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1 Download: 0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 진양조의 기경결해(起景結解)연구

Title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 진양조의 기경결해(起景結解)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igyeonggyeolhae’of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Jinyangjo
Authors
김주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Sanjo occurred in the 19th century came to have its present form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nsori in a musical style. Theoretically, Jinyangjo beats of Pansori drumming are composed of a structure of ‘Gi-gyeong-gyeol-hae’, a single beat of 24 time, and beats of Sanjo have something to do with such a structure. As for Gayageum Sanjo, Kim Yun Deok stated that he organized a beat of Jinyangjo as 24 time(♩.=1 time) since that of Jeong Nam Hee's Gayageum Sanjo he had learned was not fixed as 24 time when creating Gayageum Sanjo. It shows that Jinyangjo of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has the structure of ‘Gigyeonggyeolhae’. The term ‘Gigyeonggyeolhae’ was originated from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in the Chinese poetry. It was initiated from a famous drummer, Oh Seong Sam(1966~1096) who devised a drumming technique changing from 6 time to 4 Gak to balance with other beats since it was impossible to use a drumming technique showing a change of 'developing and climaxing' in Jungmori and Jungjungmori if drumming Jinyangjo beats with 6 time. This paper aimed at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Jinyangjo in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his teachers through comparing his Gayageum Sanjo with that of Jeong Nam Hee and Kang Tae Hong and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Gigyeonggyeolhae' in Jinyangjo. In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Jinyangjo has 9 movements according to a beat with 80 Gak composed of 'Gigyeonggyeolhae' of 4, 8, 12 Gak. On the other hand, in Jeong Nam Hee's and Kang Tae Hong's Gayageum Sanjo, Jinyangjo is partially composed of 4, 8 Gak. Kim Yun Deok framed parts having no rhythm of 24 time into 'Gigyeonggyeolhae' of 24 time in Jinyangjo when creating his Sanjo. As a result of analyzing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Jinyangjo in terms of 'Gigyeonggyeolhae' ,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Jinyangjo may be divided into 15 paragraphs according to 'Gigyeonggyeolhae'. In 10 paragraphs of 15, one paragraph is composed of 4 Gak, and paragraphs of 4 Gak-unit have an equal length through dividing 'Gi, Gyeong, Gyeol and Hae' into one Gak, Such a finding shows that one beat of Jinyangjo corresponds to the frame of 'Gigyeonggyeolhae', 4 Gak/24 time to the ratio of 2/3. Though 'Gi, Gyeong, Gyeol and Hae' of 8 Gak-unit has an unequal length, it may be regarded that paragraph of 4 Gak-unit expanded in that one paragraph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Gigyeonggyeolhae'. Secondly, methods Kim Yun Deok used to create his Sanjo based on the melody handed down from Jeong Nam Hee may be summarized into borrowing of Jeong Nam Hee's and Kang Tae Hong's melody, transformation of their melody and creation of Kim Yun Deok's own. Intact borrowing of Jeong Nam Hee's melody by Kim Yun Deok is 40 Gak, occupying a half of the entire. Intact borrowing of Kang Tae Hong's melody and new creation of Kim Yun Deok are 13 Gak, respectively. His transformation of Jeong Nam Hee's melody contains 14 Gak. Thirdly, based on classification of 'Gigyeonggyeolhae' paragraphs in Jinyangjo,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analysis was done for characteristics of melody and rhythm of each 'Gigyeonggyeolhae'. Melodic characteristics of 'Gi' were classified into 5 kinds, in other words, positioning at the beginning of a movement, disjunct motion after accentuating the beginning of an initial tone with an octave, continuance of the same tone from the 4th to 6th beat, continuance and repetition of the same tone through one Gak and a tone begun as ‘Boncheong’ and ended as ‘Boncheong’. Melodic characteristics of 'Gyeong' contained 3 kinds including continual connection of 'Gyeong' for more than 2 Gak, similar melodic motion(a-a’) to 'Gi', and melodic development of 'Gi'. Melodic characteristics of 'Gyeol' contained 4 kinds, that is, emphasis on the 5th beat through appearance of Sigimsae like ‘Nonghyeon’ and ‘Jeonseong’ or certain tone, concluding through continuance of the same tone at the 5th and 6th beats, inducing of the next melody through expression of the final tone as the ornament and drop, and connection of consecutive 'Gyeol'. 'Hae' showed 2 melod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ppearance of a series of tones composing a scale from the 1st to 4th beat and then concluding with ‘Boncheong’ and with vibrato, In case of concluding with ‘Boncheong’, the next melody is connected to the intro of a new movement and to the part only new melody suggests in case of concluding with the vibrato. As for 'Gi', it showed 3 kinds of rhyth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nonexistence of rhythm at the 6th beat through keeping a breath of the 5th beat, development of rhythm at the 5th and 6th beats and emphasis on the intro rhythm as ornaments. 'Gyeong' showed three rhythmical patterns including the similarity to 'Gi' (a-a’), division from the rhythm of 'Gi' and consecutive connection of 'Gyeong' more than 2 times. 'Gyeol' showed three patterns including equality of the rhythm of the 5th beat without division with the finish rhythm of Janggu, ♩, rhythmical segmentation more than 'Gyeong' from the 1st to 4th beat and ending with the varied beat at the 5th beat. 'Hae' showed 2 patterns including equality and inequality of the rhythm from the 5 th to 6th beat with that of Janggu(♪♩ ∣♩ ♪). This paper identified that Kim Yun Deok created his Gayageum Sanjo fitting for the frame of 'Gigyeonggyeolhae' through dividing his Jinyangjo into paragraphs. 'Gigyeonggyeolhae' acts as a great frame underlying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Jinyangjo, and also gives a structural form. It may be said as the intention of the creator of Gayageum Sanjo and at the same time as the characteristic of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Considering a characteristic of ''Gigyeonggyeolhae' in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Jinyangjo, it is expecte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playing Kim Yun Deok's Gayageum Sanjo in a macro-perspective through research on 'Gigyeonggyeolhae' for Jungmori and Jungjungmori in addition to Jinyangjo.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 starting point for macro-understanding on Kim Yun Deok's Gayageum Sanjo.;19세기 발생된 산조는 판소리 음악양식의 영향으로 현행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판소리고법의 진양조장단은 이론적으로 24박을 한 장단으로 하는 기경결해(起景結解)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조의 장단 역시 이러한 구조와 관계가 깊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는 김윤덕이 가야금산조를 창작할 당시 자신이 배웠던 정남희류 가야금산조의 진양조 한 장단이 24박으로 일정하지 않기에 진양조 한 장단을 24박(♩.=한 박)으로 구성하려 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중 진양조가 기경결해의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기경결해(起景結解)의 어원은 한시(漢詩)의 ‘기(起) 승(承) 전(轉) 결(結)’에서 나왔다. 명고수 오성삼(吳聲三, 1966~1096)이 진양조 장단을 6박으로 치게 되면 중모리, 중중모리와 같은 장단에 보이는 ‘달고 맺기’ 의 변화가 드러나는 고법을 구사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장단과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6박으로 연주했던 것을 4각(刻)으로 변화시키는 고법을 만든 것이 그 시초였다. 본고는 김윤덕의 사승관계를 토대로 김윤덕의 가야금산조 진양조를 정남희, 강태홍의 것과 비교하여 김윤덕의 가야금산조 중 진양조가 지니는 구조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해 ‘기경결해’가 진양조에서 가지는 특성을 확인하였다.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는 조에 따라 아홉 장이며, 80각(刻)으로 4각, 8각, 12각의 ‘기경결해’ 틀에 맞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반면에 정남희류와 강태홍류 가야금 산조 중 진양조는 일부분만이 4각, 8각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김윤덕은 자신의 산조를 창작할 당시 진양조에서 24박이 한 장단으로 구성되지 않은 부분들을 24박의 ‘기경결해’ 틀에 맞도록 정리하였음이 표면적으로 나타났다. 기경결해(起景結解)에 따라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 진양조를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진양조는 기경결해(起景結解)에 따라 15단락으로 구분됐다. 네 각이 한 단락을 이루는 단락은 15단락 중 10단락이고 네 각 단위의 단락은‘기, 경, 결, 해’가 한 각씩 분배되어 균등한 길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양조 한 장단이 네 각, 24박의 ‘기경결해’ 틀에 3분의 2가 부합한다는 것이 되었다. 여덟 각 단위의‘기, 경, 결, 해’가 불균등한 길이로 나타나지만 하나의 단락이 ‘기경결해’ 구조를 이룬다는 점에서 네 각 단위의 단락이 확대되어 나타난 것이다. 둘째, 김윤덕이 정남희에게 전수 받은 가락을 바탕으로 자신의 산조를 창작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정남희, 강태홍 가락의 차용, 정남희, 강태홍 가락의 변용, 김윤덕 본인의 창작으로 정리됐다. 김윤덕이 정남희의 가락을 원형대로 차용한 부분은 총 40각으로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강태홍의 가락을 원형대로 차용한 부분과 김윤덕이 새롭게 창작한 부분은 각각 13각으로 이루어졌다. 김윤덕이 정남희의 가락을 바탕으로 변용한 것은 모두 14각에 이르렀다. 셋째,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 진양조의 ‘기경결해’ 단락을 구분한 것을 바탕으로 각각의 ‘기경결해’가 갖는 선율과 리듬 부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기(起)의 선율 특징은 다섯 가지로 악장 처음 시작에 위치, 첫 음의 시작을 옥타브로 넣어 강조 뒤 도약 진행, 네번째 박부터 여섯 번째 박에 걸쳐 동일음의 지속, 한 각 전반에 걸친 동일음의 지속 및 반복, 본청으로 시작된 음이 본청으로 종지하는 형태가 나타났다. 경(景)의 선율적 특징은 연속적으로 두 각 이상 ‘경’의 연결, 선율 진행이 ‘기’의 선율과 유사한(a-a’)형태로 진행, ‘기’의 선율에서 발전한 형태인 세 가지의 특징을 보였다. 결(結)은 농현, 전성과 같은 시김새나 특정음의 출현을 통해 다섯 번째 박을 강조, 다섯 번째 박과 여섯 번째 박에서 동일음을 지속시켜 맺음, 종지음을 꾸밈음, 꺾는음으로 표현하여 다음 선율을 유도, 연속된 ‘결’의 연결 등 네 가지의 특징을 보였다. 해(解)의 경우 첫 번째 박부터 네 번째 박까지 음계의 구성음이 차례로 출현한 뒤 본청으로 종지, 첫 번째 박부터 네 번째 박까지 음계의 구성음이 차례로 출현한 뒤 떠는 음으로 종지 등 두 가지의 형태가 나타났다. 본청으로 종지진행 후 이어지는 선율은 새로운 악장의 시작 부분으로 연결되고, 떠는 음으로 종지진행 시 다시 새로운 선율만이 제시 되는 부분으로 연결 되었다. 기(起)의 리듬 특징은 다섯 번째 박의 호흡을 지속시켜 여섯 번째 박에서 리듬이 없는 형태, 다섯 번째 박과 여섯 번째 박에서 리듬의 발전, 시작하는 리듬을 꾸밈음으로 강조하는 총 세 가지의 특징을 보였다. 경(景)은 세 가지 리듬형태가 나타났으며,‘기’와 유사(a-a’), ‘기’의 리듬에서 분할, ‘경’이 연속적으로 두 번이상 연결되어 발전하는 형태였다. 결(結)은 다섯 번째 박의 리듬이 분할되지 않고 장구의 맺는 리듬인 ♩.와 동일한 형태, 첫 번째 박부터 네 번째 박까지 ‘경’보다 리듬이 세분화 되는 형태, 5박에서 엇박으로 맺는 형태의 세 가지가 나타났다. 해(解)의 리듬 특징은 다섯 번째 박부터 여섯 번째박 까지의 리듬이 장구의 리듬(♪♩ ∣♩ ♪과 같은 형태와 다른 형태의 총 두 가지가 나타났다. 본고는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진양조를 단락으로 나누어 김윤덕이 자신의 가야금산조를‘기경결해’의 틀에 부합하도록 창작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기경결해는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의 기저에 펼쳐진 큰 틀로 작용하여 구조적인 짜임새를 전달한다. 이것은 김윤덕 산조 창작자의 의도이자 김윤덕 가야금산조가 가지는 특색이라 할 수 있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진양조가 기경결해에 부합하도록 구성된 만큼 진양조 이후의 중모리, 중중모리 등의 장단에 대해서도 ‘기경결해’의 연구가 진행되어 보다 거시적인 관점으로 김윤덕류 가야금산조를 연주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기를 기대해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