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오세은-
dc.creator오세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3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33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egree of using music as the mood regulation strategy differed depending on the gender, age, participation in music activities and music education, and how it was correlated to the time of listening to music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reference of music. A total of 113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Music in Mood Regulation (K-MMR) scales were measured to examine how much participants uses music in terms of six subcategories of mood 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pondents used the music for revival the most frequently and for discharge the least frequently.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s, girls reported to listen to music for their mood regulation significantly more than boys. The respondents with greater amounts of participation in music activity or music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using music to regulate their moods. Also, the degree of using music for discharg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listening to music in daily lives, the level of music preference, and the level of the perceived importance of music, indicating how these adolescents experience and perceive music in relation to their daily lives influence the level of active management of negative emotions using musi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to regul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od and musical experience could affect the degree of effective use for mood regulation. This study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young population as an active agent to use music for their emotional issues. Also, it presents clinical implication of how music would be effectively used for mood regulation, which is one of primary issues in this young population.; 본 연구는 국내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을 사용한 기분조절 전략이 개인의 성별, 나이 및 음악 취미 활동이나 교육의 경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음악 감상 시간 및 음악을 좋아하는 정도, 음악에 대한 인식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총 113명의 중학생이 응답한 설문지가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고, 개인 변인에 따른 음악 사용 기분조절 척도(Korean-Music in Mood Regulation: K-MMR)의 하위 기분 영역에서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은 전반적으로 음악을 활용하여 기분조절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기분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회복’ 영역에 대한 음악 사용 기분조절전략이 가장 높았고 ‘분노 표출’ 영역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음악 사용 기분조절전략에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음악을 사용하여 기분조절전략을 하는 비중이 더 높았다. 음악 관련 교육이나 취미 활동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음악을 사용한 기분조절전략이 더 높았고 MMR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상에서 음악을 감상하는 시간 및 음악을 좋아하는 정도, 음악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음악을 사용한 기분조절에서 ‘분노 표출’ 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이는 음악 감상 시간이나 음악을 좋아하는 정도 및 음악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부적 정서에 대한 기분조절에 있어서도 음악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음악이 중학생의 기분조절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과, 개인의 음악적 경험이나 음악에 대한 인식 등이 음악사용 기분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의 배경정보에 따른 음악의 기분조절로서의 역할 및 기능 수준을 파악함으로서 추후 중학생에게 임상적으로 접근할 시에 정서 영역과 관련한 음악 사용에 근거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청소년기 정서와 음악 5 1. 청소년기의 정서적 특징 5 2. 청소년과 음악 활용 6 3. 음악을 통한 청소년의 정서 변화 8 B. 청소년의 기분조절 9 1. 기분조절의 개념 9 2. 청소년기 기분조절의 중요성 11 C. 음악의 정서적 기능 13 1. 음악 활용과 정서 변화 13 2. 음악 사용 기분조절전략 14 Ⅲ. 연구 방법 17 A. 조사 대상 17 B. 조사 도구 18 1. 개인의 일반적 특성 및 음악 관련 사항에 관한 설문지 18 2. 한국판 음악 사용 기분조절 척도 20 C. 연구 방법 및 절차 23 1.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23 2. 본 조사 25 D. 자료 처리 26 Ⅳ. 결과 및 논의 27 A. 결과 27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및 음악 활용과 인식 27 2. 개인의 특성에 따른 기분조절전략으로서의 음악 사용 35 3. 음악 감상 시간 및 음악적 인식과 기분조절전략 간의 관계 40 B. 논의 41 Ⅴ. 결론 및 제언 43 A. 결론 43 B. 제언 45 참고문헌 47 부록 54 부록 – 1 개인의 일반적 특성 및 음악 관련 사항 설문지 55 부록 – 2 한국판 음악 사용 기분조절 척도(K-MMR) 59 부록 – 3 음악 사용 기분조절척도의 하위 목표 별 분류 61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09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중학생의 기분조절전략으로서의 음악 활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usic as the Mood Regulation Strategy for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Oh, Se Eun-
dc.format.pagevii, 63 p.-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contributor.examiner김경숙-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