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고등학생의 징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Title
고등학생의 징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Other Titles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Affecting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of Highschool students
Authors
최훈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징계경험에 관한 국내 연구는 징계의 범위와 절차, 특성 및 타당성이 연구자들의 주 관심사였다. 대부분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징계경험에 대한 양적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는 징계를 받은 학생 수가 전체 학생 수에 비해 매우 적고, 징계경험 관련 자료 자체가 민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인 이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징계경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의 선행연구와 함께, 징계경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청소년 비행 연구를 탐색해 징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조사하려 한다. 특히 개인 및 가정수준의 요인보다는 학교수준의 요인에 주목해, 정책적으로 처치 가능한 변수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2013년 기준으로 약 28만 명의 청소년이 학교 밖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윤철경 외, 2013). 이 중 2013학년도에만 학교규칙이나 징계로 인해 1,694명, 전체 고등학생 수의 0.09%가 중도탈락한 것으로 집계됐다(한국교육개발원, 2014). 징계로 인해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은 비행과 범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대검찰청의 통계에 따르면 2013년 소년범죄자 중 재범자는 전체의 51.4%로 2012년도 대비 9.8% 급증한 수치이며,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대검찰청, 2014). 가치관의 혼란을 느끼는 청소년 시기에 한번쯤 일탈을 경험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문제행동이 누적적으로 지속되면 익숙해진 비행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비행을 지속하는 학생 대부분은 개인적 기질보다는 가정배경이나 사회환경의 문제 때문에 위험에 처한 학생이다. 이들이 학교에서 중도탈락하지 않고 비행에서 벗어나 사회에 적응하게 하는 문제는 개인수준보다는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인 동시에 국가의 교육적 책무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는 청소년의 학업중단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새로운 내용과 적합한 방법의 교육서비스를 위기청소년에게 제공해야 한다(정제영 외, 2013). 고등학생의 징계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변수의 특성과 징계경험의 현황 및 배경변인에 따른 징계경험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T-검증을 사용했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비행 관련 요인이 학생의 징계경험 유무에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징계경험이 있는 학생의 징계경험 증감에 영향을 끼친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했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KELS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이며, 고등학생 시기에 해당하는 4차(2008)‧5차(2009) 자료를 주로 활용했다. 각 고교유형에 따라 학생 특성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므로 연구대상을 분류해 분석하는 것이 회귀식 도출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연구집단을 고등학생 전체, 일반고 학생, 특성화고 학생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했으며,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을 사용했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 2,814명 중 고1·2때 한번이라도 징계를 경험한 학생은 200명이며, 이 중 일반고 학생은 131명, 특성화고 학생은 69명이었다. 2개 학년 모두 징계를 경험한 학생은 33명으로 전체의 1.2%였는데, 이 중 일반고 학생은 19명, 특성화고 학생은 14명이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징계경험 횟수의 차이는 성별과 고교유형에서만 유의미했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징계경험이 있는 학생에게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개인수준변인과 학교수준변인이었다. 개인수준변인 중 세 집단 모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높을수록 징계경험 확률이 낮았다. 각 집단별로는 전체 고등학생집단은 국영수 자기주도학습시간이 보호요인이었으며, 일반고 집단은 학생의 주도적인 특성이 위험요인이었다. 또 학교수준변인에서는 규칙에 대한 부적응이 전체고와 일반고 집단의 위험요인이었으며, 일반고 집단에서는 교사와의 친밀도 및 학교교육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특성화고 집단에서는 좋은 학교 수업분위기가 보호요인이었다. 셋째, 징계경험이 있는 고등학생의 징계경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징계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모두 학교유형에 관계없이 개인수준변인 중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징계경험을 감소시켰다. 개인수준변인을 연구집단별로 살펴보면 징계경험이 있는 일반고 학생에게는 주도적 특성이 위험요인으로, 징계경험이 있는 특성화고 학생에게는 취업에 대한 내적동기가 보호요인으로 작용했다. 가정요인은 일반고 집단에서 아버지 학력이 위험요인으로, 높은 가구 월평균소득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했다. 학교수준변인은 일반고 집단에서 교사의 열정적인 분위기, 학교교육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보호요인으로 작용했으며, 특성화고 집단에서는 교내규칙이 모든 학생에게 공정하게 적용된다고 인식할수록 징계경험이 감소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징계경험이 있는 학생에게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길러주기 위한 정책을 확충해야 한다. 징계경험이 있는 일반고와 특성화고 학생 모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형성되어 있을수록 징계경험이 감소했다. 일반고는 교육과정 초점이 대학입시에 있으므로, 징계를 경험한 학생들이 학교교육에 잘 적응하도록 기초학습지원을 늘림과 동시에 기존 자기주도학습 교육시스템을 학생 수준에 맞게 세분화해 적용하고, 자기주도학습 교육을 받은 학생에 대한 사후 관리를 강화해 지속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 또 자기주도학습 지도에 대한 교사나 학교의 평가비율을 높여 책무성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고교유형별로 징계경험 학생에 대한 교육적 처방 및 제도적 뒷받침을 달리 해야 한다. 일반고 징계경험 학생의 학교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기초학력수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 성적향상을 돕고 교사와 징계경험 학생간의 상호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징계경험 학생의 학교적응을 도와야 한다. 또 교사가 학생의 탈비행을 이끌었던 사례를 타 학교 및 교사에게 알려, 각 사정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 특성화고의 경우 규칙제정의 합리적 절차를 강화하고 학생이 규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게, 학교와 학생 간의 다양한 채널을 통한 지속적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또 징계경험 학생이 본인의 징계처분을 납득할 수 있도록 이해과정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취업에 대한 동기가 강할수록 징계경험이 감소했으므로, 학교 성적이 취업과 긴밀히 연결되는 점을 감안해 취업과 학교생활에 대한 동기부여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진로를 체계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거나 성적 향상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등이 시행되어야 한다. 미래 동기부여를 위해 현재의 행동을 지속할 경우와 중단할 경우 경험하게 될 결과물을 영상이나 기관방문, 또는 대안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보여줄 수도 있다. 또 현재 실행하고 있는 취업 지도 및 직업체험, 직업훈련 등의 내용‧방법을 새롭고 체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2008년도에 조사된 자료를 사용해 최근 고등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 또 KEDI가 설계한 조사문항을 활용해 연구자가 설정한 종속변수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했고 독립변수인 학생의 특성과 환경의 변화범위 역시 측정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연구에서는 징계경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보다 정확한 탐색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searched on factors affecting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of highschool students. Most of disciplinary punishment in school are associated with juvenile delinquency or maladjustment to the school rule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ciplinary punishments have high chances of school dropouts. And students who were dropped out of school because of disciplinary punishments are easily fall into serious juvenile delinquency or crime. So school and society must do their best for the desistance of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ciplinary punishment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or reorganize education policies for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ciplinary punishments. For analysis of this study, I set up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order to search factors influencing on the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of high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y. Especially, I focused on the school factors in order to suggest the education policy to decrease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of high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ciplinary punishments. The questions of the stud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what is the state of affairs of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and the differences in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based on background factors? Secondly,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whether students have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or not? Thirdly, What are the factors influencing on increasing or decreasing of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Based on the ques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utilizes KELS 2005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by the KEDI as the object of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re conducted by statistics program SPSS 18.0. I divided study groups into three groups of total highschool students,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for accurate analysis.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200 people of 2,814 respondents are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ciplinary punishment one more. 131 of them wer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69 of them were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33 people are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both 2 years and they were 1.2% of the total students. 19 of them were general highschool students and 14 of them wer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t was meaningful only in gender and type of school about the differences in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based upon background factors.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was the main factor that influenced on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disciplinary punishment one more regardless of the type of school. Students with high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re likely to lower the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In the total students group, the protective factor was self-directed learning time of the main subjects, and the risk factor was the maladjustment to school rules. In the group of general highschool students, the risk factors were student’s self-initiated characteristic and the maladjustment to school rules. The protective factors were familiarity to school teacher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In the group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the protective factor was good learning environment of school. Thir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about the factors which changed disciplinary punishments of high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ciplinary punishme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school, high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reduced the disciplinary punishments experiences. In the group of general highschool students, the risk factors were student’s self-initiated characteristic and father's education. Also, The protective factors were higher household income, enthusiastic attitude of teacher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education. In the group of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the protective factors were the necessity of school education to look for jobs and the fairness of school rules. Suggestions f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an attitude for self-directed learning to all highschool students. Second, for the desistance, educational policies concerned with disciplinary punishment experiences should be planned differently based on school typ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