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끝별-
dc.contributor.author안상원-
dc.creator안상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5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53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s Baek Seok’s poetry to examine how the subject’s act of remembering(Erinnern) is associated with the consciousness of writing poems and to identify the personal, social, and historical implication of memory in his poems. In the preceding studies, memory in Baek Seok’s poems mostly focuses on the peaceful world of the juvenile subject, but it is essential to take a more holistic approach to the subject’s attitude of remembering not only childhood, but daily experiences. It is also necessary to broadly observe the scope of memory from the perspective of a group and from a historical context, thereby extending further beyond a personal dimension. For a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presents the theory of memory by Walter Benjamin, who explored the personal and social history from forgotten memory, not from transmitted memory. Benjamin views childhood as forgotten memory of an individual and society, and the scenery of central Paris in the 19th century as the past of capitalism that went into social and historical oblivion. The process of forgotten memory being re-created through the subject’s recollection serves as a reference in observing the subject’s writing consciousness. Chapter II analyzes how childhood memory is recollected in Baek Seok’s poems. Forgotten childhood memory is characterized by an aura that instantly exposes what exists at a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This study defines childhood memory as aura; the way of recollection as collection(Sammlung) of fragmented obje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oetization of childhood memory as excavation(Ausgraben). Baek Seok’s childhood subject believes that he corresponds with the products of memory and attempts to search his memory. This process reverses the searching subject and the memory being searched, creating a form similar to hide-and-seek(Verstecken). Based on animist thinking, the subject develops ambivalent feelings of fascination and fear towards tales including ghosts and folk beliefs, and such feelings liven up the tales. The childhood subject explores not only his personal memory, but also the memories about pitiful lives of common, ordinary individuals and impoverished neighbors—the memories of a group of ‘others.’ The locutionary aspect of such retrieved memories takes the form of stories that convey meaningful experience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enunciations found in Baek Seok’s poems—such as enumeration, juxtaposition, and repeated words—provide certain content of memory as mutual supplements in the course of recollecting aura memory. In addition, with the variation of stories to foreground food and the sense of taste, the subject re-contextualizes customs based on the transition of food as daily necessity into stories. Chapter III describes socially forgotten memory as dream-awaken (Traum-Erwachen), and defines that the reading (Lesen) to capture unconscious desire of the subject and group that penetrated into the daily landscapes expressed in Baek Seok’s travel poems is a way of recollection. In addition,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a collective desire or wish, or the mode of poetization, is suggested as awareness (Bewusstsein). Each product in passage evokes its inherent dream (wish); the subject as a traveler in Baek Seok’s poetry corresponds with the products that emerge as objects of remembrances and reads the unconscious desire evoked by those products. As a result, the subject reads a will for happiness to overset exhaustion and sufferings in lives. Here, this study defines and analyzes such process as an attitude of the dialectic of happiness(Dialektik der Glück) for exploring memory. Instead of recognizing the outcomes of poverty with a sense of shame, the subject gives poverty some psychological values such as sadness and love and thereby breaks up exchange values. This chapter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 between exploration of memory and femininity, based on the feminine images captured within pleasant moments enjoyed only temporarily. Examples of discourse of the subject who witnesses landscapes in a travel destination include an allegory as phenomena Darstellung to expose objects as they are. The most conspicuous is the absence of objects for affection. Nevertheless, the subject does not take an active stance toward the absent objects for affection, but rather choose a reserved attitude of expression, such as “I guess ...” or “It seems like ...” Conversely, however, such reserved attitude specifies the objects for affection and their location. This chapter sheds light on how the subject utilizes the senses of smell and hearing when evoking a specific location, allowing a territory or state to be re-contextualized into specific locations where actual people live while exuding sound and smell. Chapter IV examines memory in Baek Seok’s poetr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with a focus on how poet-writing (Mimesis) rescues (Erlosung) the past where memory is buried as materialistic history (Geschichte) that refuses progress and natural logic behind development. As the Melencholic subject is granted a duty to refuse natural history and recover the forgotten past, he presents the poetic word ‘heart’ for history as simultaneous and contemporary relations built by each individual, not for history passed down from the top. As a result, the people and time from the past revive as meaningful objects to the present subject, who then projects them onto his inner side and overcomes a feeling of helplessness while facing the forgotten past. At this point, the subject recognizes that “the sky” and “white wind wall” are the space of pure language (Die reine Sprache) where objects convey themselves and reveal their memory, and then realizes that it is a poet’s role to read and enunciate them. Reading the pure language that conveys itself requires an attitude to explore its essence and assign appropriate names. Such naming process is revealed through a discourse that begins with a question “What is this?” followed by its answer. Chapter IV also takes note of the fact that the poet’s action focuses on representing the essence through mimesis, or bodily gestures.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sense of touch emerges as an aspect of history that re-defines ‘writing with body.’ Chapter V concludes with implication for the history of poetry that may be obtained when examining Baek Seok’s poetry works based on Walter Benjamin’s theory of memory, the correlations between memory and poem-writing, and the limitations faced in this study. One of the contributions made by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s the intentionality and activeness, instead of internality and passiveness, of the act of recalling memory and that it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recalling subject.;이 논문의 목적은 백석의 시를 대상으로 주체의 ‘기억’ 행위가 시쓰기 의식과 매개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시의 ‘기억’이 개인적, 사회역사적으로 의미하는 바를 밝히는 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 그의 시에 나타나는 ‘기억’은 유년주체의 평화로운 세계에 집중되어 있으나, 유년기뿐 아니라 일상의 경험세계를 ‘기억’하는 주체의 태도에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억’의 범위를 개인적 차원에서 벗어나 집단, 그리고 역사적 차원에서 두루 살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망각된 기억에서 역사와 글쓰기 의식을 탐색한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기억이론을 이론적 틀로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백석 시의 유년기억의 회상양상을 살펴보았다. 망각된 유년기억은 시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것을 순간적으로 드러내는 아우라적 특성을 갖는다. 이에 유년기억을 ‘아우라’로 정의하였고, 회상의 방식은 부스러기 같은 사물을 모으는 ‘수집’, 그리고 유년기억을 시화(詩化)하는 주체의 특징을 ‘발굴’로 설명하였다. 기억의 산물과 자신 사이의 감응력을 믿는 주체는 애니미즘적 사유에 기반해 귀신과 속신을 비롯한 ‘녯말’에 매혹과 공포의 양가감정을 갖고, 이 감정은 ‘녯말’을 살아 움직이게 한다. 이 외에도 주체가 찾아내는 집단의 기억은 소박하고 보잘것없는 인물들, 가난한 이웃들의 서글픈 삶으로 명명되는 타자화된 존재들이자 공동체의 기억이기도 하다. 이렇게 찾아낸 기억의 언표화 양상은 의미 있는 경험을 전달하는 ‘이야기’로 드러난다. 백석 시의 주 언술특징인 나열과 병렬, 그리고 반복어는 아우라적 기억의 회상과정에서 기억내용을 상호보충하는 형태로 제시된다. 또한 ‘이야기’는 먹거리, 미각을 전경화하는 방식으로 변주되는데, 주체는 삶에 필수적인 먹거리가 바로 ‘이야기’로 바뀐 것을 통해 풍습을 재맥락화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사회적으로 망각된 기억을 ‘꿈-깨어남’으로 설정하였고 백석 시의 여행시편에 나타난 삶의 풍경에 침투한 주체와 집단의 무의식적 욕망을 포착하는 ‘읽기’를 회상의 방식으로 보았다. 그리고 집단의 욕망 혹은 소망을 대하는 주체의 태도이자 시화 방식을 ‘자각’으로 제시하였다. 주체는 삶의 고단함과 신산함을 전환하려는 행복에의 의지를 읽게 된다. 이를 기억탐색의 행복변증법적 태도로 설정,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주체는 ‘가난’의 부산물을 수치심으로 인식하는 대신, 가난에 슬픔과 사랑이라는 정신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교환가치에 균열을 가한다. 또한 순간적으로 누리는 행복한 순간에 포착되는 여성 이미지에 착안, 기억탐색과 여성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언술양상의 경우 사물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현상(現像 ; darstellung)으로서의 알레고리로 드러난다. 주체는 부재하는 애정대상을 향해 적극적인 행위를 취하는 대신 유보적인 말하기 방식을 취한다. 유보적인 태도는 역으로 애정대상과 그 대상이 있는 장소를 구체화하는데, 특정 장소를 환기할 때 활용되는 후각과 청각으로 인해 영토나 국가는 소리를 내고 냄새를 풍기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는 구체적인 장소로 재맥락화된다. Ⅳ장에서는 역사적 차원에서 백석 시의 기억을 살펴보았다. 진보와 자연적 발전논리를 거부하는 ‘유물론적 역사’로서의 기억이 묻혀 있던 과거를 어떻게 시 ‘쓰기’를 통해 ‘구원’하는가가 중심을 이룬다. 멜랑콜리적 주체는 자연사(史)를 거부하고 망각된 과거를 복구하기 위해 침잠한다. 이 과정을 ‘정관’으로 보았으며, 주체는 위로부터 내려오는 역사가 아닌 개개인이 맺는 동시적이고 현재적인 관계로서의 ‘역사’를 ‘마음’이라는 시어로 제시한다. 또한, 자신의 내부를 투사하는 주체는 망각된 과거를 마주하면서 무력감을 극복하게 된다. 주체는 기억 대상이 자기 자신을 전달하는 공간이자 사물이 그 기억을 드러내는 순수언어의 공간을 ‘하늘’과 ‘흰 바람벽’으로 인식하고, 그것을 읽고 언표화하는 것이 ‘시인’의 역할임을 깨닫는다. 스스로를 전달하는 순수언어를 읽기 위해서는 본질을 탐색하고 그것에 적절한 이름을 붙이는 태도가 요구된다. 이 명명의 과정은 ‘이것은 무엇인가’를 질문하는 문답의 언술로 드러난다. 또한 시인의 행위가 ‘임내(흉내)’, 곧 몸으로 본질을 재현하는 데 집중하는 데 착안, 촉각이 몸으로 쓰기를 재규정하는 ‘역사’로 드러나는 것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백석의 시를 벤야민의 기억이론으로 다룸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시사(詩史)적 의의를 밝혔다. 회상하는 행위의 내면성이나 소극성 대신 회상의 의도성과 적극성을 제시했다는 점, 회상하는 주체의 역사적 시각을 읽을 수 있었다는 점을 의의로 제시할 수 있다. 한계점은 기억과 방언 연구를 연결 짓지 못한 점, 그리고 백석의 짧은 시편들을 기억을 촉발하는 매개로 접근하지 못한 점이었다. 이와 같은 한계점은 후속 연구로 다루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연구사 검토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11 Ⅱ. 아우라로서의 기억과 발굴의 시쓰기 26 A. 유년주체와 술래잡기로서의 탐색 27 1. 애니미즘과 녯말의 양가성 29 2. 타자성 복원과 공동체의 형상화 36 B. 경험의 전달로서의 이야기 44 1. 화제 확장과 상호보충의 언술 45 2. 미각의 전경화와 풍속의 재맥락화 54 Ⅲ. 꿈-깨어남으로서의 기억과 자각의 시쓰기 68 A. 여행주체와 행복변증법으로서의 탐색 70 1. 교환가치의 전유와 가난의 양가성 72 2. 현실압력의 전환과 여성성의 지향 83 B. 현상(現像)의 제시로서의 알레고리 93 1. 화제 미완과 유보적 언술 96 2. 후/청각의 전경화와 국경의 재맥락화 102 Ⅳ. 유물론적 역사로서의 기억과 구원의 시쓰기 114 A. 멜랑콜리적 주체와 정관(靜觀)으로서의 탐색 116 1. 현재성 인식과 마음의 양가성 117 2. 자연사(史) 해체와 무력감의 극복 125 B. 순수언어 구현으로서의 명명 138 1. 화제 집중과 문답의 언술 140 2. 촉각의 전경화와 역사의 재맥락화 149 Ⅴ. 결론 157 참고문헌 161 ABSTRACT 1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58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백석 시의 ‘기억’과 시쓰기 의식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membering’ and Writing Consciousness in Baek Seok’s Poetry-
dc.creator.othernameAhn, Sang Won-
dc.format.pageiv, 173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현-
dc.contributor.examiner고형진-
dc.contributor.examiner이경수-
dc.contributor.examiner연남경-
dc.contributor.examiner정끝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