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5 Download: 0

어머니가 지각한 결혼친밀감과 부모공동양육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가 지각한 결혼친밀감과 부모공동양육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rital Intimacyand Coparenting on Parenting Behavior
Authors
최윤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가 지각한 결혼친밀감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공동양육이 매개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5년 3월 10일부터 11일까지 2일 동안 인터넷 리서치 전문업체인 서베이스테이션(www.surveystation.co. kr)에 의뢰하여 조사를 실시하여 29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혼친밀감은 이경희(1995)가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부모공동양육은 Margolin, Gordis, & John(2001)이 개발한 부모공동양육질문지(Coparenting Questionnaire; CQ)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Schaefer(1995)의 어머니 양육행동 모형을 토대로 박영애(1995)가 번안·수정한 부모양육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 사용하여 변들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ANOVA와 t 검정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결혼친밀감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부모공동양육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결혼친밀감이 높을수록 부모공동양육이 잘 이루어지며, 어머니는 보다 더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수행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별로 살펴본 결과, 직접효과는 긍정적 양육행동과 부정적인 양육행동 모두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간접효과의 경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친밀감과 부모공동양육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긍정적인 양육행동의 경우 긍정적인 부모공동양육과 부정적인 부모공동양육 모두에 영향을 받는 반면 부정적인 양육행동(거부-재재, 허용-방임)의 경우 부정적인 부모공동양육(삼각화, 갈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공동양육의 하위요인 중에서, 갈등, 삼각화, 협력 순으로 매개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협력의 경우 거부-제재와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공동양육의 부정적인 측면에서도 하위요인 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삼각화는 모두 부분매개를 보였으나, 갈등은 부정적 양육행동과 관련해서 완전 매개적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모공동양육의 현실적, 정책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부모공동양육에 대한 연구가 드문 실정에서, 결혼친밀감과 부모공동양육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앞으로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whether marital intimacy, as perceived by the mother, is related to co-parenting. For such purpose, a survey was done by an online survey specialized company (www.surveystation.co.kr), compiling a data from 294 participants from March 10, 2015 to November 2, 2015. A measure developed by Gyeoung Hee Lee (1995) was used for measuring marital intimacy, and a translated version Co-parenting Questionnaire (CQ) by Margolin, Gordis & John (2001) was used to measure co-parenting. Furthermore, to measure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parenting behavior measure created by Young Yae Park (1995) on the basis of Schaefer’s (1995) mother’s parenting behavior model was used. Software SPSS 21.0 was used to calculat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and to execut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A correlation between marital intimacy, as perceived by the mother,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found, in which co-parenting was involved. Therefore, the higher the intimacy of marital relationship, the better co-parenting showed, and greater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as shown for the mothers. Observations of individual parenting behaviors of the mothers showed that direct effects were present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Indirect effects, however, showed to differ in its cor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co-parenting behavio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affected by both positive co-parenting and negative co-parenting, while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affected by only co-parenting (triangulation, conflic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co-parenting showed in the order of conflict, triangulation, and cooperation. No mediating effects of cooperation were found for negative parenting. Negative aspects of co-parenting were also affected by its sub-factors; triangulation showed partial mediation, and conflict showed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lay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amidst scarce amount of research being done in the area of co-parenting despite its realistic and political import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