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전현선-
dc.creator전현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흥취(興趣)’를 중심으로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江湖歌辭)의 교육 내용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의 성격을 ‘흥취’라는 교육적 개념으로 재정의하고, 학습자의 ‘정서 함양’과 ‘문학사적 안목 신장’을 목표로 하는 교육 내용을 구안한다. 고전시가교육에서 ‘가사(歌辭)’는 ‘시조(時調)’와 함께 조선시대 시가문학의 중요한 두 축을 이루지만, 시조교육에 비해 가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마저도 단순한 교수·학습의 방법적인 측면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최근에는 단편적인 교수·학습 방법에서 나아가, 가사의 작품 속성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내용 연구가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양적으로 풍부하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본고는 가사의 내적 속성을 기반으로 한 교육 내용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는 가사문학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교과서의 가사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제재이다. 하지만 가사는 거의 대부분 ‘문학의 역사’를 가르치는 대목에서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제까지 거의 연구된 적 없는 강호가사의 정서를 ‘흥취’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이를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흥(興)’과 ‘흥취’라는 용어 중, 두 음절 용어인 ‘흥취’를 선호하는 국문시가 연구사의 흐름을 따르고, 『시경(詩經)』등의 고전 시학에서 흥취를 ‘표현방법’이자 ‘정서’로 제시한 연원을 새겨 흥취를 ‘정서’이자 ‘수사법’으로 보고자 한다. 흥취는 강호시가의 중요한 특질로 연구되어 왔지만, 강호시조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되었고 강호가사에서는 그 연구가 소략하다. 최근 강호가사에서 흥취를 논한 연구가 몇몇 등장했지만, 흥취를 흥겨운 정서로만 본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흥취를 ‘정서’이자 ‘수사법’이고 ‘갈등해소’의 심화된 양상을 보이는 정서로 규정하고자 한다. 더불어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라는 갈래가 필연적으로 선택하는 특징으로 ‘흥취’를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문학교육의 정서 관련 논의에서 ‘정서’에 대한 설명은 각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작품의 성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규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문학교육의 정서 관련 논의 중 대상으로 하는 작품에 따라 정서의 개념을 다르게 규정짓는 연구를 고찰하여, 각 연구에서 정서의 성격을 달리 보게 하는 작품의 요소를 도출해낸다. 결과적으로 대상 작품의 ‘갈래’, ‘작가’, ‘향유방식’, 세 가지 요소에 따라 각 연구에서 규정하는 작품의 정서 개념이 다르게 설명되어 있음을 밝히고, 이 세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흥취의 성격을 만들어 내는 양상을 설명한다. 강호가사의 정서이자 수사법으로 흥취의 성격을 밝히고 교육적으로 재정의 한 후에는,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 작품 속에서 흥취 양상을 자세히 밝힌다. 흥취는 용어의 자구적 의미 자체에 ‘고조되는 정서’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형식적 장치를 통해 흥취가 고조되는 양상과 내용적 장치를 통해 흥취가 ‘갈등 해소’의 심화된 정서 양상을 보임을 각각 밝힌다. 교육적 적용의 장에서는 ‘학습자의 정서’를 초점으로 한 교육내용과 ‘가사갈래의 정체성과 문학사적 안목 신장’에 초점을 둔 교육 내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학습자의 정서 함양을 위해서는 시적 자아가 작품 속에서 갈등을 해소하는 흥취의 작용양상을 ‘지식’ 차원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정서를 인지하고 내적 갈등을 해소하는 것을 ‘활동’ 차원으로 학습하는 두 가지 내용을 제안한다. 가사 갈래의 정체성 이해와 문학사적 안목 신장을 위해서는 조선전기 사대부가 포교 목적이었던 교술 성격의 가사를 자신들의 갈래로 정착시킨 내력을 살핀다. 더불어 강호가사의 발생 연원과, 조선후기로 갈수록 가사 갈래의 저변이 확대되는 양상을 고찰한다. 이러한 내용을 각각 ‘지식’과 ‘적용’ 측면으로 제시해, 가사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통시적 변화를 사적(史的)으로 조망해 문학사적 안목을 신장하는 내용으로 제안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Gang-Ho-Ga-Sa(江湖歌辭) of literati(士大夫) during the early Joseon(朝鮮) dynasty with a focus on “Heung-Chui(興趣)”.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defined the nature of Gang-Ho-Ga-Sa of literati during the period with the educational concept of “Heung-Chui” and devised educational content for the goals of “emotional cultivation” and “improvement of a discerning eye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on the part of learners. “Ga-sa(歌辭)” makes up one of two major axes in the poetic literature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along with “Si-jo(時調)” in the education of classical poetry, but there have not been active studies on Ga-sa education compared with Si-jo education.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few studies on Ga-sa education focused on simpl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cent years have witnessed studies on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ttributes of Ga-sa works beyond the conventional fragment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ut they are not yet rich in quantity. The present study thus set out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of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internal attributes of Ga-sa. The Gang-Ho-Ga-Sa works created by the literati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represent the heyday of Ga-sa literature and are most dealt with among the Ga-sa works in the textbooks. Most of Ga-sa works are, however, used to teach the “history of literature”, which was why the investigator decided to define and explain the sentiment of Gang-Ho-Ga-Sa, which had hardly been investigated, as “Heung-Chui”, and devise educational content with a focus on it. In the process, the study saw Heung-Chui as an “emotion” and “figure of speech”, following the flow of research history in Korean poetry that preferred the two-syllable term “Heung-Chui(興趣)” to “Heung(興)” and tracing the origin that proposed Heung-Chui as a “method of expression” and “emotion” in such classical poetry works as the Book of Odes. Although Heung-Chui has been investigated as one of the important qualities of Gang-Ho poetry, its research outcomes have been small in the area of Gang-Ho-Ga-Sa compared with the concentrated studies in the area of Gang-Ho-Si-Jo. There were some studies that discussed Heung-Chui in Gang-Ho-Ga-Sa in recent years, but most of them regarded Heung-Chui only as an exciting emotion. In the present study, it was defined as an “emotion”, “figure of speech”, and sentiment to show the intense patterns of conflict resolution and explained as a characteristic that was necessarily Joseon by the genre of Gang-Ho-Ga-Sa of literati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In discussions about emotions in literature education, explanations about “emotions” provide somewhat different definitions according to the nature of subjects of research. The present study thus examined studies that defined the concept of emo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subject among the ones that discussed the emotion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identified the elements of works that made each body of research consider the nature of emotions differently. It found that each body of research provided different explanations about the concept of emotions in the subject works according to three elements, namely “genre”, “author”, and “method of enjoyment” and explained the patterns in which the complex works of the three elements resulted in the nature of Heung-Chui, an emotion of Gang-Ho-Ga-sa. After figuring out the nature of Heung-Chui as an emotion and figure of speech in Gang-Ho-Ga-Sa and redefining it in educational terms, the study examined in depth the patterns of Heung-Chui in the works of Gang-Ho-Ga-Sa created by the literati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The term Heung-Chui itself has the meaning of “elevated emotion”, both inherently and literally. The study thus showed the patterns of Heung-Chui being elevated through rhetoric devices and presented it as an intensified emotional pattern of “conflict resolution” through content devices. The chapter on its educational application offered explanations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 with a focus on the “emotions of learners” and those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 with a focus on “identity of the Ga-sa genre and improvement of a discerning eye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study proposed two types of content to promote the emotional cultivation of learners including the one that understood the operating pattern of Heung-Chui, in which the poetic ego resolved conflicts in works, at the “knowledge” level and the other that studied the ego recognizing its own emotions and resolving its internal conflicts at the “activity” level. In an effort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identity of the Ga-Sa genre and a discerning eye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the gentry taking the Ga-Sa genre of didactic nature for propagation purposes and establishing it as their own genre during the former half of Joseon along with the origin of Gang-Ho-Ga-Sa and the pattern of expanding base of the Ga-Sa genre toward the latter half of Joseon. Based on them, the study proposed content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Ga-sa in the “knowledge” aspect and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a discerning eye for the history of literature by tracing diachronic changes to Ga-Sa historically in the “application” asp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5 1. 가사문학 교육 5 2.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 8 3. 고전시가의 흥취(興趣) 10 C.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12 Ⅱ. 강호가사에서 흥취 논의를 위한 이론적 전제 16 A. 흥취의 연원과 강호가사의 흥취 17 1. 흥취의 연원과 의미 18 2. 강호시가의 정서와 강호가사의 흥취 22 B. 흥취의 정서적 성격 규정 27 1. 문학교육의 정서 관련 논의 고찰 28 2. 강호가사 흥취의 정서적 성격 규정 34 C. 강호가사 교육에서 흥취의 재정의 40 1. 작품 이해와 감상의 구체적 매개 40 2. 정서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43 Ⅲ. 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의 흥취 양상 47 A. 연행과 장편화를 통한 흥취의 발생 47 1. 사대부의 갈등과 흥취의 필요성 48 2. 가사갈래의 형식과 발흥의 관계 51 B. 형식적 장치를 통한 흥취의 고조 54 1. 열거와 연쇄를 통한 흥취의 지속 56 2. 대구와 설의를 통한 흥취의 확장 60 C. 내용적 장치를 통한 흥취의 심화 64 1. 시적 자아의 행위를 통한 흥취의 강화 65 2. 고사(故事)를 통한 타당성 획득과 갈등해소 69 Ⅳ. 흥취를 중심으로 한 강호가사의 교육적 적용 75 A. 흥취의 작용과정 이해와 정서함양 76 1. 시적 자아의 흥취 작용과정 이해 77 2. 정서의 인지와 내적 갈등 해소를 통한 정서함양 84 B. 가사갈래의 정체성 이해와 문학사적 안목 신장 89 1. 가사의 형식미학과 갈래의 정체성 이해 90 2. 가사의 통시적 변화 과정의 사적(史的) 조망 94 Ⅴ. 결론 98 참고문헌 101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528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흥취(興趣)를 중심으로 한 강호가사(江湖歌辭)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선전기 사대부 강호가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ents of Gang-Ho-Ga-Sa education : With a focus on the Gang-Ho-Ga-Sa of literati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dc.creator.othernameJeon, Hyun Sun-
dc.format.pagev, 109 p.-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