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1 Download: 0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Title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정이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Recently,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However, in contrast to this popular opin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r well-being for Korean children is too low, comparing the children's of other countries. Out of all OECD countries, Korea has been rated one of the lowest in children.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ported th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Survey on Korean Children in 2015, life satisfaction level is 60.3 points on a 100-point scale out of OECD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Survey of Children’s Well-Being in 2015 accomplished by Save the Children and Social Welfare Institut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subjective well-being is too low. In terms of subjective self-being, Korean children got an average of 8.5 points for 8 year-olds, 8.2 points for 10 year-olds, and 7.4 points for 12 year-olds. This average is the lowest, when compared to all ages across 12 countries(an average 8.9 points for 8 ages, 8.7 points for 10 ages, 8.2 points for 12 ages). As a criteria of 10 year-olds, which are 5th grader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average of 9.3 points is for Rumania, an average of 9.3 points is for Turkey, an average of 9.2 points for Colombia. When put in order, Korean was the lowest out of all the countries. Nepal has an average of 8.6 points, Ethiopia an average of 8.6 points and South Africa has an average of 8.7 points, even though their economic developmental levels are lower than Korean's. Although subjective happiness for school children is too low like the above-mentioned, it was not until recently that the research for perceived happines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rted to be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on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s on the general variables that make up the well-being and happiness, rather than specific circumstances that belong to schools and home. Veenhoven (1994) postulated that the perceived happiness of individuals depends on the groups which he or she belongs to and the contextual situations. Consequently, in order to evaluate the perceived happiness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should observe and grasp the contextual variables and situations which occur simultaneously in their schools and families. What's more, the research which explores and confirm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is little. Overall, in this study, I tried exploring and confirm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much individu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s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analysed and verified what variables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I extracte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nstructed the conceptual model through analyzing various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conceptual model, I formulated preliminary questions from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final survey through two Delphi surveys and consultations within the panel of professionals. In the final survey,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1,155 students in 4th through 6th grades were selected to conduct this research. I verified the factor structure validity and measured the reliability. Finally, I made the questionnaires for the reseach in terms of variables influenci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surveys. I verified what person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are influenci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happiness through verification differenc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ake of analyz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examined the different levels of perceived happiness of subjected students influenced by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male students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female students. Negative emotions of male students is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female student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had direct correlation with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negative emotions were. However, grad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happiness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perceived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academic cognition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at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s of perceived happiness were. In terms of family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living with their father and mother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of a single-parent family.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living with a father and mother is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of a single-parent family. Subjective economic level had a direct correlation with the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higher their level of the perceived happiness were, and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were. Subjective economic leve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ir conditions were, the lower their level of negative emotions were.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education level is more than graduating from university is higher than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is high school or high school dropout.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education level is higher than graduating from university are lower than negative emotions of the students with fathers and mothers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is high school or highschool dropout. In terms of fathers' occupations, the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the administrative position or more specialized position manifested higher level of perceived happiness than children whose fathers were office workers. In terms of school variable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youth programs and take leadership role have higher tendency of perceived happiness, life satisfaction level and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various youth programs and take leadership role have a lower tendency for negative emotion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after-school programs have a higher tendency for perceived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actively in after-school programs have lower tendencies for negative emotions. Secondly, I di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o examine how individu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 the perceived happiness of these students.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overall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51.1%.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9%.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3.1%.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re interpersonal tendencies(=.16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elf-esteem(=.152)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Relationships with parents(=.127), subjective health status(=.126), thanks tendency(=.111), optimism(=.082), extra-curricular activities(=.067), neglect discipline of teachers(=.153) and gender(=.063)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related stress(=-.12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Parents' expectations(=-.118)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and grade(=-.089), academic-related stress(=-.086) and teachers-related stress(=-.077) are following in that orde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5.2%.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2.6%.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1.2%.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tendencies(=.188)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ubjective health status(=.135) are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Self-esteem(=.128), relationships with parents (=.123), thanks tendency(=.123), family leisure satisfaction level(=.080), gender(=.072), subjective academic cognition(=.066)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092)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eachers-related stress(=-.076)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ith family-related stress(=-.065) being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2.4%.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5%.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1.4%.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ionships with parents(=.204)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terpersonal tendencies(=.168)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Self-esteem(=.144), thanks tendency(=.120), leisure satisfaction level(=.093), extra-curricular(=.083), subjective health status(=.066) and optimism(=.078)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expectation(=-.071)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amily-related stress(=-.094)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Private education-related stress(=-.071) and alienation from friend-related stress are following in that order. The percentage of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21.6%. The percentage of family variables in terms of negative e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 The percentage of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3.3%. The total percentage of explanatio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in terms of posi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0%. In terms of the relative posi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lower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107)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Subjective health status(=-.090)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Optimism(=-.085), neglect discipline of teachers(=-.079), supportive discipline of teachers(=-.068) and gender(=-.068) are following in that order. In terms of the relative negative correlation of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negativ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131) has been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Family-related stress(=.126) i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and academic-related stress(=.091) is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licies are proposed: 1. Th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approach is needed for strengthening the individual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variety of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strengthen the individual variables like interpersonal tendencies, self-esteem, etc. 2.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 family bonding and appropriate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terms of how to make good relationships with one's children are needed, in addition to programs highlighting how to decrease family-related stress. 3. We need the approach and view points for decreasing study-related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al events when making annual educational plans in schools. 4. We should run prevention programs for ha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encountering alienation and threats from their friends. 5. Institution of extra-curriculum activities to increase the perceived happi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xample after-school programs, sports activities and arts activities, are necessary. 6. Active support policies to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low-income children are needed. 7.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pport for enhancing subjective health level is necessary. 8. The educational approach to prevent the happiness from decreasing depending on the grade is required. 9. In order to improve the happines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ers' disciplining ways are important. Overall, I explored and confirmed the person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and school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Out of all OECD countries, Korea has been rated as one of the lowes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bjectively rated happiness for past 6 years. What's more, the importance in terms of the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highlighted. All in all,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happi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be used in a variety of effective ways when we make the educa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plan in schools.;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최근 한국의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주관적 행복감, 삶의 만족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4년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로 보고되었다. 보건복지부가 2013년 한국 아동종합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0.3점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났다. 2015년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의 아동의 행복감 국제 비교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 어린이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12개국의 전 연령대랑 비교했을 때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은 매우 낮은 상태임에도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서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총체적으로 탐색하고 확인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Veenhoven(1994)은 개인이 지각하는 행복이란 각자가 속한 집단과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행복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초등학생들이 속한 학교와 가정 등에서 일어나는 맥락적 변인 및 상황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초등학교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초등학생의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위의 연구목적에 입각하여 연구문제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구인화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여 2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내용타당도 검증 등)와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본조사를 위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본조사에서 서울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1,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이 이루어졌으며, 이중 1,115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변인분석을 통해 변인구조를 타당화하고, 신뢰도 분석을 하여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차이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이 무엇인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차이검증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행복감을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성별에 따라 인식하는 행복감에는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에서 상(上)인 집단과 중(中)인 집단, 하(下)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정서는 부모가 있는 가정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의 아동보다 높고, 부정 정서는 부모가 있는 가정의 아동이 한부모 가정의 아동보다 낮았다.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 정서는 높아지고, 부정 정서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초등학생의 집단이 아버지 교육수준이 중고등학교 중퇴 및 졸업인 초등학생의 집단 보다 행복감, 삶의 만족, 긍정 정서가 높고, 부정 정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청소년단체활동 경험과 임원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이 청소년단체활동 경험과 임원경험이 없는 아동보다 인식하는 행복감과 삶의 만족, 긍정정서가 더 높고 부정 정서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수가 3개 이상인 초등학생 집단이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 수가 2개인 초등학생 집단 간보다 인식하는 행복감과 삶의 만족이 더 높고,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이 참여하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수가 3개 이상인 초등학생 집단이 방과후학교 참여 프로그램 수가 1개인 초등학생 집단 보다 부정 정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년이 높아질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과 긍정 정서가 낮아지고 부정 정서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성적인지가 높아질수록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51.1%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4.9%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은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의 변량을 3.1%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대인관계성향(=.162)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자아존중감(=.152)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부모관계(=.127), 주관적 건강상태(=.126), 감사성향(=.111), 낙관성(=.082), 교과외활동(=.067), 교사의 방임적 훈육(=.153), 성별(=.063)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가족관련 스트레스(=-.122)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다음은 부모의 기대(=-.118)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학년(=-.089), 학업관련 스트레스(=-.086), 교사관련 스트레스(=-.077)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45.2%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2.6%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은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의 변량을 1.2%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대인관계성향(=.188)이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주관적 건강상태(=.135)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128), 부모관계(=.123), 감사성향(=.113), 가족여가만족도(=.080), 성별(=.072), 주관적 성적인지(=.066)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학업적 성취동기(=-.092)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교사관련 스트레스(=-.076)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가족관련 스트레스(=-.065)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42.4%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4.5%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는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의 변량을 1.4%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관계(=.204)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대인관계성향(=.168)이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자아존중감(=.144), 감사성향(=.120), 여가만족도(=.093), 교과외활동(=.083)과 주관적 건강상태(=.083), 낙관성(=.078)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부모의 기대(=-.071)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족관련 스트레스(=-.094)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과외관련 스트레스(=-.071)와 소외감관련 친구스트레스(=-.071)가 초등학생의 긍정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들의 회귀모형 1은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21.6% 설명하고 있다. 모형 2는 모형 1에서 가정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1에 비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3.3% 더 설명하고 있다. 모형 3는 모형 2에서 학교 변인들을 추가로 회귀시킨 것으로, 모형 2에 비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의 변량을 4.0% 더 설명하고 있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낮출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자아존중감(=-.107)이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다음은 주관적 건강상태(=-.090)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다. 그 다음으로 낙관성(=-.085) 교사의 방임적 훈육(=-.079), 교사의 지원적 훈육(=-.068), 성별(=-.068)의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높이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평가하면, 학년(=.131)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족관련 스트레스(=.126)가 두 번째로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수이며, 세 번째로 학업관련 스트레스(=.091)가 초등학생의 부정 정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개인 변인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적, 행정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대인관계성향, 자아존중감 등과 같은 개인 심리적 변인을 강화시키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가정과의 연계지도와 학부모교육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자녀와 좋은 관계를 만드는 방법, 가족 내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등에 대한 학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교육 계획과 교육관련 행사 추진 시 초등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친구관계에서 소외감과 위협의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교육적으로 배려하고 예방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과외활동 즉, 방과후학교 교육활동, 스포츠 활동, 예술체험활동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저소득층 아동의 행복감 향상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주관적 건강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통해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을 높여야 한다. 여덟째,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행복감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는 학교 교육에서의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아홉째, 초등학생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사의 학급 운영방법과 훈육방식에 대한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대해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에 대해 총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한국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행복감이 다른 국가 아동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것으로 수년간 보고되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관한 연구 결과가 교육정책 수립 및 일반 학교에서의 교육 계획 수립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