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3 Download: 0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 이러닝품질,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itle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 이러닝품질, 학습접근방식,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e-Learning quality, approaches to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courses
Authors
조은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s developing with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using various media are being tried and proliferating. Especially, e-learning is changing and spreading with new issues such as massive open online courses or digital textbooks in overseas famous universities. The fields introducing e-learning are gradually expanding to cyber-universities, corporate education and even to the public education and public sectors. However, with the expansion of e-learning, the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have been raised onstantly. The satisfaction of e-learning users is lower than that of the offline education users, and the problems regarding the substantial effectiveness are not easily resolved.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of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The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has merits of giving cost effective cultural benefits by providing arts and cultural learning opportunities to more extensive targets, as well as enabling realistic education learning various type of arts and cultural contents in cyber world beyond the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However, despite the necessity and the future expandability of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the scope of currently offering e-learning is restricted and the effectiveness is not yet verified. It is necessary to make designing strategies and managing methods for the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to raise the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 of the students. Until now, as a part of resolving the problems in e-learning,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ainly researched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e-learning program. From now on, the broader variety of researches are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xplain mainly the e-learning experiences. Among them, approaches to learning are the important concepts in research for e-learning experience. The approaches to learning such as a deep approach and a surface approach have considerable relation with cognitive features such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r motivation of students, and they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learning outcomes such as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hus, the approaches to learning play an important role to decide the target consciousness for contents and the strategic methods in the process focusing on the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ener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 factors, teaching context factors, and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s products, focusing on the approaches to learning as variables adopted by astudent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ask value classified as student factors and the e-learning quality classified as teaching context factors on the approaches to learning targeting the students who take the cyber lectures in arts and cultural area, and also to verify their influences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in the integrated structural model based on 3P Model theory of Bigg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above-mentioned purposes are as follows: 1. Do the task value and e-learning quality have effects on the deep approach? 2. Do the task value and e-learning quality have effects on the surface approach? 3. Do the deep approach and surface approach ha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4. Do the deep approach, surface approach and satisfaction ha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3P model, the task value is selected as student variables, the e-learning quality is selected as teaching context variables, the deep approach and surface approach are selected as process variables, and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selected as product variables. Then, the research model expla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are developed. With a measuring tool by each variabl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00 students enrolled in the cyber lectures as liberal arts in the arts and cultural department of C University in Korea. Excluding the students who did not complete their surveys, the remaining 111 cas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analysis for result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ing tool was verified and the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n, in order to examine the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tion validity of the measuring tool by using AMOS, the correspondence of measuring model was identified after the confirmative variable analysis. In addition, the correspondence of the structural model established by the hypothetic research model was identifi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verification results of correspondence. The findings and arguments regarding the research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the task value and e-learning quality on the deep approach, it is proved that both the task value and e-learning quality selected as individual student variables have effects on the deep approach. If a student recognizes the contents of e-learning lectures as valuable, the student adopts the deep approach by endeavoring to seek for the implication of the contents. Further, e-learning quality is also a variable which should be basically considered to enable the deep approach by making a studen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process.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in order to induce the deep approach, it is necessary to give meaning when designing the e-learning lecture for a student to think it important to acquire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the interesting task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a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strategy to highlight certain parts of the acquired contents useful for the relevant study or actual life. In addition, through the designing and managing plan raising the level of the e-learning system, contents and service quality,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students, the subject of learning, to adopt the deep approach, the approach to learning leading the study through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s, and to proceed their own comprehensive learning, not to give the students simple knowledge unilaterally. Second,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the task value and e-learning quality on the surface approach, it is proved that the e-learning quality has negative effects on the surface approach, but the task value has no meaningful effect on the surface approach. These results can be the ground to explain that the task value is a variable having closer relation with the deep approach than the surface approach.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in case of e-learning lectures not securing their quality, the students are doing the surface level of study only with interests in grade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learning by adopting the surface approach. Third,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the deep approach and surface approach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it is proved that the deep approach has effects on satisfaction, but the surface approach has no meaningful effect on the satisfa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deep approach is a variable to be considered importantly in order to raise the satisfaction, as it makes the students be affectively immersed in the learning process and feel the satisfaction.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ultimately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can be raised by reflecting within the process design the active strategy making the students adopt the deep approach. Forth,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the deep approach, surface approach and satisfac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t is proved that the deep approach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but the surface approach has negativ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has meaningful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academic achievement, it is important to make the student not adopt the surface approach, and to establish the learning design and managing strategy to raise the satisfaction. These arguments present the implications regarding the methods of designing and managing the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In order to draw the learning goals that the students intend to achieve through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the needs of the students should be analyzed in detail and reflected in the learning design.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merits of online lectures providing the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and to develop a demonstration model of arts and cultural e-learning applying the meri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stable system to enhance the e-learning students to lead their own arts and cultural experiences within the learning process. Thus, the cooperation among the arts and cultural contents experts, teachers and contents design experts is important, and the high quality e-learning contents should be secured through the partnership with public arts and cultural institutions and arts companies having various arts and cultural resources. Further, the learning support services helping the creative arts and cultural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s during the e-learning process should be provided for the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meanings through the deep approach and to promote their learning process. This results implicate that the foundation should be prepared to consider the strategies for designing and managing the arts and cultural e-learning raising the satisfaction for arts and cultural e-learning and enhancing the practical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pand the e-learning in arts and cultural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future researches, it may be necessary to reinspect the model by expanding the scope of samples to the students enrolled in arts and cultural e-learning lectures operated by various institutions, and by securing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Second, it is suggested to add and verify the variables such as the students' knowledge level or self-regulated learning capacity, etc. which are expected to have effects on the learning process and products in arts and cultural e-learning circumstances other than the task value. quality, and to design the contents providing situational context for the Third, in future researches, it is suggested that each of the variables such as the system quality, contents quality and service quality should be tre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e product variables and their relative influences should be verified. Finally, it would be meaningful in the future to secure sufficient number of sampling and execute group analysis bas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ay present a plan to raise the academic achievement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bout the approaches to learning or motivation and e-learning quality between a student group with low level academic achievement and a student group with high level academic achievement.;지식기반 사회의 도래와 정보기술의 발달은 교육환경과 방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시공간을 초월한 교육기회의 확대와 비용절감 등의 장점을 갖고 이러닝은 하나의 보편적인 교육 형태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닝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이러닝의 학습효과에 대한 문제도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갖고 전반적인 이러닝 질의 제고와 학습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다수의 연구들은 학습결과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학습자 특성 변인이나 교수맥락적 변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학습과정에 초점을 둔 연구는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반면 이러닝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과정을 이끌어나가는 학습자 중심적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학습과정 단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닝 학습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성과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학습과정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동기 변인과 기술적 시스템 콘텐츠, 상호작용 등의 이러닝 교수맥락 변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다양한 학습상황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체 학습활동을 전조(presage) 단계, 학습과정(process) 단계 및 학습결과(product) 단계별 관련 요소들 간의 상호관계 시스템으로 보는 Biggs의 3P 모형(2003)을 기반으로, 사이버강좌를 수강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요인에 해당하는 과제가치와 교수맥락 요인인 이러닝품질이 학습접근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학습접근방식이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 구조모형 속에서 검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와 같은 변인들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분야의 이러닝에 적용시켜 실증적 연구를 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문화예술 분야 이러닝의 설계와 운영에 있어 참조할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와 이러닝품질이 심층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사이버강좌에서 과제가치와 이러닝품질이 피상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사이버강좌에서 심층학습접근방식과 피상학습접근방식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사이버강좌에서 심층학습접근방식, 피상학습접근방식 및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 C대학에서 문화예술 분야 교양과목으로 운영되는 사이버강좌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11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먼저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고,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AMOS를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측정모형의 부합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설적 연구모형을 통해 설정된 구조모형의 부합도를 확인하고 부합도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가치와 이러닝품질이 심층학습접근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 개인 변인으로 설정한 과제가치와 이러닝품질 모두 심층학습접근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가치와 이러닝품질이 피상학습접근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이러닝품질은 피상학습접근방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과제가치는 피상학습접근방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가 강좌의 내용을 스스로 가치 있다고 인식할 때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내용이 함의를 찾아내려고 노력하는 심층적 학습방식을 채택하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심층학습접근방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러닝 강좌 설계 시 학습자가 학습내용의 습득을 중요하게 생각할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과제와 학습보조 자료들을 제시하며, 습득하는 학습내용이 관련된 학업이나 실생활과 관련하여 어떤 유용한 부분이 있는지에 대해서 부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문화예술 분야의 이러닝의 학습에 있어 학습자들이 어떠한 내재적 가치, 유용성, 흥미요소를 가지는지를 면밀한 학습자 요구조사를 통해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교육모형 개발이 가능한 이러닝의 장점을 활용하여 상황적 흥미를 부가시킬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학습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이러닝품질 역시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학습과정에 관여함으로써 심층적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품질, 콘텐츠품질 및 서비스품질을 제고하는 각각의 설계 방안이 필요함을 반영한다. 특히 문화예술 콘텐츠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환경 설계와 지식을 공유하고 창출해갈 수 있는 학습활동 중심 콘텐츠 설계 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다. 문화예술 이러닝의 학습활동 설계에 창작과 감상 경험을 학습활동에 적절히 구성해줌으로써 문화예술 이러닝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풍부한 문화예술 정보 자원의 제공, 학습자가 학습과제수행을 포함한 학습활동과정을 잘 나타내도록 도와주는 시각화 표현 도구, 학습자의 현재 학습상황을 보여주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컨셉맵(concept map)과 같은 학습전략 정보 도구나 정보수집 도구 등을 제공해야 한다. 이와 함께 서비스품질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학습관리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심층학습접근방식과 피상학습접근방식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본 연구에서 심층학습접근방식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피상학습접근방식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로써 심층학습접근방식은 학습자가 학습과정에 정의적으로 몰입하도록 함으로써 만족도를 느끼게 하는 학습접근방식이므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내재적 흥미에 초점을 둔 학습활동 설계와 학습지원이 요구된다. 미적 경험과 문화적 이해력의 습득이 주된 학습목표가 되는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감성적이고 정서적 측면의 학습경험을 강조하는 설계 전략이 요구된다. 그러기 위해 이러닝 과정에서 문화예술적 환경에 노출시키는 학습환경 설계가 중요하며, 다양한 층위의 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상정보 제공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러닝 상에서 학습자가 인지적, 정의적, 감성적 경험을 하도록 지원하는 학습도구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닝의 발달로 인해 기술적으로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지원하는 인지적 도구, 멀티미디어 학습자료, 상호작용 지원도구 등 이러닝 상의 학습과정을 지원해줄 수 있는 방식이 다양해진 만큼 문화예술 이러닝에 있어 심층적 학습을 유도할 전략과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심층학습접근방식, 피상학습접근방식 및 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심층학습접근방식은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피상학습접근방식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는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피상학습접근방식을 채택하지 않도록 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학습설계 및 운영전략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의 이러닝은 문화예술 분야의 특성상 지적, 정의적, 실천적 영역의 속성을 포함하는 총체적 미적 경험을 교육활동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므로, 이러닝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라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및 실천적 영역 중 어떤 교육경험을 강조하는지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개념과 평가기준을 차별화하고, 학습자가 학습과정 안에서 이러한 복합적 경험들을 능동적으로 경험하고 주체적으로 받아들여서 학습자가 스스로 자기의미화 하였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사회적 측면을 포함한 문화예술적 경험의 특성에 맞는 평가기준과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와 측정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하겠다. 요컨대, 문화예술 분야의 이러닝에 있어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러닝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 이러닝 강좌 수강생으로 표본의 범위를 확대하고 충분한 표본 수를 확보하여 모형을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제가치 이외에도 문화예술 분야의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이나 자기조절학습능력, 문화예술 분야의 학습자 특성 등의 변인을 모형에 추가하여 검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후속 연구에서는 시스템품질, 콘텐츠품질과 서비스품질각각의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처리하여 학습접근방식 및 학습결과 변인과의 인과관계 및 그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3P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모형의 경우, 사전 단계 요인에 대한 설문은 강좌가 시작되는 시점에, 학습과정 단계 요인은 강좌가 진행되는 기간에, 그리고 학습결과 단계 요인은 강좌가 종료되는 시점에 진행함으로써, 학습단계별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실제 단계별 설문조사를 통해 보다 정교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차후 충분한 표집 수를 확보하여 학업성취도에 따른 집단 분석을 실시하는 것도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학업성취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은 학업성취도 하위집단 학습자들이 상위집단 학습자들 사이에 학습접근방식이나 동기 및 이러닝품질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차후 문화예술 분야에서 효과적인 이러닝 프로그램의 설계전략과 운영방식을 도출하는 데에 실증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