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1 Download: 0

흡입스테로이드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복합제 사용에서 폐렴 발생위험비교를 위한 코호트연구

Title
흡입스테로이드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복합제 사용에서 폐렴 발생위험비교를 위한 코호트연구
Other Titles
Risk of pneumonia associated with the use of ICS/LABA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Korea
Authors
박지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제약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승진
Abstract
여러 연구를 통해 흡입스테로이드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복합제의 폐렴 부작용 발생 위험에 대한 안전성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최근 스웨덴과 캐나다에서 흡입스테로이드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복합제의 성분 간 폐렴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비교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두 연구 모두 해당 국가의 등록자료 및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각 국가의 임상 현실에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흡입스테로이드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복합제의 성분간 폐렴 발생에 대한 비교연구가 수행되지 않아 국내 자료를 이용한 안전성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는 흡입스테로이드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의 복합제인 fluticasone/salmeterol 과 budesonide/formoterol 의 사용에 따른 폐렴 발생의 위험도를 후향적 코호트 구축을 통해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공개한 2013년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후향적 코호트를 구축하였다. 코호트는 흡입스테로이드제와 흡입지속성베타작용제 중 건조분말흡입기 형태의 fluticasone/salmeterol과 budesonide/formoterol 를 이전 1개월간 처방 받지 않았고, 2013년 2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적어도 1회 이상 처방 받은 성인 환자로 구성하였다. 각 군을 추적 관찰하여 폐렴(ICD-10 코드 중 J12-18)으로 인한 첫 번째 입원을 결과 변수로 정의하였다. 추적관찰기간 동안의 교란요인을 보정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통해 fluticasone/salmeterol과 budesonide/formoterol 의 폐렴 발생률과 폐렴 발생의 위험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최종 코호트에는 5,939 명이 포함되었으며, 이 중 fluticasone/salmeterol 군은 4,531명으로 약 76.3%를 차지하였고, budesonide/formoterol 군은 1,408명으로 전체의 약 23.7%를 차지하였다. 연구대상환자 중 폐렴 발생률은 fluticasone/salmeterol 군에서 100 인-년 당 8.50명이었으며, budesonide/formoterol 군에서 100 인-년당 5.14명으로 차이를 보였다. 교란요인을 보정한 budesonide/formoterol 에 대한 fluticasone/salmeterol의 최종 폐렴 발생 위험도는 1.48(95% 신뢰구간: 1.06-2.06)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luticasone/salmeterol이 budesonide/formoterol 에 비해 폐렴 발생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 결과는 우리나라의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약제 선택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 사용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표본자료의 특성상 연구의 제한점이 존재하며 더 장기간의 정밀한 약물역학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ere has been controversial on adverse event occurrence of pneumonia who are treated by fixed combina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long acting beta-2 agonist. Recently, the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pneumonia with two different ICS/LABA had been done in Sweden and Canada. Both studies had been conducted with the each countries’ own healthcare database and they have been used for the reference for clinical use of the medication. However, there is no study which investigate the pneumonia occurrence in ICS/LABA using patients with healthcare databas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isk of hospitalization by pneumonia between two different ICS/LABA substances.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using 2013 HIRA-NPS(National Patients Sample of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base. The cohort consisted of the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DPI(Dried Powder Inhaler) form of fluticasone/salmeterol and budesonide/formoterol at least once from Feb 2013 to Dec 2013 and who had no record of prescription of ICS/LABA one month prior to the index date. The patients who were enrolled to the cohort was observed until the first hospitalization due to pneumonia (J12-18 of ICD-10 code) occurrence. The incidence rate of pneumonia were estimated and crude and adjusted hazard ratio of pneumonia associated with ICS/LABA use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estimated by Cox regression model. The cohort included 5,939 patients of which 4,531 patients (76.3%) treated with fluticasone/salmeterol and 1,408 patients (23.7%) treated with budesonide/formoterol. The pneumonia incidence rate was higher with fluticasone/salmeterol which was 8.50 per 100 person-year while the pneumonia incidence rate of budesonide/formoterol was 5.14 per 100 person-year. Compared with budesonide/formoterol, the pneumonia risk was higher in patients treated with fluticasone/salmeterol(hazard ratio: 1.48, 95% CI: 1.06-2.06). The higher risk of pneumonia occurrence was observed for fluticasone/salmeterol which shows the intra-class difference of fixed combina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long acting beta-2 agoni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