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0 Download: 0

약물중독자를 위한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의 효과

Title
약물중독자를 위한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among Patients with Drug Addiction
Authors
김연실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본 연구는 치료감호소에 입원하고 있는 남성 약물중독자를 대상으로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양적으로 자기초월감, 자아존중감,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질적으로는 프로그램을 통한 변화 과정을 탐색하고자 혼합연구(Mixed Methods Design)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24명, 대조군 25명, 총 49명으로 실험군에게는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을 주 2회 60분씩, 6주 동안 총 12회를 2015년 1월 19일부터 2월 27일 사이에 제공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프로그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자기초월감, 자아존중감, 안녕감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기초월감(STS-K; Kim et al., 2012), 자아존중감(SES; 전병재, 1974), 안녕감으로는 생활만족도(SWLS; 곽지현, 2003), 긍정·부정 정서척도(PANAS; 전미애, 2005), 우울척도(CES-D; 조맹제, 김계희, 1993)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군 12명의 약물중독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경험에 따른 변화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test, t-test로 분석하고, 프로그램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종속변수의 차이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질적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이 44.20±8.39세, 대조군이 42.16±8.34세이었다. 연구대상자의 85%이상이 1회 이상 치료감호소에 입원한 경험이 있었으며, 평균 입원횟수는 실험군 4.95회, 대조군 5.68회이었다. 약물을 처음 복용한 평균연령은 실험군이 22.00±9.19세, 대조군이 21.76±7.03세이었다. 실험군, 대조군 간의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연구의 주요 변수인 자기초월감(t=0.001, p=.999), 생활만족도(t=-0.612, p=.544), 긍정정서(t=-1.356, p=.181), 부정정서(t=0.242, p=.810), 우울(t=0.339, p=.73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t=-2.021, p=.049)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동질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값의 차이가 사후 점수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사전값을 공변수로 통제한 ANCOVA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Dallal, 2015). 3.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 적용 후 자기초월감(F=12.121, p<.001), 안녕감에서는 생생활만족도(F=6.524, p=.014)와 긍정정서(F=7.063, p=.001)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우울(F=8.713, p=.005)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반면 중재 후 두 집단 간에 자아존중감(F=1.410, p=.241), 부정정서(F=3.956, p=.053)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은 약물중독자에게 자기초월감, 삶의 만족, 긍정정서 및 우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포커스그룹 인터뷰 참여자는 총 12명으로 평균연령은 45.08세이었다. 내용분석 결과, 6개의 범주를 통해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나를 돌아보기’로 두가지 범주‘어두운 과거의 나를 바로 바라봄’과 ‘타인을 통해 나를 바라보기’를 포함한다. 두 번째 주제는 ‘작은변화로 자신감 가지기’로 ‘표현하기’와 ‘타인과의 관계 개선’2가지 범주에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주제인 ‘삶의 의미 발견하기’는 두가지 범주‘다짐하기’와 ‘함께 살아가기’를 포함한다. 본 연구의 결과 자기초월증진프로그램은 약물중독자의 자기초월감을 높이고, 안녕감에서 생활만족도와 긍정정서에서 안녕감을 증진하며, 우울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약물중독자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작은 변화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감을 경험하였으며, 가족과 타인을 위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변화 과정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물중독자의 자기초월감을 높여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중독자를 위한 중재 방법으로 의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Mixed method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on self-transcendence, self-esteem and well-being among patients with drug addiction, and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he changing process through the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The samples consisted of 49 patients with drug addiction (2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control group), hospitalized in Institute of Forensic Psychiatry Ministry of Justic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was provid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during six weeks from January 19 to February 22, 2015. For quantitative analysis, self-transcendence (STS-K; Kim et al., 2012), self-esteem (SES; Jeon, 1974) and well-being by Satistaction in life (SWLS; Gwak, 2003) and Positive & Negative Affect (PANAS; Jeon, 2005) and depression (CES-D; Cho et al,, 1993)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qualitative study, 12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echniqu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est, t-test and ANCOVA with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44.20±8.39 years old and that in the control group was 42.16±8.34 years, which were both male. The majority (85%)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hospitalized one more time for drug problems with mean times of 4.95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5.68 for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age for the initial dop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22.0±9.19 and that in the control group was 21.76±7.03.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study groups. 2. For testing group homogene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transcendence(t=0.001, p=.999), life satistaction(t=-0.612, p=.544), positive Affect(t=-1.356, p=.181), negative affect(t=0.242, p=.810), depression(t=0.339, p=.737) between two study groups.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t=-2.021, p=.049) between the groups. 3. After intervention, patients with drug addi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self-transcendence (F=12.121, p<.001), satisfaction in life (F=6.524, p=.014), and positive affect (F=7.063, p=.001)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Also,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f depression (F=8.713, p=.005)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scores(F=1,410, p=.241) between two study groups. 4. Qualitative findings indicated that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as the changing process after interventions: 1) ‘looking back myself’, 2) 'gaining confidence by little changes', and 3) ‘finding meanings of life'. These main themes were developed from six categories; 1) ‘facing myself in the dark past’, 2) ‘looking at myself through others', 3) 'expression', 4) 'improv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5) 'determination', and 6) 'living togeth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lf-transcendence, satisfaction in life, and positive affect, but negative effects on depression among in patients with drug addition, in turn which may reach to recovery of drug addition. Also,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patients with drug addiction have chances to look back themselves, experiencing the positive changes accompanied by enhancing self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hips, which finally lead to deciding getting off drugs. These contribute to expand out knowledge of spiritual issues of patients with drug addition, and the their intervention need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alcohol and other ad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