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근대계몽기 서사에 나타난 이상국가의 한 양상

Title
근대계몽기 서사에 나타난 이상국가의 한 양상
Other Titles
An Aspect of the Ideal Natio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 Focusing on Jung-ssi Bokson-Rok
Authors
박혜성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혜란
Abstract
근대계몽기의 국문 소설인 <정씨복선록>은 19세기 말 ~ 20세기 초 사이에 창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이다. <정씨복선록>의 공간 배경에는 근대적인 지리 정보가 수용되었고, 작품의 중심 공간인 대남국과 동번국을 배경으로 하여 중심인물들의 이동에 따라 두 공간이 이상국가로 변모해 가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동번국을 포함한 대남국을 이상국가로 평가하였으나 대남국과 동번국에서 보이는 이상국가의 양상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정씨복선록>의 두 공간을 중심으로 한 분석을 통해 <정씨복선록>이 근대계몽기의 이상국가를 형상화한 소설로서 갖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장에서는 <정씨복선록>의 배경과 공간 이동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우선 작품은 근대적인 지리정보를 반영하여 공간 배경을 구성하였다. 중심인물들은 기존의 지리 지식체계 안의 공간과 그를 넘어서는 상상의 공간을 왕래하며 자신들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 또한 미지의 공간은 미개한 상태가 아니라 중심인물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중심인물들은 새로운 공간에서 전쟁과 순행 등을 통하여 군주(君主)의 신하(臣下)가 아닌 통치자로서의 왕(王)의 위치에 도달하였다, Ⅲ장에서는 <정씨복선록>에 형상화된 이상국가의 건설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남국에서는 군사 훈련, 신무기 개발 등을 중심으로 군사력 강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신지식의 습득을 중요시 여기고, 국가의 체제를 정비하는 모습이 드러났다. 동번국에서는 주인공 일가를 중심으로 분봉왕의 국가 통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여기에서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신생 국가가 공간 개발을 통해 영토에 영향력을 확대해 가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더불어 성군(聖君)으로서의 왕의 조건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왕족 일가의 화려한 생활을 드러내는 것을 통해 작은 국가가 완성되어 가는 모습을 드러내었다. 분석의 결과 대남국에는 서기(西器)의 습득과 활용을 통한 서구적 기술 국가로의 지향이 드러났고, 동번국에서는 동도(東道) 즉, 유교 중심의 이상국가 건설이 나타난다는 결론을 얻었다. Ⅳ장에서는 <정씨복선록>이 근대계몽기의 소설로서 가지는 의미를 밝히기 위해 공간을 통해 본 작품의 의의와 함께 소설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간을 통해 본 <정씨복선록>의 주제의식은 소국과민(小國寡民)의 재건 유토피아 형상화 및 ‘충(忠)’개념의 변화와 ‘동도(東道)’의 실현이다. <정씨복선록>은 소국과민(小國寡民)의 동번국에서 물질적인 재건과 정신적인 재건이 조화를 이룬 재건 유토피아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 대남국에서는 국가 이동에 따른 충(忠) 개념의 변화, 동번국에서는 여성 중심의 효(孝)가 강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정씨복선록>은 근대계몽기의 국문 소설로 영웅소설, 가문소설과 유사한 요소들을 포함하면서도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유행하였던 몽유록계 소설들, 전기·위인전들과 국난 극복, 국가 주권 회복이라는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작품은 궁극적으로 이상국가를 형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대남국에서는 서기(西器)가 강조되었고, 동번국에서는 동도(東道)가 강조되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 동도서기(東道西器)가 구현된 이상국가는 대남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동도를 강조한 동번국임을 알 수 있었다. 작가는 시대가 소설에게 요구하는 바, 즉 국난 극복과 국가 주권 수호의지의 강화라는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고민의 결과물로 ‘동도서기의 이상국가’인 동번국을 형상화하였다.;Jung-ssi Bokson-Rok is a Hangul novel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between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It reflects the modern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spatial background, and reveals how two nations, Daenam-kuk and Dongbeon-kuk, are transforming to the ideal place tracing the main figures’ migration in there. The precedent studies have evaluated these two nations as the ideals; however, there exists prominent features between them when evaluated as Utopia. Therefore, focusing on this point, this thesis analyzes how these two nations are described in Jung-ssi Bokson-Rok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drawing the ideal natio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Chapter 2, the background and spatial migration path described in Jung-ssi Bokson-Rok are analyzed. Above all, it reflects modern geographic information to create a spatial setting. The main figures consolidate their positions interspacing between the existing, real space based on the system of geographic knowledge and the imaginative space beyond the real geography. In addition, this imaginative world is not formed in an uncivilized, undeveloped space, but created as the space of opportunity where the main figures are able to demonstrate their ability. They reach the throne and become the rulers, not a loyal servant of Lord, through war and exploration in this new space. In Chapter 3, the aspects and features of the ideal nations shaped in Jung-ssi Bokson-Rok are analyzed. It describes how Daenam-kuk establishes a national system by focusing on military power through training army and inventing new weapons, and at the same time by seeking for new knowledge; On the other hand, Dongbeon-kuk focuses on how Bunbongwang (分封王, landlords entitled by King to ruling local areas), mainly in the center of protagonist’s family, rules the nation. Jung-ssi Bokson-Rok presents how this relatively small-scale emerging country expands its influence through spatial development of the territory. Moreover, it suggests what properties Sage King must have and presents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nation, introducing extravagant life of the royal family. The analysis leads the result that Daenam-kuk is aiming as a western-technology-oriented nation through acquiring and utilizing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referred as seogi 西器, Western Frames); on the other hand, Dongbeon-kuk is pursuing eastern morality (referred as dongdo 東道, Eastern Ways), show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Confucian ideal nation. In Chapter 4, not onl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Jung-ssi Bokson-Rok through analyzing its spatial background but also the historical signification is examined to find out what roles it plays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ts theme analyzed upon the space is to form the Utopias of reconstruction with the so-kuk-gwa-min idea (Lao-tzu’s state model perusing small nation, small people as a Utopia), to show the changed concept of loyalty, and to embody eastern morality. Jung-ssi Bokson-Rok displays the harmonious reconstruction between in materialism and in philosophy in Dongbeon-kuk with the idea of so-kuk-gwa-min. Furthermore, Daenam-kuk is depicted as the place where the loyalty is changed along with the nation’s migration, while women-centered filial piety is emphasized in Dongbeon-kuk. Jung-ssi Bokson-Rok includes comparable elements with the other Hangul novels like heroic novels and family novels writte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hile it also shares the common issues of overcoming national crisis and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with other popular stories like Mongryu-rok-based novels (dream-sequence novels) or other historical biographies at the time of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It ultimately aims to form a Utopia, accentuating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in Daenam-kuk and eastern morality in Dongbeon-kuk. Thus, we can find out that the real Utopia in which embodied dongdo-seogi (東道西器, Eastern ways and Western Frames) is Dongbeon-kuk with an emphasis of dongdo, established based on Daenam-kuk’s western technology. The writer came to the result in realizing dongdo-seogi Utopia in Dongbeon-kuk to fulfill the demands of the time,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and empowering the will to protect national sovereign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