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윤식-
dc.contributor.author명지윤-
dc.creator명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5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구강 상태, 객관적 저작기능 차이 및 시기별 인지기능과 저작기능 변화 양상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60세 이상 80세 이하 노인 99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하였다. 신경심리검사 후 신경과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정상군, 경도인지장애군,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군으로 나누었다. 저작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잔존 치아 수, 기능 치아 수, 치주 질환, 가철성 보철 상태(자연 치열, 부분의치, 총의치) 및 Eichner Index 분포 비율을 측정하였다. 객관적인 저작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Dental Prescale SystemⓇ을 이용하여 교합 접촉 면적, 최대 교합력, 평균 교합압 및 최대 교합압이 측정되었으며, T-Scan III SystemⓇ을 이용하여 전치부, 소구치부, 대구치부 위치별 상대적 교합력 분포 비율이 측정되었다. 1년 ± 2개월 후 2차 인지기능 및 저작기능 평가를 시행한 노인 26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자료를 측정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19.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인지기능에 따른 잔존 치아 수, 기능 치아 수, 치주 질환, 가철성 보철 상태, Eichner Index 분포 비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Chi-square test 실시 후 Fisher’s exact test 사후 검정 하였으며, p-value는 Bonferroni correction 하였다.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hi-square for trend test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에 따른 교합 접촉 면적, 최대 교합력, 평균 교합압 및 최대 교합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Kruskal-Wallis test 실시 후 Mann-Whitney U test 사후 검정을 하였으며, p-value는 Bonferroni correction 하였다. 또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P< 0.05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잔존 치아 수(number of remaining teeth) 20개 미만 보유 비율은 정상군과 알 츠하이머병 치매 환자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인지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잔존 치아 수 20개 미만 보유 분포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인지기능에 따른 기능 치아 수(number of functional teeth) 20개 이상 보유 분포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치주 질환의 심각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치조골 높이를 측정하였을 때 인지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치조골 흡수의 심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3. Eichner Index 각 카테고리 분포 비율은 정상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인지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교합 상실이 증가되는 B, C 카테고리의 분포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4. 상하악 치열의 가철성 보철 상태(자연 치열, 부분의치, 총의치) 분포 비율은 정상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5), 인지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상하악 치열의 부분의치, 총의치 장착 분포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4. 교합 접촉 면적과 최대 교합력은 정상군이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0.05). 평균 교합압과 최대 교합압은 인지기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2차 연구 대상자의 K-MMSE 점수 값과 교합 접촉 면적, 최대 교합력 간에는 양의 상관성이 있었으며(p<0.05), CDR-SOB 점수 값과 교합 접촉 면적, 최대 교합력 간에는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 인지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잔존 치아 수, 교합 접촉 면적, 최대 교합력은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Eichner Index 교합상실을 나타내는 B, C 카테고리와 부분 의치, 총의치 장착 분포 비율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K-MMSE 점수 값이 커질수록 교합 접촉 면적과 최대 교합력이 증가하였다. 반면 CDR-SOB 점수 값이 작을수록 교합 접촉 면적과 최대 교합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지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구강 상태 및 저작기능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masticatory function including associated dental status of the elderly population with different cognitive functions and to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masticatory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ing of the participants. The study consisted of ninety-nine elderly participants from the local area between the ages of sixty and eighty years old to conduc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MCI group, and AD group based on DSM-IV standards following the neuropsychological test. Different factors that affect masticatory function including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the number of functional teeth, the presence of periodontitis, the type of removable prosthesis (partial denture, complete denture), and the Eichner Index percentage distribution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masticatory function, the Dental Prescale SystemⓇ was used to measure the occlusal contact surface area, maximum occlusal pressure, the average occlusal pressure, and the maximal occlusal force. The relative percentage distribution were measured at anterior, premolar, and molar teeth using the T-Scan III SystemⓇ. The second clinical trial with the same method was conducted after 1yr +/- 2 months on 26 elderly popul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with SPSS 19.0 Windows program.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study the differences observed in various dental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remaining dentition, the number of functional dentition, the presence of periodontitis, the type of removable prosthesis, and the Eichner Index percentage distribution that represent masticatory function at different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The Fisher’s exact test was use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result and Chi-square was conducted to study the trend. The Kruskal-Wallis test was conducted to study the differences in masticatory function between the groups of different cognitive function. Then, Mann-Whitney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lidity the effect. The result showed 95%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was obtained by following; 1. A increases i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was observed in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those with less than 20 remaining teeth with reduction in cognitive function of participan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normal and the AD group (p<0.05). 2. A increases in the severe degree of alveolar bone loss with reduction in cognitive function of participants(p<0.05). 3. The percentage distribution of Eichner Index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percentage distribution with reduction of surfaces areas of occlus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chner Index percentage distribution between the normal and the AH group (p<0.05). 4.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latter type(complete denture) of removable prothesis with reduction in cognitive fun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and AH group (p<0.05). 5. The occlusal surface area and maximum occlusal force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AH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and the MCI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average occlusal pressure, and maximum occlusal pressure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6. According to the correlationobserved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 and masticatory function at T1, KMMSE score and the occlusal surface area and the maximum occlusal force at T1 showed moderate correlation (p<0.05) and CDR-SOB score and occlusal surface area and the maximum occlusal force at T1 showed slight correlation (p<0.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Ⅱ. 연구방법 4 A. 연구 대상 및 설계 4 B. 측정도구 및 방법 6 C. 통계 분석 12 Ⅲ. 연구 결과 14 A. 연구 대상자 14 B. 구강 상태 평가 18 C. 교합 접촉면적, 최대 교합력 및 교합압 평가 24 D. 위치별 상대적 교합력 분포 비율 평가 27 E. 저작기능 관련 설문 평가 29 F. 2차 인지기능 및 저작기능 평가 32 Ⅳ. 고 찰 41 V. 결 론 47 References 49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81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경도인지장애 환자와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구강 상태 및 저작기능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dental status and masticatory function between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and Alzheimers Disease patients-
dc.creator.othernameMyung, Ji Yun-
dc.format.pagex, 58 p.-
dc.contributor.examiner전윤식-
dc.contributor.examiner김민지-
dc.contributor.examiner정지향-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