유교화 되면서 여성을 어머니로 제한하려는 제도적, 정치적 움직임이 계속되었으며 자식의 신분적 제약을 같은 해방시켜주기 위해 자결하는 어머니까지 문헌설화에 등장하게 되었다. 문학사적 전개에서 구비설화에서 보여주는 어머니의 행보는 기록문학과의 연관성을 지니면서도 한편으로는 문헌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독특한 지점들을 보여준다. 이는 구비설화가 기층민의 정서를 주로 대변하기 때문에 기층민들의 생활사적인 조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This thesis is aiming for investigating recognition of maternity and female thought presented by women’s role implementation in looking into diversified patterns and characteristic of maternity appeared in oral folktale listed in An Outline of Korean Folklore Literature. This manuscript defines “maternity” by applying concept of “constructivism”. In other words, maternity is viewed to retain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fracture because it is made up by repetitive performance of socially named maternal role. On the premises of this concept, object of study was selected as the story on actions by mother centered on relation with offspring or stories inferable to aspect of recognition on maternity and female reflected on story of mother and offspring. Selected reference looks mainly into how image of mother was literary embodied and classified into value other than maternity instinct, so to speak, ideological model depending on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and desire, desire chase model and consolidated model between desire and ideology. In Chapter III,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instinct in consequences of mother form was studied. Maternity instinct based on form of mother retains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instinct in instrumental and self-giving, evasive philosophy, deconstruction, reflection, independence. Instrumental and self-giving maternity comes to the front by the time when mothers are in cooperation with existing structure voluntarily or in performance in passive way for keeping current structure. Cooperation and maintenance on structure in the story are suggested mainly in the form of unconditional follow on ideology or realization. Main ideologies for women in folklore are ideology of patriarchy and filial piety and chastity. Women’s reproduction capability and selection on son are being magnified in performance of maternity instinct in line with ideology of patriarchy. And this shows maternity instinct as a mean in accordance with ideology of emphasizing family and sense of blood ties and also shows nature of dependency of maternity instinct on patriarchy. In addition to this, it is appeared that family order proposition which puts emphasis more on filial piety than maternity instinct resulting in superiority of unconditional filial piety not being competing with any argument between maternity instinct and filial piety. Evasive ideologic, deconstructive maternity are shown as the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pursuit of diverse desire by mothers and these are revealed when mothers select sons to restructure family for her and discard sons for self-survival and put more priority on sexual desire than offspring. In certain folklore, stepmother herself was in failure or destruction as a result of doing differentiated maternity act far from ideology of patriarchy for any family members regarded as her side. In case mother gave up adoption to maintain power in family and designate child of concubine as heir successor, this was successful as desire for family restructuring was disguised as willingness of realization of ideology because this corresponds to patriarchal ideology. Mothers became the targets of criticism and were in failure and in death also in the case she discarded offspring or made them in death for her survival or sexual desire. Reflective, independent maternity are exposed when they utilize maternity performance as medium of self-realization, that is to say, these are founded in the story on maternity performance in giving birth to a grand man and bringing up successful man with strict discipline or doing unselfish maternity. Reflective, independent maternity are realized when female demonstrates natural born life-force or brings up grand man by putting reasonable values into practice in the face of hardship. On the other hand, sound interpretation is possible in combination of “female” and “mother” identity as long as sexual desire and maternity instinct co-exists More discussion was dealt with recognition of maternal instinct and female instinct presented in folklore in chapter IV. Female ethic and system given to women in the story described in maternity instinct shows that mother in the folklore decided implementation of maternal instinct based upon the ethical choice. Female characters accept when female ethics given in socio-cultural is harmonized with maternal instinct and discard maternal instinct in case those two are not in harmony. The observation on patterns of maternal instinct implementation verifies that maternal instinct and mother’s instinctive love are not immortal but variable depending on the situation. Actions done by mothers is evaluated not by absolute standard on actions itself but by relative standard based upon the every situation. And situational ethics is built with standard how much it is coincide with patriarchal order. The difference on variation of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n same actions done by mother against offspring proves that context of occurrence situation is more important than manifestation of maternal instinct and abandonment itself. Relational ego means that ego is formed in relationship and female identity is formed by relationship in family. Female identity consequence from relationship is fixed in hierarchy and accredited in successfully exposed only when it is put ‘mother’ before ‘female’ and ‘wife’ before ‘mother’, ‘daughter in law’ before ‘wife’. Mothers in folklore became the others in a regard that they lived with identity relatively stipulated upon the relations. Even if mothers choice were unconditional or represented others desire, mothers’ ac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aspect of internal ethical ideal or following desire. In results, characters as female as well as mothers are recognized as existence in the middle of perfect subject and the others. To sum up the recognition of maternity instinct in tradition group in folklore, first, more attention was given to biological maternity instinct giving birth to son and a man of ability rather than raising and educating offspring. And anticipation and affirmation by tradition group against generability of women are commonly exposed in the narrative and performance. Second, maternity instinct to mother in folklore is utilized in strategic way of life determining implantation upon the situational request rather than unconditional value or ethics and tradition group in folklore accept this. Abandonment of maternity instinct by mother is recognized as positive way when it is done for others like parents-in-law, husband and the children of former wife. And it is regarded as negative when this is done for female herself. Third, male oral informants understand and recognize maternal instinct in ideological way by focusing on implementation of ideology in narrating story related to ideology. By comparison, female oral informants recognize maternity instinct in experiential way in narrating story and reflect female reality. In chapter V, the values on shape of mother and literary history of female recognition in folklore are studied. The tradition of mother form and the patterns of development was analyzed by the act and attitude of female as mothers seen in such as literature in Chosun Dynasty and The heritage of three states (三國遺史), The chronicles of three states (三國史記) The History of Korea (高麗史). Mythical mother as prototype of maternity form displays intensive process of becoming mother by childbirth and forms sacred character of biological maternity instinct in a sense of god of production in The heritage of three states (三國遺史), The chronicles of three states (三國史記). Other than this, it also draws attention on form of mother giving birth child and raising and gradually evolved from mythical motherhood into fictional motherhood. In record of Koryo Dynasty, it was put more focuses on fidelity than maternity instinct in modest manner and superiority on fidelity was increased and squeezed more on maternity instinct.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 was continuous institutional and political movement in restricting female as motherhood and even characters of mother committing suicide for positional liberation has been appeared in literature narratives. The performance of mother shown in folklore has relationship with documentary literature in one hand and also displays distinctive points not dealt in literature in the other han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folktale spoke for sentiment of lower class and was closely tied with living condition of lower cla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1 B. 연구 대상 및 논의의 방향 10 Ⅱ. 구비설화에 나타난 어머니 형상의 유형과 서사단락 15 A. 구비설화의 어머니 형상 유형 구분 15 B. 어머니 형상의 유형과 서사단락 19 1. 이념 중심형 20 1.1. 가부장제 이념의 수행자로서의 어머니 20 1.2. 효 이념을 위해 자식 희생시킨 어머니 32 1.3. 열 이념을 위해 자식 수단화 한 어머니 40 2. 욕망 추구형 48 2.1. 기출 위해 전실 자식 차별한 어머니 48 2.2. 생존 위해 자식 버린 어머니 59 2.3. 자식보다 성적 욕망을 우선시 한 어머니 63 3. 이념-욕망 통합형 68 3.1. 출산과 돌봄에 힘쓴 어머니 68 3.2. 소신으로 큰 인물 낳은 어머니 75 3.3. 자식 양육하고 제 삶을 찾은 어머니 80 Ⅲ. 어머니 형상에 따른 모성성의 특성 84 A. 도구적·희생적 모성 84 1. 가부장제 이념과 모성의 수단화 85 2. 효열 이념에 의한 자식의 희생 100 B. 탈이념적·해체적 모성 110 1. 자기중심의 가족 구성을 위한 선택적 모성 110 2. 생존의 욕망에 의한 모성의 포기 120 3. 성적 욕망에 종속된 모성 124 C. 반성적·주체적 모성 129 1. 자아실현의 매개로서의 모성 129 2. 가치관에 따른 모성의 발견 142 3. 욕망과 조화 이룬 모성의 긍정 153 Ⅳ. 구비설화에 나타난 모성 인식 및 여성 인식 156 A. 가부장 이념 속의 모성 이해 156 1. 여성 윤리와 모성 156 2. 상황윤리에 따른 모성 이해 166 B. 경계적 존재로서의 여성과 어머니 171 1. 관계자아로서의 여성과 모성 수행 171 2. 타자의 상황과 주체 되기 176 C. 설화 전승집단의 모성 인식과 여성 인식 181 Ⅴ. 구비설화의 어머니 형상과 여성 인식의 문학사적 의의 200 Ⅵ. 결론 207 참고문헌 212 ABSTRACT 2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98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구비설화의 어머니 형상을 통해 본 모성과 여성 인식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cognition of Maternity and Female Thought Revealed in Patterns of Mother Embodiment in Oral Folktale-
dc.creator.othernameChung, Kyung Min-
dc.format.pagev, 225 p.-
dc.contributor.examiner조혜란-
dc.contributor.examiner천혜숙-
dc.contributor.examiner신동흔-
dc.contributor.examiner최기숙-
dc.contributor.examiner강진옥-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