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현정-
dc.contributor.author박애란-
dc.creator박애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2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245-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를 대표하는 여류명창 박녹주와 박초월의 더늠에는 ‘제비노정기’ 가 있다. 두 창자(昌者)는 서편제 계통 김창환의 더늠 ‘제비노정기’를 사사받았으나, 각자 음악적 스타일과 사설의 철학적 해석을 기반으로 음악어법을 다르게 표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박녹주와 박초월의 음악적 역량(力量)을 알아보고자, 이들의 생애와 음악세계를 살펴보았고 ‘제비 노정기’의 장단에 따른 사설, 사설 붙임새와 시김새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두 창자(昌者)의 장단에 따른 사설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장단에 따라 사설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비노정기’는 중중모리장단으로 진행되었고 박녹주의 장단은 111장단이며, 박초월의 장단은 109장단으로 박녹주가 박초월보다 두 장단을 더 사용하였다. 두 창자의 사설 구성은 ‘요동→압록강→평양→송도→한양→흥보집 도착’의 순서는 같다. 사설의 세부적인 차이점은 박녹주는 제 102장단에 ‘절골 양각이 완연’ 사설을 붙이고 있으나, 박초월 사설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박초월은 제 107장단과 제 109장단에 ‘얼씨구나 내 제비야’ 사설을 붙이고 있으나, 이와 같은 사설이 박녹주의 사설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창자가 제비가 흥보 집에 도착하여 우는 사설을 표현할 때, 박녹주는 제 84장단∼제 88장단에서 4장단을 사용하였고, 박초월은 제 98장단∼제 99장단으로 2장단을 사용하였다. 박녹주가 박초월에 비해 제비가 우는 장면을 강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제비가 흥보집에 도착하고, 제비가 우는 사설의 부분까지 박녹주는 중중모리 장단으로 노래를 진행하였고, 제 89장단인 흥보가 제비를 보고 반가워하는 사설부터 ‘늦은 중중모리’로 노래를 진행하였으나, 박초월은 제 88장단에서 제비가 긴 여정을 마치고 흥보집에 도착할 때부터 ‘늦은 중중모리’로 노래를 진행하는 차이점이 있었다. 둘째, 두 창자(昌者)의 사설붙임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붙임새의 형태를 대마디 대장단과, 엇붙임(밀붙임,당겨붙임,괴대죽)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창자의 대마디 대장단은 사설의 한 행이 2음보형, 3음보형, 4음보형으로 구성되었으며, 박녹주는 2∼3음보로 이루어진 한 행을 장단에 붙일 때, 제 10박∼제 12박을 휴지(休止)하였고, 다음장단으로 넘어갔으며, 박초월은 음을 제 12박 끝까지 채워주었다. 두 창자의 밀붙임은 1음보형, 2음보형, 3음보형, 4음보형으로 구성되었으며, 박녹주는 13회를 사용하고, 박초월은 22회를 사용하여 박초월이 박녹주에 비해, 밀붙임을 9회를 더 사용하였다. 두 창자의 당겨붙임은 2음보형, 3음보형으로 구성되었으며 박녹주는 10회, 박초월은 4회를 사용하였으며, 박녹주가 박초월보다 당겨붙임을 6회를 더 사용하였다. 두 창자의 괴대죽은 3음보형, 4음보형으로 구성되었고, 두 창자의 동일한 가사에서 모두 사용이 되었으나, 3음보형은 박초월이 박녹주에 비해 3박을 더하여 부르고, 4음보형은 박녹주가 박초월에 비해 10박을 더하여 불렀다. 셋째, 두 창자(昌者)의 시김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김새의 유형을 제 1유형부터 제 6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형별로 두 창자의 시김새 운용 방법과, 동일한 사설에서 시김새 유형 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박녹주의 시김새에서 제 4유형 흘러내리는목과 제 6유형 굴리는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김새 운용의 발성(發聲)은 가성보다는 진성(眞聲)법을 사용하였고, 목을 눌러 무겁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시김새는 격렬한 느낌을 주어 힘 있게 들리게 한다. 곡의 음계가 e(떠는음), a, b(꺾는음)의 계면조로 볼 때, 박초월은 e를 떨어주고 c’→b로 꺾는 선법을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박초월이 시김새를 운용하는 발성(發聲)은 가성과 진성이 사용되어 곡을 부드럽게 표현하였다. 또한, 박초월은 시김새를 제 1유형 떠는목과 제 2유형 미는목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박녹주와 박초월의 같은 사설에서 나타나는 시김새 유형 분포를 살펴보면, 박녹주는 한 장단 안에서 시김새를 사용하지 않고 부르거나, 시김새를 1∼2회 사용하였고, 박초월은 한 장단 안에서 제 1유형∼제 6유형을 다양하게 3∼5회 사용하였다. 박초월은 여러 가지의 시김새를 한 장단 안에서 혼합하여 나타내어 곡은 계면조이나 화려함이 표현되는 특징이 나타났다. 이와같이, 박녹주와 박초월은 같은 시김새라도 각자 음악적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였다. 지금은 스승의 소리를 그대로 전승하는 ‘사진소리’가 만연한 시대이다. 판소리의 본질은 스승의 소리를 충실히 사사받아, 스승의 소리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더늠’을 창조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박녹주와 박초월의 ‘제비노정기’는 많은 소리꾼들이 어떤 방향을 잡고 나아가야할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Ms. Park, N.J.(the foremr) and Ms. Park, C.W.(the latter), the two most famous female master singers, have a Deoneum named “Swallow's itinerary”. Both were taught by Kim changwhan, who sang in Seopyeonje style, but their Deoneum show different musical expressions, based on their musical styles and philosophical explanation on the story. This article explores the two singers’ lives and musial worlds in order to know their substantial musical performance. By analyzing lyrics, additional lyrics(Buchimsae), and Sigimsae as rhythm changes, the article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article looks into the two singers’ lyrics as rhythm changes. “Swallow’s itinerary” has Jungjungmori beat. Ms. Park, N.J. uses 111 beats, and Ms. Park, C.W. 109 beats. The sequence of the story is identical. It starts from Liaodung to the Amnokgnag to Hanyang to Heungbo’s house. Their songs also show specific differences in lyrics. In the 102nd beat, Ms. Park, N.J. add “Jeolgol yang-gak-e Wan youn”, but the other emits this lyric. In the 107th beat and 109th beat, Ms. Park, C.W. add “Eolssiguna my swallow”, but the other does not sing this lyric. Expressing a scene that the Swallow arrived at Heungbo’s house and cried, Ms. Park, N.J. uses four beats from the 84th to the 88th beat. The other uses two beats from the 98th to the 99th beat. It shows that the former puts more emphasis on the scene than the latter does. Ms. Park, N.J. uses Jungjungmori beat in the scene, but she changes beat into “late Jungjungmori beat” in the 89th beat that Heungbo finds the sparrow and welcomes. Meanwhile, Ms. Park, C.W. starts to utilize “Slow Jungjungmori beat” in the 88th beat that the Swallow arrived at Heungbo’s house. Second, this article categorizes forms of additional lyrics into two types(Daemdi daejangdan, Eotppuchim) in order to find out two singers’ differences. In terms of Daemadi daejangdan, A line consists of two-metre style, three-metre style, and four-metre style. Ms. Park, N.J. rests in the 10th and the 12th rhythm when she adds a line consisting of two-metre and three-metre style to a beat. Yet Ms. Park, C.W. does not rest by the 12th rhythm. Milbuchims of the two singers consist of one-metre style, two-metre style, three-metre style, and four-metre style. Ms. Park, N.J. use this skill thirteen times, and Ms. Park, C.W. 22 times, 9 times more than the former. Danggyoungbuchims of the two consist of two-metre style and three-metre style. The former utilizes it ten times, and the latter four times, 6 times less than the former. Goedaejuks of the two are composed of three-metre style and four-metre style. The two use Goedaejuk in the same lyric, but the latter sings in the three-metre style three beats longer than the former. In the four-metre style, the former ten beats longer than the latter. Lastly, this article categorizes Sigimsae in the song into from the 1st form to the 6th form. In analysis of the two singers’ ways to utilizes Sigimsae, the former uses neither the fourth type ‘water flowing sound’ nor the sixth type ‘rolling sound’, and she sings in a real voice rather than in falsetto, resulting in a heavy expression. This Sigimsae gives a drastic feeling and sounds strong. When the latter sings e-a-b note, she frequently vibrates e sound and cut off the singing from c to b. Ms. Park, C.W. utilize both a real vocie and falsetto, expressing a song in a soft way. She utilizes Sigimsae in combination of the first tyle ‘vibration’ and the second tye ‘Push sound’. In terms of patterns of the two's Sigimsae in the same lyric, Ms. Park, N.J. does not use Sigimsae in a beat or uses it once or twice. Meanwhile, Ms. Park, C.W uses Sigimsae many times in a beat in combinations of the six types, giving a fancy feeling. s mentioned above, the two singers express Sigimsae in a different musical style. Today, many singers tend to follow ‘picture song’, a way to duplicate master's voice and pass it down. However, the nature of Pansori is to create one's own ‘Deoneum’ based on master's sound. That is why the two singers’ “Swallow's itinerary” provide many signers a guideline to sing a real so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B.연구 범위 및 방법 5 Ⅱ.본론 7 A.창자별 음악세계 7 1.박녹주의 삶과 음악세계 7 2.박초월의 삶과 음악세계 9 B.음악적 특징 비교 분석 11 1.장단에 따른 사설 11 2.사설 붙임새 15 3.시김새 44 Ⅲ.결론 57 참고문헌 60 부록 63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187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박녹주와 박초월의 <제비노정기>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Chebinojunggi part> of Park nokju and Park Cho-wol-
dc.creator.othernamePark, Ae Ran-
dc.format.pagex, 88 p.-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곽은아-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