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보복심리의 매개효과 및 내현적 자기애의 조절효과

Title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보복심리의 매개효과 및 내현적 자기애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of being a victim of school violence and aggression: Mediating affect of shame and retaliatory psychology, moderating effect of covert narcissism
Authors
김해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기존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내재화 문제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최근 총기난사 사건과 같은 극단적인 공격성을 보이는 청소년들을 조사한 결과, 그들 중 상당수가 이전에 학교폭력 피해자였단 사실이 드러났다. 따라서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내재화 문제 뿐 아니라 공격성이나 폭력적 행동과 같은 외현화 문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며, 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개입방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공격성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그 심리내적 과정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수치심과 보복심리를 매개로 공격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이고, 그 경로가 내현적 자기애 수준에 따라서 조절 되는지도 추가로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1부터 고3까지의 청소년들(n=401)이었으며, 모델의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이용하였고, 내현적 자기애의 조절효과를 보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시행 하였다. 결과는, 먼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공격성으로 바로 이어지는 직접적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상하 수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본 다집단 분석에서는 학교폭력 피해경험에서 보복심리로 이어지는 경로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다른 경로에서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on victims of school violence were mainly focused on internalizing problems. However, after investigating adolescents who showed extreme aggression such as mass shooting, it i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m have had an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school violence. Considering this, it is plausible to say that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affect not only internalizing problems but also externalizing problems such a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s. Therefore, more profound studies on externalizing problems as school violence’s outcome are needed. Furthermor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proper way of taking part in resolving the proble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how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develops into aggression.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the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school violence develops into aggression, mediated by shame and retaliatory psychology. In addition, whether that process can be moderated by the degree of covert narcissism has been also examined. This study includes adolescents from 7th grad to 12th grade(n=401) and used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valuate the model fit. Moreover, the multi-group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measur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ized narcissism.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aths are found to be significant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th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to aggression. Moreover, the multigroup analysis,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erms of the degree of narcissistic tendency, showed that only the path from an experienced school violence to retaliatory psychology is significant while other paths seem in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