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나영-
dc.contributor.author이효선-
dc.creator이효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1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188-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우리 복식 문화에 수용되었던 고무신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고무신은 고무 소재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초중반을 걸친 상당한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전(全)계층에 수용된 신발이다. 본래 고무제(製)신발은 개항 이후 서구에서 유입된 외래품의 한 품목이었다. 그러나 전통신의 형태를 기반으로 한 고무신의 조형적 특징과 선조들의 주체적 수용이 바탕이 되어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고무신 문화가 탄생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외래 고무제신발의 수용은 일제강점기 시기 일본을 통해 주로 이루어졌다. 특히 1918년 일본 고베(神戶) 지역에서 가황(加黃) 고무제신발 제조에 성공한 직후부터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일본 고무공장의 재고품을 소진하기 위해 들어온 양화(洋靴)형의 고무제신발은 점차 우리나라의 기호에 맞는 신으로 변화하게 된다. 최초의 한국의 고무신은 ‘고무경제화(經濟靴)’라고 명명되었다. 고무경제화는 1912년경 이성원(李盛園)이 창안한 개량신인 경제화(經濟靴)의 형태에 맞춰 통고무를 잘라 붙인 신발이다. 1920년대 초 남성용 고무신과 여성용 코고무신이 출현해 성별을 구분하기 시작했다. 남성용 고무신의 경우 앞축은 스트레이트 팁, 뒤축은 짚신의 뒷갱기를 형상화한 절충형 신이, 여성용 고무신은 당‧운혜를 모방한 코고무신이 정착되었다. 전통신의 형태를 계승한 고무신은 한민족의 복식 중 하나로 수용되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신는 대표적인 신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전통신은 가죽, 비단, 나무, 짚, 부들, 놋쇠 등 매우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제작되었다. 하지만 고무신이 출현하면서 마른신, 진신 모두가 고무신 한 켤레로 통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거의 모든 전통신이 점차 자취를 감추었고 전통신 제작자들은 각종 생활고에 시달렸다. 고무신은 도회지부터 산골두메까지 유입되지 않은 곳이 없었으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애용되었다. 그러나 고무신을 바라보는 시선은 제각기 달랐다. 경제적 여유가 있는 상류층은 고무가 가져오는 불쾌적성을 못마땅하게 여겼고, 이들에게 고무신은 가격이 저렴해 신는 질 낮은 신이었다. 한편 일반인들은 독특한 조형성과 더불어 저렴한 가격, 내구성, 세척의 용이성, 버선의 해짐 방지 등의 장점을 두루 갖춘 고무신을 환영하였다. 농민들에게는 고무신이 고급신의 일종이었고, 기타 생필품을 구입하느라 고무신을 살 여력이 안 되었던 이들은 품을 들여 직접 짚신을 삼아 신었다. 고무신이 계층을 초월하여 우리 민족에 수용된 요인은 크게 제도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1920년 회사령의 철폐로 인해 국내에 민족 고무기업이 발흥할 수 있는 토대가 형성되었다. 민족 고무기업은 고무신을 주로 생산했으며, 고무신의 형태적 완성에 일정부분 기여하였다. 또한 일제가 1941년경부터 생필품 배급정책을 시행하면서 곤궁한 형편으로 고무신을 신지 못한 하층민도 재생고무로 만든 검은색 고무신을 최초로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복식개량운동의 일환으로 신여성은 짧아진 치마와 함께 고무밑창을 댄 전통신보다 고무신과 구두를 수용하였으며 양말의 유행은 고무신 수용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우리나라의 가옥구조에는 신의 입구가 넓은 고무신이 기능적인 신이었으며,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가부좌 자세를 유지하는 좌식의 관습으로 고무가 야기하는 불쾌한 촉감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었다. 흰 고무신은 백의민족(白衣民族)이라 불리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일제 치하 아래 흰색에는 민족적 단결 및 저항의 이미지가 투영되었고 흰 고무신은 흰 수건, 흰 저고리 치마, 흰 띠와 함께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을 상징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Go-musin, which was widely embraced in our cloth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Despite the disadvantage of being made of a rubber material, Go-musin was a type of shoes accepted by the entire class in Korea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roughout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Although Go-musin was introduced to Korea as one of the imported goods of the West after the opening of its port, Korea could create its own unique Go-musin culture by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Go-musin, based on the shape of Korea’s traditional shoes, and independent acceptance by ancestors. In Korea, foreign rubber shoes were mainly accepted through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y were especially introduced into the domestic market right after the vulcanized rubber shoes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in Kobe, Japan in 1918. From western-style rubber shoes, which were imported to consume the stocked goods of the Japanese market, it gradually changed to the shoes that fit the taste of Koreans. Korea’s early Go-musin was named ‘Go-mu Gyeongjehwa’. It was made by cutting and pasting rubber according to the form of Gyeongjehwa, which were improved shoes developed by Sungwon Lee in 1912. In early 1920s, men’s Go-musin and women’s pointed Go-musin emerged. Men’s Go-musin was a compromised type that had its front part in the shape of a straight tip and back part the heel padding of straw sandals, while women’s pointed Go-musin imitated Danghye and Woonhye. Go-musin, which succeeded the form of Korea’s traditional shoes, was accepted as an item of traditional costumes and became representative shoes that Koreans wore very often. Korea’s traditional shoes used to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leather, silk, trees, straw, cattail, and brass, but with the emergence of Go-musin, unoiled shoes and rain shoes were usually integrated into a pair of Go-musin. With this, most traditional shoes disappeared, causing the manufacturers of traditional shoes to suffer from the hardships of life, unemployment, and job change. Go-musin was introduced almost everywhere from cities to remote countryside, and was widely used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However, Go-musin was received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viewpoints. The upper class that was economically well-off disapproved the unpleasantness brought by rubber, and for them Go-musin was a low-quality shoes to wear at low cost. On the other hand, general people welcomed Go-musin that had many advantages, as it came at low cost, was durable, easy to wash, and prevented Beoseon from wearing out. However, Go-musin still belonged to high-class shoes for lower-class people, who could not afford to buy Go-musin because they had to purchase other daily necessities and thus made straw sandals on their own by working laboriously. In the meantime, the abolition of Incorporation Authorization Order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national rubber firms to grow more freely in Korea. Korean rubber firms mainly produced Go-musin and contributed partially to the design completion of Go-musin. Lower class people, who could not afford to wear Go-musin due to poverty, had an opportunity to wear black Go-musin for the first time with the Japanese government’s distribution policy that was implemented from 1941. Modern women preferred Go-musin and western-style leather shoes to traditional shoes on the shortened skirts due to a part of costume improvement movement, and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rity of socks and acceptance of Go-musin. Go-musin, which had a roomy entrance, was appropriate shoes for Korea’s housing structure, and the sedentary custom of taking off shoes and having a seated posture indoor and outdoor could reduce the unpleasant touch caused by rubber to a certain extent. Furthermore, white Go-musin was often used as a means to reveal Koreans’ ethnic identity as the white-clad ra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te reflected the image of ethnic unity and resistance, and white Go-musin became a medium symbolizing the Korean people along with white Jeogori, white skirt, and white ban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2 II. 고무제(製)신발의 발생과 외국의 고무제신발 5 A. 고무의 발견과 고무제신발의 발생 5 B. 외국 고무제신발의 사례 7 1. 서양 7 2. 일본 11 3. 중국 15 Ⅲ. 한국의 고무신의 수용 21 A. 고무신의 수용 양상 21 1. 고무제신발의 유입 배경 21 2. 고무신의 수용 23 B. 고무신의 형태적 변천 과정 28 1. 경제화(經濟靴)의 탄생 28 2. 고무경제화(經濟靴) 33 3. 한국형 고무신의 정착 35 C. 고무신에 대한 사람들의 시선 42 1. 부정적 시선 42 2. 긍정적 시선 46 IV. 고무신의 범계층적 수용 요인 50 A. 제도적 요인 50 1. 회사령의 철폐 50 2. 일제의 배급 정책 54 B. 사회·문화적 요인 56 1. 복식개량운동 56 2. 주거양식 61 3. 민족의식의 발로 66 Ⅴ. 결론 70 참 고 문 헌 73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7504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일제강점기 고무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Go-musi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c.creator.othernameLee, Hyo Sun-
dc.format.pageviii, 81 p.-
dc.contributor.examiner임재영-
dc.contributor.examiner이은진-
dc.contributor.examiner홍나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