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성격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성격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the Learners’ Writing Process
Authors
이연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Second language education has transitioned from teacher-oriented education to learner-oriented education. The same trend applies to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the research on diverse learner demand is being conducted on Korean-language learners both here and abroad. In contrast to speaking and listening courses being taught vigorously in Korean-language classrooms based on such learner demand research, writing courses are not given the attention they rightfully deserve. In light of this, if research is conducted on whether the affective factor, in particular the personality factor, amo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learning curve of a learner, affects learners’ writing, then it would serve as a primary resource that would allow the learner demand to be reflected in Korean writing courses. In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how personality types influence writing process and writing strategies of Korean-language learners and how distinctive features are revealed in a group of their respective native languag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personality types of Korean-language learners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and Korean-language learners in Japan were identified using the MBTI assessment, and then they went through a writing process followed by the interview on their writing process. A connection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the writing process of Korean-language learners was found through analysis of MBTI personality type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riting process. Limitations were developed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fact that no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a meaningful correlation, nonetheless it was confirmed that during the writing process, preferred writing strategies did change according to different personality types. It was also found through the interview protocol analysis that there were instances where participants were unable to write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depicted by the personality type because Korean is a L2. In examin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among the basic indicators of personality types, the differences in the writing process were more pronounced in Sensing-Intuition and Judging-Perceiving preferences than Extroversion-Introversion and Thinking-Feeling preferences. This indicates that Sensing-Intuition and Judging-Perceiving preferences are more influential than the other types. The types represent different preferences over, in the case of Introversion-Extroversion is the direction of the energy, in Sensing-Intuition, a cognitive function, in Thinking-Feeling, a decision-making process, in Judging-Sensing, a lifestyle pattern, so from this a conclusion could be drawn that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the writing process are closely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and lifestyle pattern. On the other hand, distinctive features of personality types were also revealed in the same native language group. Follow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features presented in the entire Korean-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the native language group were examined. The comparative analysis found that there were preferences over personality types in the same native language group.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yielded that in the case of Korean-language learners in Japan, they preferred Intuition over Sensing, and Judging over Perceiving in their writing. In comparing writings of learner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and in Japan, it was more difficult to establish a clear pattern in the case of learner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and personality function pairs on the Korean writing process of the Korean-language learners and draws a conclusion that the personality types and personality functions in fact do have an influence over the learners’ writing process and the composition. The influence was found in the prewriting, the writing and the revision and the influence was particularly pronounced in Sensing-Intuition and Judging-Perceiving preferences. It is also found that features of the personality function pairs such as SF, ST, NF, NT, et cetera, were more pronounced in a learner’s writing than the aforementioned personality typ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affective side, in particular the personality types at play in Korean-language education of Korean-language learners. As examined abov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the affective side within the field of foreign-language learning and it is estimated that it would play a pivotal role in the learner-oriented education. The study is also meaningful in explaining through numerous resources the changes that occur in the process and strategies of writing not only due to the native language factor but also even more to the personality types. Furthermore, as the research on the personality types, writing and tools for writing education for the Korean-language learners continues into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opefully would become a meaningful contribution.;제2 언어교육은 교사 중심의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이를 위하여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습자 요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어 교육 교실에서 이런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말하기․듣기 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는 반대로 이를 바탕으로 한 쓰기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 개인차를 결정하는 요소 중 정의적 요인, 그 중에서도 성격요인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면, 학습자의 요구를 실제 한국어 쓰기 수업에 반영되게 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성격 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과정과 쓰기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같은 모국어 집단 안에서 어떤 변별적인 특징들이 드러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과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성격 유형을 MBTI 성격 유형 검사를 통해 알아보았고 실제로 글을 쓰도록 했으며, 후에 글을 쓰는 과정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MBTI에 의한 성격 유형 분석과 쓰기과정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에 성격 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피험자의 수가 적고,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볼 수 있는 양적연구를 진행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계는 있으나 각 성격 유형에 따라 글을 쓰는 과정에서 선호하는 쓰기 전략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한국어가 L2이기 때문에 자신의 성격대로 글을 쓰고 싶어도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면담 프로토콜을 분석하며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글쓰기 과정에서 성격 유형별로 나타나는 특징에서는 외향성-내향성, 사고형-감정형에 비하여, 감각형-직관형 그리고 판단형-인식형이 보다 명확하게 서로 간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글을 쓰는 데 있어서 감각형-직관형 그리고 판단형-인식형이 다른 성격적 유형보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내향형과 외향형은 에너지의 방향에 대한 것이며, 감각과 직관은 인식 기능, 사고와 감정은 판단 기능, 판단과 인식은 생활양식에 대한 선호경향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글쓰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인식기능과 생활양식과 관련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한편, 모국어가 같은 집단 안에서도 성격 유형의 변별적 특징이 드러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체 한국어 학습자 안에서 나타나는 성격 유형의 특징을 비교분석한 후에, 모국어 집단 안에서는 성격 유형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 비교분석을 통하여 같은 모국어 집단 안에서 선호되는 성격 유형적 특징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비교분석 결과,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경우에 감각형보다는 직관형의 글쓰기를, 인식형보다는 판단형의 글쓰기를 선호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과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글쓰기를 비교하였을 때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은 일본어권 학습자들에 비해서는 보다 명확한 경향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는 성격 유형과 성격 기능유형이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글쓰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면서, 실제로 성격 유형과 성격 기능이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과 실제 작문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는 글쓰기 전 단계와 글쓰기 단계, 글을 수정하는 단계에서 각각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감각형-직관형 그리고 판단형-인식형에 있어서 그 영향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SF형, ST형, NF형, NT형 등의 성격의 기능면에서는 각각의 성격 유형에서 살펴본 것보다 더 명확하게 학습자의 글에서 성격 기능의 특징적인 면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정의적 측면, 그 중에서도 성격 유형에 대하여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외국어 습득 연구에 있어서 정의적 측면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바이다. 모국어 변인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과 전략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그 안에서 성격 유형에 따라 더욱 변별적인 특징이 드러나는 것을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하여 설명한 것 또한 본 연구가 의미를 가지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앞으로 성격 유형과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와 쓰기 교육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연구가 계속 된다면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