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Jin Xiang Lan-
dc.creatorJin Xiang Lan-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2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226-
dc.description.abstract역사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중요한 과도기였던 1960년대, 한국에서는 활발한 국악 창작의 전개로 인해 가야금이 두각을 나타내고 북한에서는 악기개량으로 인해 거문고가 사라지게 되었다. <출강>은 이런 음악적 전환 시기에 작곡된 북한 작곡가 김용실의 작품으로 현재 북한에서는 가야금, 한국에서는 거문고를 중심으로 활발한 연주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는 21현 가야금 독주곡 <출강>과 거문고 독주곡 <출강>을 중심으로 세부단락을 구분한 후 선율진행과 리듬형태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출강>의 음악적 구조는 A-B-A′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가야금 120마디, 거문고 168마디로 구성되었다. A부분에서 가야금과 거문고는 동일하게 a-b-c-d-e 단락으로 나뉘고, B부분에서 f-g 단락으로 나뉜다. A′부분에서 가야금은 a′-b′-d′-e′ 단락으로 나뉘고, 거문고는 a′-b′-c′-d′-e′-f 단락으로 나뉘어 가야금보다 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출강>의 장단은 4/4 안땅장단(A, A′부분)과 12/8 굿거리장단(B부분)이며 서로 동일하다. 두 악기의 선율진행은 동일, 유사, 상이마디를 구분하고, 그 중 유사선율은 중심음이 동일하나 상이한 음정이 출현하는 유형➀, 가야금 리듬이 거문고에 비해 분할되는 유형②, 거문고 리듬이 가야금에 비해 분할되는 유형③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첫째, A부분에서 가야금 61마디, 거문고 72마디 중 동일선율은 10마디 출현하여 가야금이 16%, 거문고가 14%로 나타났다. 유사선율은 29마디 출현하여 가야금이 48%, 거문고가 40%로 나타났으며, 그 중 유형➀이 9마디, 유형②가 5마디, 유형③이 15마디 출현하였다. 상이선율은 가야금에서 22마디, 거문고에서 33마디 출현하여 각 36%, 46%로 나타났다. 둘째, B부분에서 가야금 14마디, 거문고 18마디 중 동일선율은 2마디 출현하여 가야금이 14%, 거문고가 10%로 나타났고 유사선율은 10회 출연하여 가야금이 72%, 거문고가 50%로 나타났으며 모두 유형② 선율로 구성되었다. 상이선율은 가야금에서 2마디, 거문고에서 8마디 출현하여 각 14%, 40%로 나타났다. 셋째, A′부분에서 가야금 45마디, 거문고 78마디 중 동일선율은 7마디 출현하여 가야금이 16%, 거문고가 9%로 나타났다. 유사선율은 15마디 출현하여 가야금이 33%, 거문고가 19%로 나타났으며, 그 중 유형➀이 5마디, 유형②가 3마디, 유형③이 7마디 출현하였다. 상이선율은 가야금에서 23마디, 거문고에서 56마디 출현하여 각 51%, 72%로 나타났다. 가야금과 거문고의 리듬형태는 동일, 상이리듬을 구분하고 빈번하게 나타나는 리듬형태와 악기별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리듬형태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A부분은 4/4박자의 안땅장단으로 8분음과 4분음을 단위로 하는 , , , 리듬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 8분음 단위의 리듬이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였다. 상이리듬으로 가야금에는 분할리듬, 거문고에는 , 분할리듬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B부분의 동일리듬은 당김음과 부점을 사용한 리듬으로 두 악기에서 각 한번 씩 나타났으며 그 외 리듬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유사한 리듬형태들이 나타났다. 가야금에는 , 분할리듬, 거문고에는 분할리듬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A′부부은 A부분의 재현부로 A부분과 동일한 리듬이 반복되어 나타났으며 종지마디에서 가야금과 거문고 모두 긴 음표로 종지를 하는 점이 동일하다. 거문고 coda단락은 리듬으로 동형진행하면서 음악을 점진적으로 고조시켰다. 이와 같이 <출강>은 가야금과 거문고의 다양한 음악적 표현기법을 담고 있는 곡이다. 본 논문을 통해 이 곡을 연주하는 가야금, 거문고 연주자들의 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a transitional period of 1960s, significant both historically and musically, Gayageum became distinguished in South Korea thanks to active cre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Geomungo disappeared in North Korea because of the musical instrument reform. As the work composed by a North Korea composer Kim Yong Sil in such a musical transitional era, <Chul gang> has been played centered on Gayageum in North Korea and on Geomungo in South Korea.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elodic motion and rhythmical pattern of <Chul gang>, 21 stringed Gayageum solo and a Geomungo solo through dividing into sub-paragraphs. With a musical structure of 3 parts, A-B-A′ , <Chul gang> is composed of 120 Gayageum bars and 168 Geomungo bars. At the part A, both Gayageum and Geomungo are equally divided into a-b-c-d-e paragraphs, and into f-g paragraphs at the part B. At the part A′, Gayageum is divided into a′-b′-d′-e′ paragraphs, and Geomungo is divided into a′-b′-c′-d′-e′-f paragraphs, having a longer structure than that of Gayageum. <Chul gang> has 4/4 Anddang beat(A, A′parts) and 12/8 Gutgeori beat(B part)identical to each other. As for the melodic motion of both instruments, it was divided into the identical, similar and different bars, and particularly the similar melody was classified into the types that ➀ central intervals are the same but different intervals appear, ② rhythms of Gayageum are partitioned compared with those of Geomungo, and ③ rhythms of Geomungo are partitioned compared with those of Gayageum. Firstly, at the part A, from 61 Gayageum bars and 72 Geomungo bars, identical melody appeared at 10 bars, occupying 16% for Gayageum and 14% for Geomungo. Similar melody appeared at 29 bars, occupying 48% for Gayageum and 49% for Geomungo, with the type ➀ appeared at 9 bars, type ② at 5 bars and type ③ at 15 bars. Different melody appeared at 22 bars for Gayageum and at 33 bars for Geomungo, occupying 36%, 46% respectively. Secondly, at the part B, from 14 Gayageum bars and 18 Geomungo bars, identical melody appeared at 2 bars, occupying 14% for Gayageum and 10% for Geomungo. Similar melody appeared at 10 bars, occupying 72% for Gayageum and 50% for Geomungo, and all of them consists of the type ② melody. Different melody appeared at 2 bars for Gayageum and at 8 bars for Geomungo, occupying 14%, 40% respectively. Thirdly, at the part A′, from 45 Gayageum bars and 78 Geomungo bars, identical melody appeared at 7 bars, occupying 16% for Gayageum and 9% for Geomungo. Similar melody appeared at 15 bars, occupying 33% for Gayageum and 19% for Geomungo, and particularly, type ➀ appeared at 5 bars, type ② at 3 bars and type ③ at 7 bars. Different melody appeared at 23 bars for Gayageum and at 56 bars for Geomungo, occupying 51%, 72% respectively. As for the rhythmical pattern of Gayageum and Geomungo, with the division of the identical or different rhythms,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for both rhythmical patterns appeared frequently and appeared specifically by instrument. Firstly, in the part A of 4/4 Anddang beat, rhythm , , , as unit of 8th, 4th notes appeared equally, particularly with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rhythm as unit of 8 note. As for the different rhythms, it was characterized as the divisive rhythms for Gayageum and , for Geomungo. Secondly, in the part B. identical rhythm, using syncopation and a dot appeared one time from both instruments in addition to similar rhythmical patterns based on . Divisive rhythms , for Gayageum and for Geomungo appeared differently. Thirdly, in the part A′ as the recapitulation of A, rhythms identical to those of the part A appeared repetitively. Also, at the cadence bar, both Gayageum and Geomungo equally have cadence with a long tone. At the Geomungo coda paragraph, sequence of rhythm elevates the music gradually. As such, <Chulgang> is a piece showing a variety of musical expressive techniques of Gayageum and Geomungo.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ill be of help to Gayageum and Geomungo performers for their deepened understanding on the music and their practical perform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 Ⅱ. 본론 5 A. <출강> 작품개요 5 1. 음악적 배경 5 2. 악곡구조 및 장단 6 3. 조성 및 조현법 9 B. <출강> 선율 비교 12 1. A부분 선율 12 2. B부분 선율 26 3. A′부분 선율 33 C. <출강> 리듬 비교 43 1. A부분 리듬 43 2. B부분 리듬 50 3. A′부분 리듬 53 Ⅲ. 결론 55 참고문헌 57 부록악보 60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290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김용실 작곡 <출강> 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21현 가야금과 거문고 독주곡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mparison of Yongsil kim's <chul gang>-
dc.format.pagex, 76 p.-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원영석-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