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김호정-
dc.creator김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0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2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Bayley-III)을 사용하여 미국과 한국 영유아의 적응행동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ayley-III 적응행동 척도 표준화에 사용된 미국 영유아 900명의 자료와 한국 영유아 901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 1에서는 표준화 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척도가 원판과 심리측정적으로 동등하게 기능하는지 검증하였다. 문항 수준에서 문화적 편향이 나타나는 문항이 있는지 난이도 모수 차이 검증법을 사용하여 차별기능문항을 판별하였다. 총 241문항 중 24문항의 차별기능문항이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번역과 문화차에 의한 차별기능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요인 구조 수준에서는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구조, 요인 계수, 측정 원점에 대한 측정동등성 검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요인 구조, 요인 계수, 원점이 두 집단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행동의 미국과 한국 집단의 잠재평균비교 결과 두 집단간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Bayley-III 적응행동 척도와 표준화 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척도의 동등성 검증을 통해 문항 수준에서 문화차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론적 구조는 두 집단간 상당히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Bayley-III 검사를 사용하여 미국과 한국 영유아 적응행동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점수 비교를 위해 하위영역 점수, 문항군 점수간 평균 비교가 실시되었으며, 문항군 분류를 위한 문항군의 내용타당도 검증이 먼저 이루어졌다.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문항들이 문항군이 평가하려고 하는 구인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비교 결과 하위영역 점수간 평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문항군 점수 비교에서 일부 문항군의 집단차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K-Bayley-III 적응행동 척도 예비척도를 국내에 적용하는데 있어 원판과의 심리측정적 동등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했으며, 미국 자료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 영유아 적응행동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preschoolers’ adaptive behaviors of the United States(US) and of Korea using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Third Edition(Bayley-III). Data from 900 parents who completed the Bayley-III Adaptive Behavior Scale in US and from 901 parents who completed a preliminary version of the standardized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Third Edition (K-Bayley-III) Adaptive Behavior Scale in Korea were examined. In Study 1,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standardized K-Bayley-III Adaptive Behavior Scale was examined in order to determine if it functions similarly with the Bayley-III Adaptive Behavior Scale across the levels of items and of factor structure. On an item by item basis, b parameter differential index method was used in order to detect culture-re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Results from this analysis revealed that 24 out of 241 items displayed DIF. The occurrence of DIF was attributed to translation errors and cultural differences. On a factor structure basis, measurement invariance and latent mean were examined by using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constructs measured by the Bayley-III Adaptive Behavior Scale for US and for Korean preschoolers were similar, that Skill areas, a subtest of the Bayley-III, functioned similarly on the corresponding domains for US and for Korea, and that the intercepts were equal for both US and Korea. Support was found for a one-factor model. The results also showed no group difference. This study supports that structural similarities of adaptive behaviors have dominance over differences in items. Study 2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discrepancies between US and Korean preschoolers’scores on the Adaptive Behavior Scale. The Skill area and item parcel mean scores were compared. In addition, item parcel’s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efore mean difference comparison using content validity index(CDI) was conducted.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items that constitute the parcel well-represented the construct that the parcel measures. Comparisons of the means among the Skill areas displayed little difference. However, comparisons of item parcel mean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S and Korean groups. And the results showed medium to large effect sizes in some item parcels.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of psychometric equivalence in adaptation of the standardized K-Bayley-III Adaptive Behavior Scale in Korea. This study also offered valuable information that preschoolers' adaptive behaviors in Korea are comparable to that of US by compar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wo count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II. 이론적 배경 7 A. 적응행동 7 1. 적응행동의 개념 7 2. 영유아의 적응행동 13 3. 적응행동의 문화적 차이 16 4. 한국형 적응행동 검사 21 B. 차별기능문항 24 1. 차별문항기능의 정의 24 2. 차별문항기능의 검증방법 25 C. 측정동등성 검증 27 1. 측정틀 동일성 검증 28 2. 측정단위 동일성 검증 29 3. 측정원점 동일성 검증 30 4. 요인평균 비교 31 III. 연구1: Bayley-III와 표준화 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척도의 심리측정적 동등성 검증 32 A.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32 B. 연구 방법 34 C. 결과 47 D. 논의 68 IV. 연구 2: 미국과 한국 영유아 적응행동 비교 분석 73 A.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73 B. 연구 방법 74 C. 결과 78 D. 논의 91 V. 종합 논의 94 A. 연구 결과의 요약 94 B. 연구 종합논의 96 C. 연구의 의의 101 D.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102 참고문헌 104 부록 118 ABSTRACT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15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Bayley-III 검사를 사용한 미국과 한국 영유아 적응행동 비교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ison Study of US and Korean preschoolers’ adaptive behaviors using Bayley-III-
dc.creator.othernameKim, Ho Jung-
dc.format.pagevii, 133 p.-
dc.contributor.examiner김아영-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설경옥-
dc.contributor.examiner남민-
dc.contributor.examiner방희정-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