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효정-
dc.contributor.author임수영-
dc.creator임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0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05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coronary care unit patients. This quasi-experiment study for the patients in coronary care unit was conducted by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o examine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the anxiety, stress, and depression. Subjects were the patients in the coronary care unit of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in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y were composed of 30 patients as experiment group and 33 patients as control group. The period of acquiring data was from 25 February, 2015 to 8 May, 2015. Trial was conducted for experiment group 1 week after implementing the experiment for control group firstly to prevent diffusion effect. The treatment of this experiment was that placed a clean 2 X 2 gauze with two drops of the mixture, composed of two parts of lavender oil to one of sweet orange oil and stored in small brown-color shaded bottle, at the 5cm front of subject’s nose and made subjects take deep breath 5 times firstly and then take normal breath for 5 minutes and then place the gauze on the pillow to inhale it continuously. The treatment was taken place 2 times at 8 PM and 11 AM, the most comfortable and the quietest time. Surveys regarding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were taken by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such treatment. Visual analogue scale(Cline, Herman, Shaw, and Morton, 1992) was used for measuring the stress and the equipment, developed by Spielberger(1972) and adapted by Kim & Shin(1978), was used for examining the state anxiety. Moreover, Beck Depression Inventory-Ⅱ(BDI-II), developed by Beck et al.(1996) and adapted by Sung et al.(2008) for Korean, was used for measuring the depression. Using SPSS Version 21.0 statistics program,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zed by real number and percentage, and homogeneity test for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as implemented by x2-test and t-test. To test the hypothesis, th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for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In terms of the stress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t=-1.188, p=.239).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 group, since the stress score was reduced from 3.93±2.23 to 2.97±1.99 after the treatment(t=-3.023, p=.005), 2. In terms of the anxiety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t=-1.175, p=.24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 group, since the anxiety score was reduced from 41.76±8.15 to 39.03±7.30 after the treatment(t=-3.074, p=.005). 3. In terms of the depression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t=-1.414, p=.162).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 group, since the depression score was reduced from 14.17±8.28 to 12.30±8.61 after the treatment(t=-3.192, p=.003).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reatment for patients in coronary care unit on th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reducing th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found among the experiment group. Therefore, such treatment could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in coronary care unit for reducing th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clinical environments.;본 연구는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아로마 흡입요법을 적용하여 환자들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2월 25일부터 5월 8일까지였다. 실험의 확산효과를 예방하기 위해서 대조군을 먼저 시행하고 1주일 후 실험군에게 실험처치를 시행하였다. 실험처치는 라벤더, 스위트오렌지 오일을 2 : 1의 비율로 작은 갈색 차광 병에 담아 혼합하였고, 혼합된 오일 2방울을 깨끗한 2 X 2 거즈에 떨어뜨려 대상자의 코 5cm 앞에 대고 5회의 심호흡을 먼저 시행하고 이후 5분간 일반적인 호흡을 통해 흡입한 후 거즈를 베개 위에 두고 계속 흡입하도록 하였고, 중환자실 환경이 가장 안정적이고 조용한 오후 8시, 오전 11시 2회의 아로마 흡입요법을 시행하였다. 실험 처치 전 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Cline, Herman, Shaw와 Morton(1992)의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였고, 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Spielberger(1972)가 개발하고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Beck 등(1996)이 개발한 Beck Depression Inventory-Ⅱ(BDI-II)를 성형모 등(2008)이 번역한 한국어판 BDI-Ⅱ도구를 사용하여 우울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 x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처치 전 후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은 paired t-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 아로마 흡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아로마 흡입요법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의 검증결과, 실험 처치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188, p=.239). 따라서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 그러나, 실험군내에서 아로마 흡입요법 시행 전과 시행 후의 스트레스 점수는 3.93±2.23에서 2.97±1.99으로 감소하여(t=-3.023, p=.005) 아로마 흡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제 2가설 :‘아로마 흡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아로마 흡입요법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의 검증결과, 실험 처치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175, p=.245). 따라서 제 2가설은 기각되었다. 하지만 실험군내에서 아로마 흡입요법 시행 전과 후의 불안 점수는 실험전 41.76±8.15 에서 실험 후 39.03±7.30으로 감소하여(t=-3.074, p=.005) 아로마 흡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제 3가설 : ‘아로마 흡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아로마 흡입요법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의 검증결과, 실험 처치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414, p=.162). 따라서 제 3가설은 기각되었다. 하지만 실험군내에서 아로마 흡입요법 시행 전과 후의 우울 점수는 실험전 14.17±8.28 에서 실험 후 12.30±8.61으로 감소하여(t=-3.192, p=.003) 아로마 흡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실험군 내에서는 아로마 흡입요법이 심장내과 중환자실 환자들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심장내과 중환자실 환자들에게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을 감소시키는 간호 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 가설 5 D.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 고찰 8 A. 중환자실 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8 B. 아로마 흡입요법 11 Ⅲ. 연구 방법 15 A. 연구 설계 15 B. 연구 대상 16 C. 연구 도구 18 D.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0 E. 자료 분석 22 F. 연구의 제한점 23 G. 윤리적 고려 24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5 A. 집단간의 동질성 검사 25 B. 가설 검증 31 Ⅴ. 결론 및 제언 40 A. 결론 40 B. 제언 43 참고문헌 44 부록1. 연구대상자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50 부록2. 일반적 특성 설문지 52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23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아로마 흡입요법이 심장내과 중환자실 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Coronary Care Unit Patients-
dc.creator.othernameLim, Su Young-
dc.format.pagev, 64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dc.contributor.examiner정덕유-
dc.contributor.examiner박효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