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류정민-
dc.creator류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1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0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1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분리불안과 직업만족도가 유아기 자녀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3~5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 2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취업모의 분리불안은 Hock, McBride와 Gnezda(1989)가 제작한 어머니 분리불안 척도(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MSAS)의 하위요인 중 ‘일반적 어머니의 분리불안’을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취업모의 직업만족도는 이제영(1998)의 직장생활 만족도와 Kelleberg(1977)의 직업만족도 문항을 수정·보완한 황현주(1993)의 직업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과보호적 양육행동은 박성연과 이숙(1990)의 양육행동 척도와 Block(1984)의 CRPR(Child Rearing Practice Report)을 참고로 유우영과 이숙(1998)이 제작한 어머니 양육행동 척도에서 ‘과보호’하위요인을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분리불안은 이주혜(1980)의 유아의 낯가림 및 유기불안 검사 척도의 하위요인 중 ‘분리불안’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취업모의 분리불안 및 직업만족도가 유아의 분리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가정한 구조모형을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분리불안은 유아의 분리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모의 분리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도 분리불안을 더 보였다. 반면, 취업모의 직업만족도가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취업모의 분리불안은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분리불안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취업모의 분리불안이 높을수록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였으며,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더 보일수록 유아의 분리불안이 높았다. 반면, 직업만족도가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종합해 보면, 취업모의 분리불안은 유아의 분리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지만, 취업모의 직업만족도가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통해 미치는 간접적 영향은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분리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취업모의 분리불안과 직업만족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살펴봄으로써 취업모의 분리불안과 직업만족도, 유아의 분리불안 간의 관련성을 밝혔으며, 취업모의 분리불안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과보호적 양육행동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 자녀의 심각한 분리불안을 예방하기 위해서 취업모의 분리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며, 취업모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자녀 양육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working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of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job satisfaction on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A total of 251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are 3 to 5 years old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items regarding their own separation anxiety, job satisfactio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path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had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That is, the higher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the more likely their children displayed separation anxiety. However, mothers’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Second,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indirectly influenced young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throug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Mothers who had higher separation anxiety showed higher level of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toward their children, and higher level of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contributed to young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However, mothers’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young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eir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On the other hand, mothers’job satisfaction did not play a role in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educ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in order to prevent young children’s critical separation anx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유아의 분리불안 6 B. 취업모의 분리불안 및 직업만족도와 유아의 분리불안 8 C. 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과보호적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분리불안 10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6 A. 연구문제 16 B. 용어정의 17 Ⅳ. 연구방법 18 A. 연구대상 18 B. 조사도구 19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2 Ⅴ. 연구결과 24 A. 예비분석 24 B. 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과보호적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분리불안 간 관계 25 C. 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26 Ⅵ. 논의 및 결론 29 A. 취업모의 분리불안 및 직업만족도가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 29 B. 취업모의 분리불안 및 직업만족도가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30 참고문헌 35 부록 45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60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Job Satisfaction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on Young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dc.creator.othernameRyoo, Jung Min-
dc.format.pagevi, 57 p.-
dc.contributor.examiner한세영-
dc.contributor.examiner지연경-
dc.contributor.examiner신나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