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순경-
dc.contributor.author김혜영-
dc.creator김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2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249-
dc.description.abstract성별 직종 분리 통념은 가정 내 성별 분업에 따른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 성적 고정 관념에 따라 임노동 영역에서 여성에게 적합한 일과 남성에게 적합한 일을 나누고 노동 현장 내 성별 위계를 가져와 고임금 기능직과 숙련직인 남성 직종에 여성의 진입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통념은 기존의 직업은 물론 새로운 직업에도 영향을 미쳐 또 다시 성별로 직종을 분리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 직종 분리 통념의 실체를 해부하기 위해 실제 노동 과정에 대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다. 기존논의에서는 가정 내 성별 분업 이데올로기에 의해 노동 시장에서도 여성들은 가사 노동과 관련된 일을 하면서 남성 중심적인 직무 평가 기준에 의해 저평가되고 있었고 여성의 남성 직종 진입이 제한되고 있다고 했다. 또한 택시 기사나 직업 군인 같은 남성 직종에 여성이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성적 고정 관념에 의해 직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이 같은 논의에서는 성별 직종 분리 통념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지적했지만 통념의 내용이 무엇이고 이것이 실제 노동 과정에서 어떻게 괴리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살펴보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석유에너지 저장 탱크 및 발전소 설비시설 등을 건설하는 거친 남성적 작업 공간인 플랜트 건설 S 업체에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다. 플랜트 건설업은 남성적 생산물과 거친 남성적 작업 공간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지배 업종으로 성별 직종 분리가 뚜렷해 연구 대상으로 적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볼 성별 직종 분리 통념의 내용으로는 첫째, 여성은 육체적 힘이 약해 힘든 일은 남성의 일이라는 것 둘째, 여성은 강인함이 부족해 위험한 일은 남성에게 적합하다는 것 셋째, 여성은 기능직을 수행할 만한 능력이 안된다는 것, 넷째 여성은 일자리를 찾아 객지로 다니며 일하기 어렵다는 것에 대하여 실제 S 업체에서는 이러한 통념이 노동 과정과 합치하는지 살펴보았다. S 업체에서는 성별 직종 분리 통념에 따라 첫째, 힘든 일과 위험한 일은 남자가 해야 한다는 통념 때문에 남성 조공과 여성 조공을 분리해 여성 조공에게는 주로 청소와 화기 감시 등을 시키고, 남자 조공에게는 기공 지원 업무와 무거운 것을 운반하는 것과 추락 위험이 있는 고소 작업을 시키고 있었다. 둘째, 자동 용접사의 경우에도 탱크 바닥과 탱크 지붕처럼 안전한 곳은 여성 자동 용접사가 하고, 추락 위험이 있는 고소 작업이 필요한 탱크 벽면의 자동 용접은 남성 자동 용접사의 일로 분리시키고 있었다. 셋째, 여자는 기능 습득이 어렵다는 성적 고정 관념은 여성 조공을 기능 습득이 어려운 청소와 화기 감시 직무에 배치하고, 남성 조공은 직접 기공 지원 직무를 수행하게 해서 기능 습득이 쉽게 되도록 하여 여성은 기능 습득 구조에서 배제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노동 과정에서는 성별 직종 분리 통념과는 다르게 첫째, 여성 조공도 남성 조공처럼 힘든 일을 하고 있었고 여성 자동 용접사도 혼자 하기 힘든 용접 자재를 들어서 운반하고 있었다. 둘째, 여성 조공 중에는 고소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었고 여자 배관 용접사의 경우 남자들과 똑같이 추락 위험이 있는 고소 작업도 하고 있어 여자가 위험한 일을 할 수 없다는 통념은 실제와 맞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여성직의 기능 습득 배제 구조가 문제 되고 있었다. 즉 여자 조공들은 기능 습득이 어려운 청소나 화기 감시직에 배치하고 남자 조공은 기공을 도와 일하게 하는 조공직의 성별 직종 분리가 여성의 기능 습득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성 노동자들은 업체 측의 필요에 의해 자동 용접을 배우거나, 친한 남자 기공으로부터 기능을 배우고, 용접 학원이나 노동조합 산하에 있는 기능 학교를 통해서 기능을 습득하고 있었다. 넷째 여성은 돌봄 노동을 해야 하므로 객지에 일자리를 찾아다니기 어렵다는 통념에 대해서는 생계 부양자의 위치에 있는 여성들이 객지에서 일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S 업체의 성별 직종 분리 해소를 위해 여성들이 현장에서 기능 습득이 어려운 구조를 감안하여 P 노조 산하의 기능 학교에서 여성 전용 남성 직종 기능 훈련 과정을 설치할 것을 제안하였다. 여성은 남성과 달리 기능적인 일을 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남성 직종 기능 습득을 위한 여성 전용 기능 훈련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남성과 동등한 여성 기능인이 배출되면 지금의 성별 직종 분리 문제 해결을 위한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ereotype on gender job segregation, according to ideology of gender segregation and gender stereotype from the domestic gender roles, divides jobs suitable to women and men, respectively, in paid labor area. And it causes gender hierarchy in labor, making women face a barrier to enter men's job with high income and skill. This stereotype has influences on new jobs as well as the existing ones, segregating job by gender in return. Accordingly, in this study, in order to grasp the facts of the gender job segregation stereotype,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evious discussions, through the ideology of the domestic gender job segregation, even in labor market, women worked in the field related to the domestic labor, and their job was underrated by the criteria of job focusing on men and women's entry to men's job was limited. Even though women worked in the men's job such as taxi driver or professional soldier, gender stereotype made women's conducting a job difficult. In these discussions, in spite of pointing out problems of gender job segregation stereotype, they do not include the contents of the stereotype and how they are alienated from the actual labor proces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was conducted in plant construction company S, a rough masculine space to construct and install petroleum energy tanks and powerplants facilities.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s dominated by men with masculine products and work place and suitable for the research subject due to its clear gender job segregation. This study reviews contents of gender job segregation stereotype as follows: first, women are physically weak and as a result, hard work is for men; second, women have no strength and dangerous job is suitable to men; third, women have no ability to conduct technical works and fourth, women is difficult to travel for searching job. In order to verify the stereotype, the observation was made in S company. In S company, according to gender job segregation stereotype, first, because of common idea that hard and dangerous jobs should be done by men, men and women were separated and women workers were given mainly cleaning and observing fire containers while men workers were assigned with craft support, conveying heavy materials, and jobs in higher location with risk of falling. Second, even in case of automatic welder, female welders' tasks were limited in safe space such as tank floor and roof while male welders worked in tank wall with risk of falling. Third, gender stereotype that women is difficult to acquire technical skills made women workers assigned to cleaning and observing fire containers, excluded from acquiring them, while male workers were directly assigned to support craft works, easier for acquiring the skills. However, in the actual labor field, unlike gender job segregation stereotype, firstly, female workers had hard jobs like male workers and female welders also delivered directly materials for welding. Second, there were female workers who engaged in work in higher location and female welders had the same tasks with male welders who worked in higher location with risk of falling. Therefore, the common idea that women cannot conduct dangerous job was not consistent with the actual situation. Third, the structure to exclude women from acquiring technical skills was problematic. That is, gender job segregation that women workers were assigned to cleaning or observing fire containers while men workers were given supporting craft jobs made women's acquisition of technical skills difficult. However, female workers learnt automatic welding because of needs of the company or get knowledge for craftsmanship from their close male craftsmen or acquired skills from private institute for welding or craft school under labor union. Fourth, for the common idea that women cannot travel for job because of their responsibility as carer, women who were positioned as breadearner worked away from home. Lastly, in order to solve the gender job segregation in S company, considering the difficult structure for women to acquire technical skills in work field, craft schol under P labor union suggested to introduce men's technical skill course for women, as women have no experiences of craftsmanship unlike men and there is need of women-exclusive training course to acquire men's job skills. Through this, if women craftsmen are trained, there will be the foundation to solve the current gender job segreg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1 B. 기존 논의 검토 5 1. 성별 직종 분리 이론 5 2. 직업과 성역할 고정관념 8 C. 연구 방법 12 Ⅱ. 성별 직종 분리 통념과 노동 현장 18 A. 성별 직종 분리 통념의 내용 18 B. 플랜트 건설업 작업 특성 및 성별 직종 분리 현황 19 1. 작업 특성 19 2. 성별 직종 분리 현황 24 C. S 업체 작업 공정 및 성별 직종 분리 현황 27 1. 작업 공정 27 2. 성별 직종 분리 현황 31 Ⅲ. S 업체 사례 분석 : 성별 직종 분리 통념과 실제 36 A. 근력과 노동의 성별성 37 1. ‘힘든 일’은 ‘남성의 일’? 37 2. ‘힘든 일’을 하고 있는 여성 노동자 39 3. 여성의 조공직 및 작업팀 합류 배제 42 B. ‘위험한 일’의 성별성 43 1. ‘위험한 일’은 ‘남성의 일’? 43 2. ‘위험한 일’을 하고 있는 여성 노동자 46 3. ‘위험한 일’을 하는 여성의 비가시화 51 C. 기계, 숙련과 성별성 52 1. 기능직은‘남성의 일’? 52 2. 숙련된 여성 기공의 등장 54 가. 여성의 기능 습득 노력 54 나. 여성 기공의 기술력 58 3. 여성의 기능 습득 배제 60 가. 여성의 기능 습득 배제 구조 61 나. 기술의 변화로 인한 여성의 기능직 진출 및 한계 64 D. ‘객지 노동’의 성별성 68 1. ‘객지 노동’은 ‘남성의 일’? 68 2. ‘객지 노동’을 하고 있는 여성 노동자 69 3. 안전한 여성 숙소의 부재 70 E. 소결 72 Ⅳ. 성별 직종 분리 해소를 위한 직업 훈련 시스템의 재구조화 75 A. 변화된 환경 : 기능직 고령화와 기술의 변화 76 B. ‘남성 직종’성비 불균등 해소를 위한 직업 훈련 78 Ⅴ. 결론 82 참고 문헌 86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22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플랜트 건설업 성별직종분리의 통념과 실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S 업체 노동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mmon Idea and the Actual Situation of Gender Job Segregation Stereotype in Plant Construction Industry : Focusing on Labor Process in S Company-
dc.creator.othernameKim, Hae Yeong-
dc.format.pagev, 91 p.-
dc.contributor.examiner이재경-
dc.contributor.examiner전명숙-
dc.contributor.examiner조순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