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혜-
dc.contributor.author최지원-
dc.creator최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5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515-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의 예술과 직조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바스켓은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도구로 사용되었고 현재까지도 폭넓게 응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술 분야와 결합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매우 다채로운 양상으로 구현되고 있다. 패션은 다양한 예술 분야와의 끊임없는 상호 작용과 전통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는 창조적 욕구와 독창적인 작품 활동을 통해 보다 더 예술적인 차원으로 진보되고 있다. 바스켓을 엮는 방법은 자유로운 구조와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여 다채로운 형태의 입체적인 공간감을 가지므로 바스켓의 형태에 따른 무한한 실험 가능성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체적인 공간미와 투시미를 지닌 바스켓의 형태를 모티프로 하고 하프 놋팅 기법을 응용하여 패션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제작 기법으로 코어를 사용한 하프 놋팅 기법을 응용함으로써 독특한 형태를 유지하고 유연한 실루엣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술적인 효과를 부각시켜 폭넓은 분야로의 응용 가능성을 창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바스켓에서 발견되는 형태미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바스켓의 곡면체적인 조형적 특성을 패션 디자인에 접목시켜 입체적 공간감을 형성하고. 바스켓에서 나타나는 투시성을 하프 놋팅 기법에 의한 표면 질감으로 표현하여 독특한 표현 재료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함에 있다. 이는 전통성을 지닌 독특한 수공예적 요소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패션디자인의 표현 영역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는 문헌과 자료검색을 통해 바스켓의 개념과 제작 기법에 따른 종류를 살펴보고 오픈워크 바스켓의 형태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도서, 전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작품을 살펴보았다. 또한 문헌고찰과 자료검색을 통해 하프 놋팅 기법의 정의와 종류를 살펴보고, 응용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위의 이론적 연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바스켓의 형태미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총 6벌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어를 사용한 놋팅 기법을 응용한 결과 요철감을 지니는 하프 놋팅 기법을 패션디자인에 접목시킴으로써 선의 결합에 의해 나타나는 투시미, 공간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작품의 재료로 합성피혁을 사용함으로써 바스켓의 형태미에 따른 움직임이 가능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었다. 셋째, 바스켓 이미지를 입체 형태로 표현함에 있어서 구조 형성을 위해 와이어를 사용하였고, 그로 인해 바스켓이 지니는 곡면체적 특성과 3차원적 공간감을 부각시킬 수 있었다. 넷째, 놋팅 기법이 적용된 교차점의 매듭과 매듭 사이에서 나타나는 반복된 선과 공간에 의해 리듬감을 표현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하프 놋팅 기법은 재료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에 있어 표현 영역의 확대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미지가 패션에 적용되었을 때 디자인으로서 무한한 예술적 표현 가치를 지님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특히 놋팅 기법의 다양한 실험과 방법을 통해 향후 수공예적 장인정신의 고부가가치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입체적인 공간감과 선적 조직감, 이에 따른 투시성 등을 패션과 접목하여 새로운 창작물을 제작하는 본 연구를 지속함으로써 향후 새로운 소재기법과 하프 놋팅 기법의 응용에 대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발전가능성을 시사한다.; Fashion changes along with the progress in ages together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e humanity. Based on creative desire and original production activities, fashion is conducted on dimensions that are more artistic. Active artistic expressions are performed with various trials in either materials or techniques. In particular, longing for nature and interest in the succession of tradition are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crisis, human rights issues, and so on in the modern world where more and more things are becoming digital and latest technologies are advancing at even higher rates due to adva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ly, this study used bamboo basket art as the motif of fashion design. Bamboo basket art has settled as a traditional technique in Japan as basket as used for practical purposes is recognized as items of art. In expressing image, we applied the beauty of the plastic form acquired from sensations of structural space and materials created from the beauty of linear modeling and the combination of lines. For design expression methods, we used interlacing techniques, as they are able to express diversely in terms of variability in crossing directions, angles, and materials. We used synthetic leather as the material to express bamboo used as the smooth and long art material. In order to express bamboo with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bended by the degree of elasticity, we also partly used wires to express the beauty of forms of structural space acquired from the combination of lin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unique fashion design with greater value by introducing the artistic quality of handicraft as well as expand areas of fashion design expression. For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concept and origin of bamboo basket art from literature and data search,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looking at images of bamboo basket art, and looked at art works through related books, exhibitions, Internet search, and other channels. Furthermore, we studied the concept and history of interlacing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data search and found examples of using interlacing in fashion from dedicated Korean and foreign books related to fashion, journals, Internet search, and other channel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analysis as above, we created six pieces of fashion design works in total through the application of images of bamboo basket art. The followings are conclusions gathered from this work. First,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bamboo basket art as the motif of art works display three-dimensional lines and transparent space according to thickness, length, and angles as results of layout structure, and degrees of bending. We found such characteristics of unique lines are appropriate for new fashion design. Second, we were able to use restrained color image by using natural beige, brown, black, and other solid colors to highlight sensation of materials. We were also able to create image expression of the smooth surface sensation of bamboo by cutout synthetic leather for materials of art works. Third, we used wires to express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expressing images in silhouette, therefore could highlight the sense of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 beauty of unique form. Fourth, we succeeded in creating various textures with rich rhythmical sense by using interlacing techniques with limitless applica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texture created by the linear formative beauty and combination of lines of bamboo basket art. As such, we found interlacing techniques are applicable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materials and structures and it is possible to expand areas of expression in fashion design. Moreover, we also found images when applied to fashion might have limitless value of artistic expression in the form of design. In particular, there is the potential of greater value added by handcraft workmanship in later years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methods based on interlacing techniques. Therefore, we hope there will be more researches in the future to connect images of lines with fashion to help apply new material techniques and develop in more various way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목적 1 B.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이론적 배경 3 A.바스켓의 형태미에 관한 고찰 3 1.바스켓의 개념 3 2.바스켓의 제작 기법 5 3.바스켓의 형태미 17 4.바스켓 형태미를 응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 20 B.놋팅 기법에 관한 고찰 25 1.놋팅 기법의 정의와 종류 25 2.놋팅 기법의 응용의 사례 32 Ⅲ.작품 및 해설 36 A.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36 B.작품제작 및 해설 40 Ⅳ.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99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6269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바스켓(Basket)의 형태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하프 놋팅(Half Knotting) 기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f Fashion Design with applying Formative Elements of basket : Focus on Half knotting technique-
dc.creator.othernameChoi, Ji Won-
dc.format.pageviii, 104 p.-
dc.contributor.examiner김혜연-
dc.contributor.examiner주보림-
dc.contributor.examiner김인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