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끝별-
dc.contributor.author정민영-
dc.creator정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5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571-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has a starting point for raising a question on the existing studies staying at a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the sentiment of grief' on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Kim So Wol. It intends to verify a fact that absence of the existing studies' futuristic sense may be overcame by examining the poetic self and time of his poetry through Deleuze's theory on time. So, it aims at inspecting a process that poetic self in the negative reality goes forward to the future with a capability of positiveness. In the Chapter II, poetic self forms the past by preserving the past moments, while gazing at, contracting and embracing independent and continuing moments, and forms the future at the present by forecasting upcoming moments. Contraction is the repetitive union that happens from the spirit of the self staring at independent and continuing moments. In addition, time of the 'living present' formed as such becomes the time as an 'event' having the meaning rather than exists only as an objective fact. 'The living present' is the time that the past and future made present and the current practical present move together constantly. It manifests itself through the mix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ense in the poetry by Kim So Wol. In the Chapter III, the poetic self comes to be bisected into the self dreaming of unifying with a 'lover' and into the self realizing about a lover never to meet again. In the desperate reality where the lover doesn't exist, generally the ideal self shall be forgotten completely for the poetic self. However, coexisting with the present still passing continually, such a 'memory' comes to return unvoluntarily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self, in other words, comes to be 'triggered'. Such a time of the 'pure past' appears in the poetry as a 'dream' and a 'song. Also, time of the 'pure past' and the present appears as a picture frame composition(reality-dream-reality) in the poetry. Through such a time of the 'pure past',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intention going forward to the future while facing the past rather than escaping to the past. In the Chapter IV, 'certain decisive moment' beyond the capacity of the self to face is the death of the beloved one to the self in Kim So Wol's poetry. Since such a moment can not be accepted at all, from then, time i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self is ruptured into the prior and posterior self, prior self that has stayed at the cyclic time dies a death and a new self comes into being. It is the time related not to the past or present but to the future, and the time of eternal return that only a new and different thing comes back. In other words, it is the time inherent in the future connected with Thanatos. This paper analyzed the poetic self and temporal sense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positive ontology of the poet.; 본고는 김소월 시인의 시세계에 대해 ‘정한론(情恨論)’의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는 기존의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했다. 기존 연구들의 미래의식 부재를 들뢰즈의 시간론을 통해 김소월 시의 시적 자아와 시간을 살펴봄으로써 극복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부정적 현실에 놓인 시적자아의 긍정적 탐색에서 부정적 현실의 극복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시적 자아가 ‘님’과의 이별 이후의 세계를 견뎌내고자 발현시킨 내재적 시간, ‘살아있는 현재’를 밝혀본다. 시적 자아는 독립적이면서 계속 이어지는 순간들을 응시하고 수축함으로써 순간들을 끌어들인다. 그렇게 지나간 순간을 보존함으로써 과거를, 다가올 순간을 예상함으로써 미래를 현재에서 구성해낸다. 이렇게 구성된 ‘살아있는 현재’의 시간은 객관적 사실이 객관적 사실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가지게 되는 ‘습관’으로서의 시간이 된다. 현재화된 과거와, 미래 그리고 현행적 현재가 함께 끊임없이 이동해나가는 ‘살아있는 현재’는 과거, 현재, 미래 시제의 혼용을 통해 나타나며, ‘길’로 공간화된다. Ⅲ장에서 시적 자아는 고통스러워 잊고자 했지만 잊혀지지 않고 계속해서 회귀하는 ‘순수과거’의 시간과 마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시적 자아는 ‘님’과의 합일을 꿈꾸는 자아와 님을 다시 만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자각을 하게 되는 자아로 이분화된다. 이 시간은 현재와 공존하고 있지만 현재가 개입되지 않은 과거 그 자체이다. 시에서는 주로 ‘꿈’으로 나타나며, 액자식 구성(현실-꿈-현실)의 형태로 나타난다. ‘순수과거’의 시간은 시적 자아에게 심화된 상실감을 자각하게 하지만 그로인해 그 시간을 피하지 않고 마주함으로써 과거로의 도피가 아닌 미래로 나아가려는 시적 자아의지가 드러남을 살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 시적 자아가 받아들이기 버거운 ‘결정적인 어떤 한 순간’은 사랑하는 님의 죽음을 확인하는 순간이다. 도저히 이 순간을 받아들일 수 없기에 시간은 그 순간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진다. 자아는 마찬가지로 이전의 자아와 이후의 자아로 균열되며, 순환적 시간을 살아온 이전의 ‘자아’가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새로운 자아가 탄생한다. 새롭게 태어난 ‘자아’는 종말이 아닌 죽음 이전의 삶, ‘영원회귀적 미래’를 살아가고자 하며, 비로서 산에서 ‘상상적 유토피아’를 찾게 된다. 이 시간은 과거나 현재가 아닌 미래에 관계되는 시간이며, 타나토스와 결부되어있는 시간이며, 시에서는 역접의 구조로 나타난다. 시의 자아와 시간의식을 분석하며 전개한 본 논문은 시인의 긍정적 존재론을 이해하게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사검토 및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6 Ⅱ. 자아의 수축과 습관으로서의 시간 11 A. ‘살아있는 현재’와 시제의 혼용 14 B. 방향성 상실의 ‘길’과 절망의 유예 21 Ⅲ. 자아의 이분화와 기억으로서의 시간 33 A. ‘순수과거’와 액자식 구성 34 B. 존재 근원의 ‘집’과 상실감의 자각 46 Ⅳ. 자아의 균열과 ‘순수사건’으로서의 시간 56 A. ‘영원회귀적 미래’와 역접의 구조 57 B. 상상적 유토피아 ‘산’과 슬픔의 승화 71 Ⅴ.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9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김소월 시의 자아와 시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들뢰즈의 시간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lf and time in Kim so-wol’s poetry : Centered on the theory on time by Deleuze-
dc.creator.othernameJung, Min Yeong-
dc.format.pageiii, 90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현-
dc.contributor.examiner연남경-
dc.contributor.examiner정끝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