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이순행-
dc.creator이순행-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1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0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11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reveals the embodied meaning of the care experienced by the infant in child-care center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expose a variety of bodily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the time, whereby it has often been conceptualized by the word ' care ' or ' attachment’ similarly across all ages, different relationship context. This study explores some of the possible existential meanings - lived time, lived space, lived body, and lived relationship - embedded in care of child-care center experienced by the infant and teacher, and the change process of such meanings for the infant in child-care center. Participatory observation, discourse with teachers and with participant’s mothers, and field data were collected while observing group dynamic of three classes of “Sunshine”, “Moonlight”, and “Starlight” for six month up to a year. The following themes are addressed concerning the meanings of care for the infant in the child-care center. First of all, entering the child-care center meant the extension of care by adult who think conceptually, for infant who think perceptually, it meant a sense of cut-off from the previous bodily experiences, a sense of tension from new experiences, and a sense of change of the life-world. Secondly, for the infan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child-care center was intended to have a ‘replaceable’ relationship that has some degree of emotional distance with the teacher. The infant in the child-care center had to adapt to the ‘replaceable’ relationship because he or she was staying at the center longer than working hours of the teacher in charge. Thirdly, the infant in the child-care center was embedded in the system of the child-care center. They were supposed to regulate their bodily movement within the boundary of space and the specific time schedule of the center. In addition, the infant in the child-care center had to be transformed into the body that was susceptible to educational stimulations for optimal development provided by the center. However, these experiences were an opportunity to embody the mind of our society and to transfer into the public world. Fourth, the infant in the child-care center was eager to see his or her mother and would wait for returning to comfortable place not only during the "adjustment period" but also after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 care center. He or she would look for his or her mother especially when the time for going home, the time for night-care, and the period of the contagious disease. The embodied meaning of care experienced by infants in child-care center is not felt as a comfortable place, but a waiting place for returning to being himself. . Fifth, with day by day experiences of a number of situations of care in child-care center, the infant discovered the novel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the unique patterns of adaptation in the child-care center. His or her shouting gradually disappeared as he or she had been socialized into the rule of the class; on the contrary at home when similar situations occurred, infant would show his or her feeling without restraint. The infant showed different attitudes in respect to the context: He or she behaved as an easy child in the child-care center, whereas as a difficult child at home. This study seeks to grasp the essence of care in the child-care center through the subjective voices of the participants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which has been disregarded within the predominating developmental science research.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developmental psychology wa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meanings of care in terms of the bodily experience that cannot be captured by the measures of experimental or physiological tests pursuing the universal dimension of care experiences without regard for the context of care.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opening up a new viewpoint regarding the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and the teacher in the child-care centers. Care by teacher in the child-care center is limited not only due to teacher’s having to serve the needs of several infants at the same time, but also due to teacher’s having to monitor the security of all infants in the classroom.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explore the uniqu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and teacher in child-care center in context in order to disclose “the things themsevles” Third, by probing the infant and teacher relationship embedded in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care center, this study urges to look at the microscopic care embedded within the macroscopic system. Fourt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help open a new perspective in which the parents and teachers can collaborate in caring the infant with multiple selves that displays different attitudes depending on the context.;본 연구는 ‘돌봄’ 혹은 ‘애착’이라고 동일하게 개념화되지만 맥락에 따라서 그리고 시간에 따라서 서로 다른 돌봄의 감각들이 침잠되어 있음을 드러내기 위하여 현상학적 관점에서 ‘어린이집에서 영아가 몸으로 경험하는 돌봄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햇님반, 달님반, 별님반 3곳의 어린이집 0세반을 6개월~1년간 참여관찰을 하면서, 어린이집 세계에서 몸을 가진 실존체로서의 보육교사와 영아가 경험하는 어린이집 돌봄의 의미구성을 시간성과 공간성, 신체성, 관계성 차원에서 살펴보았고, 영아가 어린이집 돌봄 세계에서 몸으로 경험하는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어린이집에서의 영아가 경험하는 돌봄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돌봄 세계에 들어가는 것은 언어적 사고를 하는 성인에게는 동일한 돌봄의 연장이지만, 감각적 사고를 하는 영아에게는 체화된 삶과의 단절 및 새로운 경험과의 마찰이자 삶의 장의 변화를 의미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 영아가 형성하는 보육교사와의 관계는 어느 정도의 ‘정서적 거리’를 전제로 하는 ‘대체가능한’ 관계를 지향하였다. 보육교사의 근무시간보다 더 오랜 시간 어린이집에 머무르는 영아들은 어쩔 수 없이 ‘대체가능한’ 관계에 적응되어야 했다. 셋째, 어린이집에서 돌봄을 받는 영아들은 어린이집의 운영체계를 체화하여 분절된 시간과 공간에 맞게 움직임을 제한해야 했으며, 발달에 적절한 최적의 교육 자극을 제공받는 몸으로 변형되어야 했다. 이는 돌봄과 관련된 우리 사회의 마음을 체화하며 세계 속으로 편입되는 기회가 되었다. 넷째, 어린이집 돌봄에 있는 영아들은 어머니와 분리되는 “적응 기간”뿐만 아니라 “어머니와 하루 종일 떨어져 지내는 것”에 적응이 다 된 시점에도 “하원시간”, “야간보육”, 그리고 “전염병 시기”가 되면 편안하고 안전한 곳으로 돌아가기를 바라면서 애타게 어머니를 찾았다. 어린이집은 영아들이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이 될 수 없었으며, 오직 편안히 자기 자신일 수 있는 곳으로 되돌아가기를 ‘기다리는’ 공간이었다. 다섯째, 매일의 서로 다른 어린이집 돌봄의 상황들이 몸속에 스며들면서 영아들은 다른 상황과 구별되는 어린이집에서의 고유한 관계성과 적응의 양태를 새롭게 발견하였다. 한편, 언어적으로 사회화되면서 영아의 외침은 차츰 보육실에서 사라지지만, 영아의 몸을 타고 남아있는 정서는 가정에서 유사한 상황이 되면 촉발되어 다시 드러나곤 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집에서는 순종적인 순한 아이로, 가정에서는 매우 까다로운 영아로 변신하며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으로 관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측정’ 위주의 ‘과학적’ 발달심리 연구에서 전문가의 소리에 의해 소외되었던 현장(영아, 보육교사, 부모)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통해 어린이집 돌봄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로서 발달심리 연구에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본 연구는 탈맥락적인 도구나 생리적인 측정 방법으로는 담아낼 수 없는, 동일하게 ‘돌봄’이라는 단어로 표현되지만 다르게 경험되는 ‘돌봄’의 수많은 순간의 감각을 영아가 경험하는 ‘현상적 몸’을 중심으로 살펴보아 돌봄을 둘러싼 복잡성과 중층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보육교사 애착에 대해 종래의 연구와는 다른 관점을 열어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 반 영아의 요구를 동시에 들어주어야 할 뿐 아니라 집단원 모두의 안전을 계속 주시하면서 돌보아야 하는 어린이집 돌봄 ‘사태에 적합한’ 보육교사-영아 관계 및 민감성에 대한 연구로 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를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어린이집 운영체계 내에 체화되어진 보육교사-영아 돌봄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미시적 돌봄과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는 거시적 보육 체계를 돌아보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맥락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영아의 모습을 다룸으로써, 보육교사와 부모가 영아의 다중적 자아를 둘러싼 연계적 돌봄을 하도록 새로운 관점을 여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현상에 지향하기 1 Ⅱ. 이론적 배경: 돌봄과 애착에 관한 가정과 전제 드러내기 17 A. 돌봄과 애착 17 B. 어린이집 영아 돌봄 26 C. 발달현상을 이해하는 대안적 접근법 32 Ⅲ. 연구 접근: 어린이집 돌봄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방향 38 A. 현상학적 연구방법론 38 B. 연구 현장에 들어가기 43 C. 자료 수집 44 D. 연구의 타당성 및 윤리적인 면에 대한 고려 51 Ⅳ. 연구 맥락: 어린이집 돌봄에 관한 선이해 54 A. 어린이집 현장 54 B. 영아 참여자 56 C. 교사 참여자 77 Ⅴ. 연구결과 1: 어린이집 돌봄 경험의 의미구성 84 A. 어린이집 돌봄의 시간성 84 1. 일과표를 둘러싼 줄다리기 85 2. 선형의 시간과 생성의 시간 93 B. 어린이집 돌봄의 공간성 98 1. 체험되는 공간의 크기 99 2. 공간의 경계선과 탐색의 단절 102 C. 어린이집 돌봄의 신체성 107 1. 안전과 제한의 양날 107 2. 건강과 몸의 이중성 111 D. 어린이집 돌봄의 관계성 121 1. 집단의 일과와 개별적인 돌봄 간의 모호한 갈등 122 2. 발달 지향적인 교사, 그리고 유한의 책임 128 Ⅵ. 연구결과 2: 어린이집에서 영아가 경험하는 돌봄 의미의 변화 과정 138 A. 어린이집 돌봄 세계에 들어가기 138 1. 낯설음으로 인해 일깨워지는 친숙함 139 2. 낯설음과 친숙함을 연결하는 다리 141 3. 낯설음에 친숙해지기 145 4. 적응, 낯설음과 친숙함의 역동 148 B. 어린이집 돌봄 관계 형성하기 150 1. 집착에서 거리두기로 151 2. 독점적 관심에서 공평한 관심으로 154 3. 단둘의 세계에서 집단의 세계로 158 4. 대체가능한 돌봄 관계 161 C. 어린이집 돌봄 구조 체화하기 166 1. 마음대로 하지 않기 166 2. 빈둥거리지 않기 171 3. 정서의 언어 벗어버리기 175 4. 체화된 공간에서 느껴지는 긴장감 180 D. 어린이집 돌봄 경험의 틈새 184 1. 하원시간 184 2. 야간보육 187 3. 전염병 시기 190 4. 틈새, 경계의 혼돈 193 E. 어린이집 돌봄에서 새로운 세계의 생성 195 1. 고유한 관계의 생성 195 2. 혼자 놀이와 상호 놀이의 변주 202 3. 틈새에서 발견한 일탈 205 4. 경계에 따라 변신하기 207 Ⅶ. 논의: 어린이집에서 영아가 경험하는 돌봄의 발달심리학적 의미 212 A. 몸으로 마주하는 낯설음 212 B. 대체가능한 돌봄: 기능주의적 담론의 한계 216 C. 사회적 마음의 체화 221 D. 되돌아갈 것을 기다림: “거주함”을 찾아 226 E. 또 다른 나를 발견함: 다중적 자아의 생성 230 Ⅷ. 결론 235 A. 요약 및 잠정적 결론 235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 238 참고문헌 242 부록 259 ABSTRACT 2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031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어린이집에서 영아가 경험하는 돌봄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애착 현상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Embodied Meaning of the Care Experienced by the Infant in Child-Care Center : Focusing on Attachment Phenomenon-
dc.creator.othernameLee, Soon Hang-
dc.format.pageviii, 283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유혜령-
dc.contributor.examiner남민-
dc.contributor.examiner전가일-
dc.contributor.examiner방희정-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