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7 Download: 0

앤드로지너스의 양성적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스타일링 연구

Title
앤드로지너스의 양성적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스타일링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Fashion Styling Employing Androgyny's Androgynous Imagery : A Case Study of the Photo Shoot Methodology in Fashion Magazine 「B」
Authors
김보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패션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연
Abstract
현대 패션은 여러 가지 트렌드가 공존 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정형화된 아름다움 보다는 각자의 개성과 감성적 요구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이 급변하고 세분화되면서 소비양상도 다양해져 그에 따른 개인의 패션 스타일도 개성화 및 다양화되고 있다. 현대 패션 산업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춰 토탈 패션화 경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옷에 국한하지 않고 패션소품과 액세서리, 헤어, 메이크업 등 다양한 형태의 믹스를 통해 패션 요소와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 패션 스타일링이 패션의 중요한 장르로 자리 잡게 되었다. 최근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대중문화의 영향, 인터넷의 보편화로 인해 패션의 인식 변화가 가속화되고, 연예인이나 특정 대상, 즉 패션리더의 외적 이미지를 수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패션을 통한 대중(mass)과 소비자와의 소통이 현대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고, 이에 따라 패션 스타일링의 과제는 새로운 패션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킬 뿐 아니라 패션을 리드해 나갈 수 있는 혁신적 연출방법을 연구해 제시하는 것이라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와의 패션 감성 소통의 방법으로서 패션 매거진의 스타일링 화보 연출을 계획하고자 한다. 스타일링 연구의 주제로서 앤드로지너스 패션에 관하여 고찰하고 양성성의 요소를 새롭게 해석하여 스타일링의 요소와 원리를 적용하여 의상과 소품 및 헤어 메이크업을 통해 융합, 창의적 이미지를 제안함으로써 현대패션의 표현 영역을 확대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각종 문헌연구와 자료검색을 통해 패션 스타일링의 개념, 패션스타일리스트의 영역과 역할, 패션스타일링에 필요한 요소와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패션스타일링에 있어서 패션매거진 역할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최근 들어 더욱 주목 받고 있는 앤드로지너스의 개념 및 성격과 성립배경, 및 그 특징을 알아보고. 이 중 앤드로지너스의 중성적 이미지의 스타일링 표현방법과 양성적 이미지의 스타일링 표현방법,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와 표현방법, 현대패션에 나타난 양성적 이미지의 스타일링 표현 방법에 관한 사진자료를 전문가 5인이 250장 중 79장을 선정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이를 통한 새로운 표현방법을 모색하여 이를 토대로 「B」 매거진 패션화보 스타일링을 기획하여 총6점의 패션스타일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작품제작과 스타일링의 표현 방법은 남성적 이미지와 여성적 이미지의 결합을 통한 양성적 이미지로, 스타일링과 작품 제작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앤드로지너스의 이미지를 양성성으로 표현할 때 남성과 여성적 요소의 풍부한 아이디어 원천소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즉, 각각의 성을 표현하는 모든 종류의 패션 아이템과 디테일, 소재가 연출의 풍부한 이미지 소스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성성과 여성성의 디자인 요소를 트렌드 안에서 찾아 융합시킬 때 더욱 새로운 이미지로 연출 될 수 있었다. 셋째, 남성성과 여성성의 요소를 과장 혹은 절제하여 사용할 때 더욱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였다. 넷째, 성 정체성이 분명한 전형적인 남성적 아이템과 여성적인 아이템, 형태, 소재, 디테일 측면에서 해체하고 재결합시킬 때 앤드로지너스 주제의 이미지의 보다 효과적인 연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앤드로지너스 패션 이미지의 양성적 연출기법은 현대 패션 디자인과 스타일링의 중요한 기법인 ‘믹스 앤 매칭’의 또 다른 해체적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스트라이프의 남성 수트와 르댕고트, 여성 코르셋 등은 클래식 패션 아이템으로, 이를 앤드로지너스라는 현대 패션의 트렌드 이미지에 적용함으로써 남성성과 여성성의 결합을 넘어 고전과 현대의 융합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었다. 일곱째. 앤드로지너스 패션 스타일링의 미적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 남성복 소재의 믹스 앤 매치를 통해 여성복 라인과 조화로운 남성복 소재와 패턴을 연구하여 보다 다양한 스타일링을 제안할 수 있었다. 여덟째, 남성성과 여성성의 디자인 요소를 활용할 경우 제작된 작품 스타일에 맞는 헤어와 메이크업 컨셉을 통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고, 스타일링의 테마가 더욱 분명해지는 중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홉째, 앤드로지너스라는 그 개념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시피 여성성과 남성성 모두 표현이 가능한 모델을 캐스팅함으로서 모델의 표정과 행동으로 인해 스타일링 주제를 더욱 감동적이고 효과적으로 전하게 되어 패션화보가 지향하는 독자의 구매 요구 향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앤드로지너스의 양성적 이미지의 특성을 활용한 작품제작을 통해 차별화된 새로운 패션 스타일링 화보를 표현하였고, 다양한 남성소재를 활용해 여성복 아이템으로 발전시켜 여성복의 표현 영역을 확장 시킬 수 있었다. 또한 작품제작을 통해 효과적인 패션 스타일링 화보를 제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능성으로 볼 때 앤드로지너스의 양성적 특징을 활용한 미적가치가 다양한 연구를 통해 보다 심도 있고 차별화된 영역으로 확대되어 앤드로지너스에 관한 패션 스타일링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presents the coexistence of various trends ,and articulates consumers' individuality and emotional demand more than standardized beauty. Further, as consumers' lifestyles have been dramatically changing, the fashion industry has become more subdivided to meet the diverse consumer demand. Thus, consumers' styles also have become mor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therefore shows a growing tendency for Total Fashion marketing; it does not limit styling merely with clothing, but harmonizes the overall appearance with a mix of other features such as fashion accessaries, hair styling, make-up and others. This type of fashion styling has become an important technique for the contemporary fashion industry. Influenced by the recent development of mass media, effects of pop culture, and universal Internet connection, the fast perception changes on fashion led the public tendency of accepting the styles of so-called fashion leaders such as those of celebrities. In the midst of this phenomenon, there is a higher demand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ss through fashion trends. And thus, communi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quality for the fashion industry. Therefore, the fashion industry is demanded to provide emotional satisfaction for consumers and continuously develop innovative styles to lead future fashion trends. Considering these backgrounds, this study develops a styling photo shoot plan for a fashion magazine using emotional communication methods with consumers via fashion. The focus of this styling analysis is based on androgyny. This study analyzes the androgyny styling and ingeniously interprets the androgynous as a styling element, and suggests a creative imagery for contemporary fashion by applying it to clothing, accessaries, hairstyling, and make-up. By this effort, this study contributes in expanding the boundaries of expression in contemporary fashion. This study researches the role of fashion magazines in terms of styling by collecting various existing scholarly articles and data regarding the concepts of styling and fashion stylists' roles and fields in addition to investigating necessary elements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fashion styling. Further, this study evaluates the concept, characteristics, historical background, development, and features of androgyny. And by investigating selected photographic imageries, this study samples and analyzes the photographs of androgyny styling expression methods. Then, based on the analysis for new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plans and recommends six types of fashion styling for Fashion Magazine B's photo shoot. The production and styling expression methods are achieved by androgynous imagery combining masculine and feminine images. The product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method development of the androgyny imagery is achieved by abundant original ideas from existing masculine and feminine elements. Second, combination of masculine and feminine design elements discovered in trends enabled to present the images of more novelty. Third, both the exaggeration and the diminution of either the masculine or the feminine elements enabled more innovative representation Fourth, this study discovered that when typical gendered items, forms, subjects, and details are disbanded and reconciled, the androgyny imagery can be more effectively represented. Fifth, the androgyny imagery's androgynous representation method is a type of the 'mix and match,' an important deconstructive technique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styling. Sixth, androgyny is harmonizing imagery of classic and contemporary fashion beyond masculine and feminine representation as it applies the items such as men's street fashion suits and redingote and women's corset in trend of contemporary fashion. Seventh, in order to app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ndrogyny fashion styling, this study proposes more diverse styling by analyzing the body lines of women's clothing and the patterns and materials of men's clothing through the mix and match. Eighth, this study discovers that applying the fitting hair and makeup concepts to the styles produced of a mix of masculine and feminine design components enables diverse displays, thereby hair styles and makeups are important components in defining styling themes. Ninth, as referred by the concept of androgyny, casting models who are able to express both male and female characteristics is crucial in facilitating the effective personal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Thus, model casting is an important process in increasing consumption desire and leading to the favorable direction of a fashion magazine. By applying the analysis results described above, this study utilizes androgynous representation features in developing differentiated expressions of the fashion styling photo shoot for Fashion Magazine B and expands the boundaries of gendered fashion items in fashion expression. Furthermore, this production method provides the recommendations of more effective fashion styling for photo shoots. Having observed such applications and potentials of androgyny's androgynous representations in aesthetic valu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drogyny's fashion styling for further expansion as a differentiated field in the fashion indus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