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7 Download: 0

공과대학 교수자의 교수학습에 관한 인식과 공학 교수지향 및 교수전략 탐색

Title
공과대학 교수자의 교수학습에 관한 인식과 공학 교수지향 및 교수전략 탐색
Other Titles
Exploration on Engineering Professors’Perception of Teaching-Learning and Teaching Orient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Authors
장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경희

이현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explored engineering professors’perception of teaching-learning and teaching orient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driven: (1) How do engineering professors are recognized for teaching-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2) What are the teaching orientation and the strategy of engineering professors appearing in the engineering class? (3) What are the implications that teaching orientation to engineering is giving engineering education? To answer the questions,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using mixed metho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teaching-learning on engineering education, 215 engineering professors were selected to serve as objects of quantitative approach(survey method). For exploring teaching orientation and teaching strategy, 6 engineering professor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teaching-learning on engineering education were selected as objects of case study method which was qualitative approach(case study).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at first engineering professors’perception of teaching-learning influence the overall teaching. Engineering professors perceived tha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is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lso they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they had frequently utilized it in their classroom. Seconds, the teaching activity and the importance for/of the executive abilities, i.e., creative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design ability, field application ability were different depend on the department. Based on this, the teaching activity of engineering college department is insufficient although engineering professors considered that four executive abilities were important. Third, the core teaching orientations in engineering education could be divided into four, i.e., engineering expert knowledge, engineering practice, social practice, and convergence design. Each Engineering professors had the different core teaching orientations. Some of them had the several of the core teaching orientations which were overlapped each other. Fourth, teaching orientations were influenced teaching strategies depend on the context of the department. Understanding the teaching orientation of engineering professors gave the implications that enabled to a discussion on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education. Engineering teaching orientation affects the teaching -learning preparation and the teaching competency. Therefore the engineering professors identify their own teaching orientation and endeavor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educational practice in their class. For this, the university needs to provide the opportunities for sharing teaching experiences and teaching strategies among the engineering professors.;교수자는 수업의 효과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공학교육에 대한 보다 발전된 논의가 가능하려면 공학 교수자의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교수지향과 교수전략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학을 가르치는 교육목표에 대한 신념인 공학 교수지향은 교수학습의 맥락에 따라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의사결정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학교육에서의 교수학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학 교수자가 가지고 있는 교수지향은 무엇이며, 이러한 교수지향이 수업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함께 분석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학 교수자가 공과대학 학생들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법과 교수활동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 공학 교수자의 교수지향은 무엇이며 어떠한 교수전략을 사용하는지, 공학 교수자의 교수지향이 갖는 교육적 시사점과 교수지향과 교수전략 간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2013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학 교수자의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215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양적 접근 방식인 설문조사를 사용하였으며, 공학교육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하고 공학 교수법에 대한 연구실적을 갖고 있는 공학 교수자 6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교수지향과 교수전략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질적 접근 방식인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공학 교수자의 교수법에 대한 인식은 교수활동 전반에 영향을 준다. 공학 교수자들은 공학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들에 대한 인식이 높고 실제로도 수업에서 자주 활용하고 있었다. 이것은 6명의 공과대학 교수자의 교수전략에서도 일부 드러나고 있었다. 교수자들은 실험 및 실습 등 학습자 경험중심의 학습방법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높이고 학습자의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며, 실질적이고 현장 친화적인 맥락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둘째, 공학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공과대학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네 가지 실행 능력에 관한 중요도와 이를 위한 교수활동은 학과에 따라 차이가 있다. 공과대학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공학의 실행 능력에 관한 중요도와 교수활동의 수준 및 이들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과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학교육에 있어 중요한 실행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이를 위한 교수활동의 실천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학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공학교육에서의 핵심 교수지향은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공학 교수자들은 여러 개의 교수지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공학 전문지식, 공학적 실천, 사회적 실천, 융합 디자인 등 네 가지의 핵심 교수지향을 도출하였다. 6명의 공학 교수자를 살펴본 결과 1-3개의 교수지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고, 중복되는 핵심 교수지향을 가지고 있는 교수자도 확인되었다. 넷째, 공학 교수지향은 학과의 맥락에 따라 다르며, 교수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공학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교수지향과 교수전략의 관계 이해 측면에서 살펴 본 결과, 기계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의 학과 특성에 따라서 해당 학과 소속 교수자들의 교수지향은 상이하게 드러났다. 그리고 교수자들은 교수지향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인의 수업에 적절한 교수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학과의 특성에 따라 교수지향이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교수자의 교수지향은 교수전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공학 교수자의 교수지향을 파악하는 것은 공학교육의 목표와 특성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공학 교수지향은 교수자가 교수학습을 위한 준비 및 교수역량 강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공학 교수자들은 본인의 교수지향을 파악하고 이를 다양한 교육실천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에서는 교수자들 간에 성공적인 교수학습 사례 및 시행착오 경험 등을 공유하는 장을 정기적으로 마련하여 유용한 정보가 교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