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재신-
dc.contributor.author이재영-
dc.creator이재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3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342-
dc.description.abstract건축물의 형태는 시대와 기능을 반영한 물리적 결과물이다. 이 물리적 결과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낙후, 소멸, 변화 혹은 진화를 겪게 된다. 서울 도심부의 건축물 중 1960년대 이후의 건축물은 철거 혹은 낙후의 과정을 겪고 있다. 당시 서울 도심은 한국전쟁으로 인한 피해의 복구로 격자형의 시가지와 간선대로변의 건축물을 고층화해야한다고 했고, 그 도로변의 고층화되어진 건축물은 현재에 와서 경관 악화, 주변 지역 슬럼화, 구조 노후화로 철거 혹은 철거 예정을 겪고 있다. 이러한 철거는 도심의환경과 발전을 높이는 일이지만, 우리의 역사와 기억을 지워내는 일이기도 하다. 이제는 무조건적인 철거보다는 건축물에 내재된 사회적 가치성을 인식하며 건축물의 보존과 진화의 필요성을 인식할 시점이다. 본 논문은 낙원상가의 건축 형태를 통하여 오랜 시간을 통해 주변 지역과 관계를 형성하고 그 변화에 대처하는 낙원상가만의 형태적 요소를 분석하여, 이러한 물리적 형태에 내재된 사회적 가치의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낙원상가는 서울 도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인에 의한 최초의 도시계획인 1952년의 전재복구계획에 의해 확장된 삼일로 위에 건설되어진 주상복합건물(상가아파트)이며 건물 하부에 도로가 지나가는 입체도로계획에 의해 건설된 독특한 형태를 가진 건축물이다. 그리고 악기상가라는 고유한 프로그램을 내재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변 지역과 소통을 하며 유지해 왔다. 하지만 건축물의 가치성을 인식하기 전에 도시경관 악화로 인해 철거가 논의 되어졌다. 이렇듯 건축물의 사회적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축물과 주변 지역의 형성 및 변화의 흐름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낙원상가 내부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적 요소를 분석하여 건축물 외부적 흐름에 대처하는 변화를 분석했다. 낙원상가의 형성을 살펴보기 전에 서울 도심의 가로망계획에 대해 고찰을 했다. 낙원상가는 도로 위에 지어진 건물로써 길과 건축의 소통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가로망계획은 크게 1912년의 경성시구개수계획과 1952년의 전재복구계획으로 구분했다. 이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도시계획이면서 기존 도시구조를 개조하기 위한 계획이다. 가로망계획의 두드러진 점은 남북방향의 도로의 확장 변화로 도시화, 산업화에 의한 인구 증가를 감안한 교통량 증가를 예상한 계획이었다. 이는 낙원상가 하부를 지나는 삼일로의 확장이며 건축물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즉, 건축물이 도시조직 내에서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주변과의 연계를 통해 공간을 공유, 공존하여 상리공생관계성을 지닌다. 낙원상가의 내부 형태는 외부 형태와 연관을 가지면서, 도시에서는 독립된 형태를 지니고 있지만, 외부적 변화를 통해 내부 형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낙원상가가 준공된 후, 50여년을 겪으면서 변하는 사회적 현상에 대처하며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낙원상가 내부 공간은 초기 건립 시 하나의 내부 공간에서 여러 개의 공간으로 세분화되어지고, 그에 따라 내부 동선도 세분화되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인근 지역의 사회적 변화가 낙원상가에 어떠한 형태에 적용하며, 그 변화가 건축물의 고유한 사회적 가치를 만든다. 낙원상가의 외부 형태에서 나타나는 도시적 공유와 내부 형태에서 표현되는 공간적 분배가 건축물 고유의 사회적 가치라 도출하였다. 낙원상가는 도시 속의 집단에 속하면서 여러 공간과 공유되는 부분 중 하나이고, 도시 속의 기억에서 여러 사람들의 기억의 장소로 공유되어진다. 즉, 하나의 물리적 공간이 기능, 공간, 시간을 통해 흔적으로 고유의 사회적 가치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흔적으로 낙원상가만의 내부 공간의 변화가 사회의 흐름 속에서 세분화되어졌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자본주의 시대를 살기위한 낙원상가만의 생존 전략이면서 시간의 흐름 속에서 낙원상가를 바라보고 경험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기억의 공간이다. 즉, 변하는 사회를 낙원상가 고유의 방식을 흔적을 남겨두고 있으며 우리의 삶을 투영하고 있는 삶의 공간이다. 이를 통해, 낙원상가는 도심의 중심에 있는 물리적 형태를 가진 노후화된 건축물이다. 하지만 도시 안에서의 공간의 ‘공유’에 대한 사회적 필요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낙원상가 안에서의 공간의 ‘분배’에 대한 사회적 필요에 의해 변화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낙원상가와 같은 오래된 건축물에 대한 보존에 대한 논의에 앞서 시간적 흐름 속에서 건축물에 내재된 사회적 가치를 우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The style of buildings is a physical outcome that reflects an era and its functions. Such physical outcome goes through deterioration, extinction, change, or advancement over time. Among the buildings in downtown Seoul, those that have been around since the 1960s are either being demolished, or they are deteriorating. In downtown Seoul during the 1960s, grid-type streets and tall buildings were built to repair the damages after the Korean War. At present, the high buildings built along the streets are being torn down or are to be demolished for reasons of bad landscaping, slum areas, and structural deterioration. Such demolitions may improve the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the downtown area, but they also mean erasing the traces of our history and memory. Instead of carrying out indiscriminate demolitions, we need to evaluate the social value of each building before deciding whether to preserve or redevelop buildings.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value embedded in the physical style of buildings by analyzing the formative elements unique to Nakwon Building and which have been formed in the course of its relationship with its surrounding areas in response to changes over time. Currently located in downtown Seoul, Nakwon Building is a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 (apartment with lower-floor stores) overlooking Samilro Street, which was expanded according to the War Damage Recovery Planning in 1952. As a result, it has a unique form with a road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It also carries unique features such as Musical Instrument Arcade, which has been communicating with its surroundings and community. Even before the value of the building is recognized, however, the demolition of the building has been discussed for reasons of damaging the urban landscape. As such, to understand the social value of the build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y of the building as well as the formation and change of its surrounding areas. It also analyzed the internal spatial elements of Nakwon Building, which have been formed in response to chan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building. Before investigating the formation of Nakwon Building, however, this study analyzed the street network planning of downtown Seoul, because Nakwon Building stands over the street and reflects the resul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treet and architecture. The street network planning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the Gyeongseong City Street Improvement Planning in 1912 and the War Damage Recovery Planning in 1952. It was Korea's first modern urban planning to redevelop the existing urban structure. As an outstanding feature of the street network planning, it predicted an increase of traffic and population as a result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expansion of Samilro Street, which passes through under Nakwon Building, has become part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building. This implies that buildings are not an independent being from urban structures but form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ir surroundings, sharing space and co-existing with them. The interior of Nakwon Building has kept an independent form while maintaining a relationship with its external structure, but it has been seeking internal change in response to external change. For the past 50 years since its construction, Nakwon Building has been changing itself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al phenomena. The interior space of Nakwon Building has been changed to several segmented spaces, as a result of which the internal circulation has changed accordingly.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social change in the surrounding areas has affected Nakwon Building, creating its unique social value. The unique social value of Nakwon Building is derived from the urban sharing expressed in the external style of the building as well as from the spatial distribution expressed in the internal departmentalization. Nakwon Building belongs to a group of buildings in downtown Seoul it is a memorable building of Seoul. In particular, it expresses unique social values through traces of time, space, and function. In addition, such traces suggest that the internal space of Nakwon Building has been departmentalized over time in the midst of social flow. The change reflects the building's survival strategies in capitalism. In other words, the traces of the changing society have remained in the architectural style of Nakwon Building. Today, Nakwon Building is deteriorating, but it was once constructed out of the social necessity to share space in downtown Seoul it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social need to departmentalize the space within the building. From the analysis of such processes, this thesis raised issues to look into the building's innate social value before discussing whether to preserve the building or no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과 흐름 6 3. 기존 연구 검토 8 3.1 낙원상가에 대한 연구 8 3.2 건축물 가치에 대한 연구 10 3.3 연구의 필요성 12 Ⅱ. 건축적 형태와 사회적 가치에 대한 기본 고찰 14 1. 건축 형태 14 1.1 1960년대 건축 형태 16 1.2 입체도로계획 17 1.2.1 입체도로제도 18 1.2.2 입체도로계획 구조물 사례 21 1.2.3 낙원상가의 입체도로계획 32 2. 사회적 가치 36 Ⅲ. 낙원상가의 외부 형태 38 1. 도로의 변화 40 1.1 도심의 가로체계 40 1.2 낙원상가 인근 도로체계 및 토지이용 47 2. 건물 매스 형성 50 3. 낙원상가의 의미 55 3.1 문화적 의미 55 3.2 사회적 의미 58 Ⅳ. 낙원상가의 내부 형태 63 1. 상점의 세분화와 사회적 변화의 관계 65 2. 저장기능과 공간 분배 73 3. 내부 공간 변화의 가치성 75 4. 내부동선과 수직동선 79 4.1 지상 2층 내부 동선 79 4.2 지상 3층 내부 동선 81 4.3 진입 및 수직 동선 82 5. 소결 86 Ⅴ. 결론 및 향후과제 87 참고문헌 92 부록 95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486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건축 형태에 내재한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낙원상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ocial value accumulated in the architectural form : In case of Nakwon Building-
dc.creator.othernameLee, Jae Young-
dc.format.pageix, 101 p.-
dc.contributor.examiner강미선-
dc.contributor.examiner윤재신-
dc.contributor.examiner이윤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