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4 Download: 0

전통합주와 국악관현악에서 해금의 전개양상 고찰

Title
전통합주와 국악관현악에서 해금의 전개양상 고찰
Other Titles
The Study of Development Aspects of Haegeum in Korean Traditional Ensemble and Orchestral Music
Authors
권새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Haegeum in Korean traditional ensemble and orchestral music. Haegeum has been organized in all genres in the traditional ensemble music, and adjusted to a variety of music with changes in the musical environment in the 20th century. Haegeum, settled as an important instrument essential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as well, is expanding its role and functions. This study selected pieces of music with orchestral arrangement in the Korean traditional ensemble including Haegeum and those with a high frequency of playing Haegeum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and looked into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Haegeum, through its arrangement, the number of the players, the distribution and roles of its melodies, the range of notes and the fingering of it, the expansion of its arrangement and special techniques. The aspects of its development in the arrangement of the traditional ensemble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conditions of the arrangement of Haegeum in the traditional ensemble, during the Chosun Dynasty period, it was mainly arranged with wind instruments, and in the arrangement of court music, it was sometimes arranged with string instruments.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its arrangement in the current arrangement of the traditional ensemble, a majority of Haegeum was arranged between a string instrument and a wind instrument in the instrumental ensemble,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t plays a role in neutralizing the tones in the arrangement of the ensemble. During the Chosun Dynasty period, even if large-scale players were organized, 2 to 9% of the total players were arranged as Haegeum players. However, in the present traditional ensemble, the number of Haegeum players increased to 15 to 23% of the total players.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distribution of Haegeum in the traditional ensemble, dividing it into the same melodies and similar melodies, in the pieces of the traditional ensemble, overall, it mostly played the same melodies with wind instruments, an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usic, there were pieces in which it mostly played similar melodies with wind instruments and pieces in which it mostly played similar melodies with string instruments. In a slow piece of music, it played similar melodies with wind instruments, and as the pace increased, it tended to play similar melodies with string instruments. In a slow piece of music, Haegeum mostly played same and similar melodies with wind instruments since it can play fine melodies easily like wind instruments because of a slow playing pace. In addition, since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can produce a continuous sound like wind instruments, it is judged that it mostly plays the same and similar melodies with wind instruments in a slow piece of music, where there are many parts of playing stretched long. In contrast, with a gradual increase in the playing pace, its melodies come to have many same and similar melodies with string instruments as fine melodies are removed like wind instruments and the melodies are simplified like string instruments.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range and fingering of Haegeum used in the traditional ensemble, its range in the traditional ensemble was about one and a half octaves, and Haegeum fingering used to play the traditional ensemble pieces was three types: hwang (e♭) with one finger, tae (f) with one finger and jung (a♭) with one finger.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form of the arrangement of Haegeum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it was found that it was usually arranged with string instruments. In addition, since the late 1990 till the present, the number of Haegeum players organized by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 was 16 to 29.2% of the total players, which was the most or the second most. By this, it is found that Haegeum took up a high propor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As a result of a review of its functions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through its distribution, it played various functions, playing the same melodies with wind instruments, string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While the early orchestral music was biased to the same melodies with a single instrument, it played the same melodies with wind instruments, string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since the 1990s, so it is found that its functions are expanding. As a result of a study of the roles of Haegeum melod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its melodies play multiple roles of the main melody, sub-melody and counter line, and primarily play the role of the main melody. Also, when they play a role of the main melody, mostly the main melody was played with wind instruments in the middle and upper registers; when they play the role of the sub-melody, most of that was played with string instruments in the middle register. Haegeum independently played the role of the main melody in several parts, through which it was noted that it plays a role as a solo instrument, as well. In sum, its functions and roles are expanding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from the traditional ensemble. As an inquiry into the range and fingering of Haegeum used in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the range of notes of Haegeum in the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is about two and a half octaves, which is wider than that in the traditional ensemble music, and the notes appearing, too, are very diverse at an interval of a semitone. Fingering of Haegeum used in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is eight types in total, all notes can be played with a single finger. Thus, the range and fingering of Haegeum, too, are expanding more in the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than in the traditional ensemble.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the expansion of arrangement and special techniques of Haegeum in Korean traditional orchestral music, since the 1990s, it has usually been arranged in two parts, showing various forms, e.g. Forming chords with each other and playing different melodies. The expansion of its arrangement is new, which has not been found in the traditional ensembl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development aspects of Haegeum in Korean traditional ensemble and orchestral music. It has long been used as an essential instrument in orchestral music. However, with changes in the era and musical environment, changes of Haegeum music have been inevitable. Haegeum, adjusted to these environmental changes came to have various functions in ensemble music and have a possibility of many changes in the future. Hopefully, composers and players can recognize these potentials of Haegeum, broaden the width of its function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 with this study.;본고는 전통합주와 국악관현악에서 나타나는 해금의 전개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해금은 전통합주 음악에서 모든 장르에 빠지지 않고 편성되어 왔으며 20세기의 음악적 환경 변화로 인해 다양해진 음악에 빠르게 적응해왔다. 국악관현악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주요한 악기로 자리매김한 해금은 그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해금이 포함된 전통합주 중 관현악 편성의 악곡과 국악관현악 중 연주 빈도수가 높은 악곡을 선정하여 해금의 배치 및 인원수, 해금 선율의 분포, 해금 선율의 역할, 해금의 음역과 운지, 해금 편성의 확대 등을 통하여 해금의 전개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전통합주편성에서 해금의 전개양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조선시대 전통합주에 나타나는 해금 배치 상황을 살펴본 결과 해금은 주로 관악기와 함께 배치되는 형태를 보였으며, 궁중음악 편성에서는 현악기와 함께 배치되는 경우도 있었다. 현행 전통합주 편성에서의 해금 배치를 살펴본 결과 기악 합주에는 다수의 해금이 현악기와 관악기 사이에 배치되었는데, 이는 해금이 합주 편성에서 음색의 중화(中和)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대규모의 연주인원이 편성되더라도 해금 연주 인원은 전체 인원의 1~11%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현행 전통합주에서는 해금이 전체 인원의 15~23%로 더 증가하였다. 전통합주에서 해금의 분포를 동일한 선율과 유사한 선율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전통합주곡에서는 전체적으로 해금이 관악기와 동일한 선율을 연주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악곡에 따라서 관악기와 유사한 선율의 비중이 높은 곡과 현악기와 유사한 선율의 비중이 높은 곡이 다르게 나타났다. 느린 악곡에서는 관악기와 유사한 선율을 연주하는 비중이 높았고 속도가 빨라질수록 현악기와 유사한 선율을 연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느린 악곡에서 해금이 관악기군과 동일, 유사선율 비중이 높은 것은 연주 속도가 느려서 관악기군과 같이 잔가락을 쉽게 연주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해금이 관악기군과 같이 지속음을 낼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길게 뻗어 연주하는 부분이 많은 느린 악곡에서 관악기군과의 동일, 유사선율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반면에 점차 연주 속도가 빨라지면서 해금 선율이 관악기군과 같은 잔가락이 제거되고 선율이 현악기군과 같이 단순화되어 현악기군과의 동일, 유사선율이 많아진 것으로 보았다. 전통합주에서 사용된 해금의 음역과 운지법을 살펴본 결과 전통합주곡에서 해금의 음역은 약 한 옥타브 반이었고, 전통합주곡을 연주할 때 사용되는 해금의 운지는 총 3가지로 黃(e♭)1지, 太(f)1지, 仲(a♭)1지였다. 다음으로 국악관현악에서 해금의 전개양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국악관현악에서의 해금 배치 형태를 살펴본 결과 해금은 주로 현악기와 함께 배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990년 후반부터 현재까지 국악관현악단에 편성된 해금 연주 인원은 총 연주자의 16%~29.2%이고, 전체 파트 중 가장 많은 인원수이거나 두 번째로 많은 인원수였다. 이것으로 해금이 국악관현악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악관현악에서 해금의 선율 분포를 통해 기능을 논의한 결과, 국악관현악곡에서 해금은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와 동일한 선율을 연주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관악기와 동일선율의 비중이 높은 곡은 <염불주제에 의한 환상곡>이었고, 현악기와 동일선율의 비중이 높은 곡은 <합주곡 1번>이었으며, 또한 <산곡>, <남도아리랑>, <축제>, <열반>, <대지>는 관악기군, 현악기군, 타악기군과 골고루 동일선율로 진행하는 형태를 보였다. 초창기의 관현악곡이 한 악기군과의 동일선율 진행에 치우쳐 있었다면 1990년대부터는 해금이 여러 악기군과 동일한 선율을 연주하며 그 기능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악관현악에서 해금 선율의 역할을 고찰한 결과 해금 선율이 주선율과 보조선율, 대선율의 여러 역할을 담당하고 주로 주선율을 담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선율을 담당할 때에는 관악기와 함께 주선율을 연주하는 부분이 많았고 주로 중, 고음역대에서 연주되었으며, 보조선율을 담당할 때에는 현악기와 함께 보조선율을 연주하는 부분이 많았고 주로 중음역대에서 연주되었다. 해금이 단독으로 주선율을 담당하는 곳도 발견되었는데, 이것으로 해금이 독주 악기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전통합주보다 국악관현악에 와서 해금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고 있었다. 국악관현악에서 사용된 해금의 음역과 운지법을 살펴본 결과 국악관현악곡에서 해금의 음역은 약 두 옥타브 반으로 전통합주음악의 그것보다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현음도 반음 간격으로 매우 다양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악관현악곡에서 사용된 해금의 운지법은 총 8가지로 모든 음을 1지로 하여 연주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전통합주에서보다 국악관현악에서 해금의 음역과 운지도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악관현악에서 보이는 해금의 편성 확대를 살펴본 결과 1990년대 이후 해금은 보통 두 파트로 편성되었으며 서로 화성을 이루며 연주하기도 하고 다른 선율을 연주하는 등 다양한 형태를 보였다. 이러한 해금의 편성 확대는 전통합주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모습이었다. 이 논문은 전통합주와 국악관현악에서 해금의 전개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해금은 관현악에서 오랫동안 필수 악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대와 음악환경이 달라지면서 해금음악의 변화는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맞추어 적응한 해금은 합주음악에서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되었으며, 앞으로 많은 변화의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을 계기로 작곡가와 연주자가 해금의 잠재성을 인지하고 그 기능의 폭을 넓혀서 창작음악의 발전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