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7 Download: 0

갑을논란 보도의 공정성과 심층성에 관한 연구

Title
갑을논란 보도의 공정성과 심층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fairness and depth of the Gab-Eul argument report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of crisis responsibilities in the organizations
Authors
유진솔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언론홍보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희원
Abstract
언론이 사회적 갈등사안을 어떠한 시각으로 조명하여 보도하느냐에 따라 수용자가 받아들이는 사안에 대한 의미는 전혀 다를 수 있다. 언론이 갈등적 사안을 특정한 성격으로 규정하여 보도하는 것은 사안에 대한 수용자의 이해를 보다 쉽게 도울 수도 있지만 그것이 적절치 못할 경우, 수용자에게 편협한 시각과 왜곡된 인식을 심어, 불필요한 사회의 혼란과 분노를 일으키고, 또 그것을 더욱 부추기는 매우 위험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 현재 이러한 위험성과 우려를 가장 크게 반영하고 있는 보도유형은‘갑을논란’보도이다. 무분별한 도덕적 판단으로 인한 편향성과, 표면적 사건 스케치에 치중하는 표층성을 내포한 보도양상은 우리사회의‘갑을관계’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불만, 분노를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갑을논란 보도의 전반적인 공정성과 심층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으로는 지상파 방송사인 KBS, MBC, SBS에서 보도된 갑을논란 뉴스 중 사회적 지배층에 속하는‘조직’관련 기사로 한정하였으며, 조직의 위기 책임성을 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보도의 공정성과 심층성에 변화와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공정성 분석결과, 방송3사 모두 대체적으로 조직과 피해자 정보원 중심의 활용양상, 그 중에서도 피해자 정보원에 대한 높은 비중과 조직에 대한 뚜렷한 부정성이 공통적으로 도출됨에 따라 공정하다고도 판단할 수 없었다. 특히 정보원의 다양성에 있어 사건의 직접이해관계자들인 조직과 피해자로만 이루어진 기사가 높게 나타나 갑을논란 보도에 두 주체 간 대립적 구도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균형성면에서도 대부분의 기사가 피해자 정보원과 그 발언에 비중을 두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지나치게 피해자 정보원 중심, 사건 직접이해관계자 중심의 활용을 보인 KBS 보도의 공정성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고, MBC와 SBS의 공정성이 비슷한 비율로 측정되었다. 또한 대다수의 항목이 위기 책임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방송사 별 각기 다른 성향대로의 특징적인 결과들이 나타나 책임성 정도에 따른 보도의 특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성 측면에서 갑을논란의 보도양상은 현상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표층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KBS, MBC, SBS 방송사에서 보도된 갑을논란 뉴스는 단순한 사건설명과 전달위주의 보도방식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건에 대한 과정설명에 치중하여 원인과 결과를 통합적으로 기술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기사의 수가 극히 적게 나타났다.따라서 이러한 보도의 단순성, 정보원 주체의 비투명성, 원인분석과 대안 없이 사실관계 기술에 집중하는 보도양상으로 인해 갑을논란 보도의 전반적인 심층성은 낮게 평가된다. 또한 심층성 평가항목들은 위기 책임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부분의 항목에서 비슷한 빈도를 나타내 이러한 결과를 뒷받침 한다. 갑을논란 보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책임귀인은 뚜렷한 조직 부정성과 함께 보도 전반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KBS, MBC, SBS의 갑을논란 보도 대부분 사건을 포괄적 배경에서 바라보기보다 단발적인 이슈로 취급하여 갑의 부정행위를 고발하고 비난하는 성격과, 갑과 을 간의 대립적 구도를 설정하여 갑을관계 간 갈등성을 부각시키고, 조직을 향한 의혹을 부추기는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러 차례의 책임귀인으로 심판자적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귀인을 행하는 책임 규정자로 앵커·기자의 빈도가 높게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방송사별, 책임성 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갑을논란보도의 성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갑을논란 보도의 공정성과 심층성은 낮게 측정되었으며, 뚜렷한 조직 부정적 책임귀인 성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각 분석항목 대부분이 조직의 위기 책임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방송3사 모두 책임성에 구분 없이 일관된 편향성, 표층성, 조직 부정성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가 제기한 문제제기에 상응하는 결과로 갑을논란 보도방식에 있어 태도변화가 시급함을 단적으로 보여준다.;The meaning of the controversial social issues can be varied significantly to the public recipients according to the ways how the media report them. The media report on the controversial issues framing as the specific viewpoints may help the people to understand them easily, however, if inappropriate, it can misguide the people into the narrow views and distorted understanding, causing unnecessary social unrest and anger, possibly very dangerous outcomes to worsen the issues more. ‘Gab-Eul argument’ report is the type of report to have the potential risks and concerns as mentioned above. ‘Gab-Eul argument’ reports, comprising the biases due to the personal ethical judgments of the journalists, and lack of depths more focusing on the superficial case-sketches only, lead the society to worsen the social conflicts, dissatisfactions, and angers from ‘Gab-Eul’ (master-slave) relationship in our society. Therefore, we evaluated the overall fairness and depth of Gab-Eul argument reports based on this critical mind. We limited the subjects with the reports in the major TV media including KBS, MBC, and SBS on the organizations of social ruling classes, and reviewed whether they showed the changes and differences on the fairness and depth of the reports, defining the variables with the crisis responsibility of the organization. First, we did not decide for the Gab-Eul argument reports of 3 major TV media to be fair from the results of fairness analysis, because they utilized mainly the organizations as well as the victim agents, and drew the dishonesty. Especially, in terms of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agents, they dealt only with the organizations and victims that were direct interest groups so that the Gab-Eul argument reports could show the confronting structures between them. Regarding the balance, most of them were victim agents-centric reports focusing more on their opinion. Among 3 media reports, the fairness of KBS reports, that showed excessively focusing on the victim agents and direct interest groups of the issues, was rated as the lowest, while that of MBC and SBS was similar.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re was some uniqueness of the reports by the level of responsibilities demonstrating independent report results by each media, which was not influenced by the crisis responsibilities. In view of report depth, superficiality was shown remarkably focusing on the phenomena only in the Gab-Eul argument reports. The Gab-Eul argument reports in KBS, MBC, and SBS were shown to explain and deliver the cases simply focusing on the processes of the cases, but the cases that describe the causes and effects collectively with the alternative suggestions, were very limited. Hence, due to the report styles of simplicity, non-transparency of the information agents, and fact description only without causal analysis and alternative suggestion, the overall depth of the Gab-Eul argument reports was rated low. In addition, the evaluation items on the depth were not shown to be affected by the crisis responsibilities. The responsibility attribution which is one of the remarkable features of the Gab-Eul argument reports was revealed in most of the reports with distinct organization dishonesty. KBS, MBC, and SBS did not treat most cases of Gab-Eul argument reports as comprehensive issues but as single-time issues, complaining and criticizing dishonesty of Gab, highlighting the conflicts between Gab and Eul based on the confronting setup, and revealing prominent tendency of suspicions toward the organization. Also, judge-like tendencies appeared as the responsibility attribution many times, and the anchors and journalists were deducted quite often as the responsible persons for the attribution. These outlook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media and the responsibility, representing overall tendency of the Gab-Eul argument reports. In conclusion, the fairness and depth of the Gab-Eul argument reports were rated overall low, showing remarkable negative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report attitude. Also, in most of analyzed items, the differences and changes of the repor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because they did not affect the crisis responsibilities of the organ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언론홍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